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말라리아 감염지역?

일본에서 한국인 헌혈은 체류기간 3년 후에나 가능

등록 2009.04.28 10:29수정 2009.04.28 10:36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지난 금요일(24일) 오전 수업을 들어가려는데 저 멀리 교육학부(국립 히로시마대학) 건물 앞에 헌혈차가 보였다. 한국에서도 40여차례 헌혈을 했던 필자로서는 일본에서도 어떻게든 헌혈을 이어가고 싶은 마음에 수업이 끝나자마자 점심시간을 이용해 헌혈차를 찾아갔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직원인지 봉사자인지 모를 남자분이 피켓을 들고 헌혈을 독려하고 있기에 가만히 다가가서 한국인인데 헌혈을 하고 싶다고 했더니 친절히 안으로 안내해주었다. 어디를 가든 순서와 차례를 중요시하는 일본답게 그곳에서도 분담이 정해져 있었다. 1번 코너에서 내가 작성한 오엠알 카드를 들고 2번 코너로 가니 하얀 가운의 남자직원이 하나 하나 다시금 확인해줬다. 한국지역이 헌혈이 가능한지 적십자사의 가이드북을 보고 확인하고는 그 다음 3번 코너로 안내해줬다.

일본 적십자사 간행 책자. 하단에 '인간을 구하는 것은 인간이다'라고 써놓은 문구가 인상적이다. ⓒ 이용철

3번 코너에서도 친절한 간호사가 차근차근 서두름없이 헌혈기증자들을 맞았고 나도 순서를 기다려서 그들 앞에 앉았다. 혈압을 재고 혈액혈 검사 등을 위해 혈액을 채취하였는데 한국과 다르게 주사기로 피를 뽑았다. 한국에서는 간단히 손톱 위에 피를 내서 한다고 하니 국가마다 다를 것이라며 환하게 웃는다.

드디어 헌혈을 할 기회를 갖고 대기하는 버스를 탔다. 누워서 팔을 내밀자 한국에서도 헌혈을 해봤느냐고 간호사가 묻는다. 한국에서도 예전엔 자주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일년에 한 두 번하기 힘들었다고 하니 한국의 헌혈문화는 어떠냐고 거듭 묻는다. 한국에서는 역이나 터미널 앞에 헌혈의 집이 있어서 헌혈기증자들의 접근성이 좋다고 하니 일본에서는 그렇지 않은지 부러워하는 하는 눈치였다.

경품은 무엇을 주느냐고 묻기에 영화를 보거나 책을 살 수 있는 문화상품권과 작은 화장품, 열쇠고리 등 선물에다가 음료수나 과자도 풍족하게 준다고 하니, 일본은 고작 포켓용 티슈와 음료수 한 병이라며 한국에는 후원자들이 많은가 보다며 놀라워했다.

한국문화와 간단한 한국어를 말하는 동안 400밀리리터 헌혈봉지가 가득찼다. 자기들은 시내 어느 지역에 있는 적십자 헌혈센터인데 접근성은 멀지만 다음에도 꼭 참여해달라는 친절한 인사를 받으며 그들과 헤어졌다.


그 날 늦은 오후였다. 아르바이트를 위해 가던 중 전화를 받았는데 낮에 헌혈한 곳의 직원이었다. 이용철씨가 맞느냐며 정말 정말 죄송한데 자기가 다시 확인해 본 결과 일본에서는 한국(한국 전체인지 아니면 내가 기입한 경기도 지역만을 이야기하는 것인지는 정확히 확인하지는 않았지만)이 말라리아 감염지역으로 분류되어 있어서 다음 기회를 이용해달라는 거였다.

마치 자신의 실수라도 되는 양 몇 번씩이나 죄송하다는 그의 자세에 오히려 내가 그렇냐고, 각 나라마다 기준이 있기는 하겠다고, 한국에서도 헌혈할 때 엄격히 해외여행을 한 사람들을 인터뷰해서 헌혈에 적합한지 확인한다고 이야기를 했다. 그랬더니 이해해주니 고맙다는 듯, 몇 번이고 미안하다며 다음 기회에 헌혈을 해달라고 부탁했다.


그러면서 일본에 체류한 지 얼마나 되느냐고 묻기에 7개월 된다고 했더니 체류기간 3년 이후에나 가능하다며 앞으로 2년 반 후에나 헌혈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모처럼 일본에서도 헌혈을 이어가고 싶었던 나는 조금은 유감이지만 현실이 그렇다니 어쩔 수 없겠다며 통화를 마쳤다.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왜 한국이 아직도 말라리아 감염지역이라고 일본이 분류하고 있는지 궁금해졌다. 유학을 몇 년동안 한 학생에게 물어보니 본인도 같은 경험이 있다며 한국을 무시하는 것 같아서 그 이후로 헌혈을 안 한다고 했다.

헌혈 경품으로 받은 티슈와 헌혈 카드 ⓒ 이용철

일본인이 자국 국민들의 위생과 건강을 생각하는 것은 당연하다. 더구나 아주 가까운 주변에서 작은 감기라도 걸렸을라치면 코까지 밀봉해버리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을 보며, 폐를 끼치는 것을 죽도록 싫어하는 그들의 인식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왜 한국이 말라리아 감염지역으로 돼 있을까? 정말 지금도 말라리아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이기에 분류된 것일까, 아니면 과거의 기준이 미처 변경되지 않은 것일까. 우리도 나름대로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으로 고 이종욱 박사를 배출할 정도로 국제적인 수준이 올랐을 텐데 옆나라 일본조차도 우리를 인정하지 않는 것일까. 여러모로 궁금해졌다.

필자에게 전화를 걸어 자초지종을 설명한 그 헌혈센터 직원은 너무도 성실히 본인의 직무를 수행한 것이 분명하다. 만에 하나 있을지 모를 수혈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메뉴얼을 확인했을 것이고 그것을 설명하고 오해없길 바라며 정중히 전화를 해줬다. 그것에 대한 고마움과는 별도로 아직 우리가 일본의 보건당국과 적십자로부터 말라리아 감염지역으로 분류된 현실이 과연 타당한 것인지 한국의 보건당국과 대한적십자의 의견이 궁금하다.

덧붙이는 글 | 헌혈을 하며 만난 일본의 헌혈센터 직원들은 밝고 친절하고 자신의 일에 자부심이 강했다. 마치 우리가 가까이에서 만나는 헌혈의집 간호사들과 자원봉사자들처럼 말이다. 그들에 대해 아낌없는 존경과 찬사를 보내는 바이다.


덧붙이는 글 헌혈을 하며 만난 일본의 헌혈센터 직원들은 밝고 친절하고 자신의 일에 자부심이 강했다. 마치 우리가 가까이에서 만나는 헌혈의집 간호사들과 자원봉사자들처럼 말이다. 그들에 대해 아낌없는 존경과 찬사를 보내는 바이다.
#헌혈 #일본 #적십자 #히로시마 #말라리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8년 평화의 도시, 일본 히로시마에 유학을 와서 우물쭈물하다가 일본과 한국을 함께 바라보는 경계인이 되었다. 현재 한국어 강사로 일하고 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2. 2 세계 정상 모인 평화회의, 그 시각 윤 대통령은 귀국길
  3. 3 돈 때문에 대치동 학원 강사 된 그녀, 뜻밖의 선택
  4. 4 신장식 "신성한 검찰 가족... 검찰이 김 여사 인권 침해하고 있다"
  5. 5 디올백 무혐의, 어느 권익위 고위 공직자의 가상 독백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