이름을 부르자, 그는 봄꽃이 되었다!

여수시 현천에서 만난 우리네 봄꽃들

등록 2009.03.18 12:01수정 2009.03.18 16:53
0
원고료로 응원
a

이름을 불러주자 '진달래 꽃'이 되었더이다. ⓒ 임현철

이름을 불러주자 '진달래 꽃'이 되었더이다. ⓒ 임현철

 

               

                                       김춘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香氣)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a

이름을 불러주자 비로소 '매화' 꽃이 되었더이다. ⓒ 임현철

이름을 불러주자 비로소 '매화' 꽃이 되었더이다. ⓒ 임현철

 

홀로 피어 철 이른 일광욕을 즐기던 생강나무 '꽃'

 

"뭐해? 이 화창한 봄날, 집에 있지 말고, 어디 봄나들이라도 갈까?"

 

지난 일요일, 지인의 전화에 의기투합하였더이다. 아이들은 고개를 설레설레. '저것들이 컸다고 이젠 안 따라 나서네' 싶었더이다. 이럴 땐 빨리 포기해야 덜 서운하더이다.

 

지인과 여수시 망마산에 오르니 중턱 체력 단련장에 아이들이 봄을 만끽하고 있더이다. 집에 있을 아이들이 아쉽더이다. 내려오는 길에 만난 생강나무 꽃은 홀로 피어 철 이른 일광욕을 즐기며 꽃 향을 피우더이다.

 

a

생강나무. ⓒ 임현철

생강나무. ⓒ 임현철

 

"시간 여유가 있는데 매화 꽃 구경 갈까요?"

"좋지. 어디에 매화가 만발했어?"

 

하여, 망마산에서 여수시 소라면 현천으로 직행해 매화 꽃 구경에 나섰더이다. 현천 매화 밭은 봄바람이 산들거리더이다. 벌은 꿀 모으느라 정신없이 움직이더이다. 그 모양새가 여지없는 춘심(春心)이더이다.

 

여인들은 매화에 코를 대고 향취를 맡으며 푹 빠져 헤어 나올 줄 모르고 하늘거리더이다. 그 모습이 톡 건드리면 금새 터질 것 같더이다. 그야말로 봄날의 연정을 잔뜩 품은 여심(女心)이더이다.

 

"여보, 우리 자태 시진으로 남겨줘요."

 

여심에 드리워진 춘심을 사진으로 남겼더이다. 꽃이 사람인지, 사람이 꽃인지 알길 없더이다. 그제야 여심은 꼬리를 감춘 채 인심(人心)으로 산화하더이다. 

 

a

매화는 곧 '춘심'이더이다. ⓒ 임현철

매화는 곧 '춘심'이더이다. ⓒ 임현철

a

춘심에 겨워 벌도 바삐 움직이더이다. ⓒ 임현철

춘심에 겨워 벌도 바삐 움직이더이다. ⓒ 임현철

 

이름을 불러주자, 봄꽃이 된 '진달래'와 '광대나물'

 

"쑥 한 줌 캐 국 끓여 먹을까요?"

 

매화에 빠진 여심들이 한 줌 쑥을 캐는 동안, 나그네는 홀로 진달래와 광대나물을 쫓았더이다. 

 

"너희들 어딨니?"

"나, 찾아봐라~!"

 

자신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라던 '진달래'. 광대처럼 다양한 자태를 자랑하는 '광대나물'과 술래잡기를 하였더이다. 꽃을 피워 자신의 존재감을 알리던 진달래와 광대나물을 만났더이다.

 

그러자 진달래와 광대나물은 김춘수 님의 <꽃>처럼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더이다.

 

a

이름을 불러주자 '광대나물' 꽃이 되었더이다. ⓒ 임현철

이름을 불러주자 '광대나물' 꽃이 되었더이다. ⓒ 임현철

a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 임현철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 임현철
덧붙이는 글 다음과 U포터에도 송고합니다.
#꽃 #진달래 #매화 #생강나무 #광대나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과제 개떡같이 내지 마라" "빵점"... 모욕당한 교사들
  2. 2 한국 언론의 타락 보여주는 세 가지 사건
  3. 3 우리도 신라면과 진라면 골라 먹고 싶다
  4. 4 한국 상황 떠오르는 장면들... 이 영화가 그저 허구일까
  5. 5 'MBC 1위, 조선 꼴찌'... 세계적 보고서, 한글로 볼 수 없는 이유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