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종교화 시대에서 종교를 새롭게 이해하기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는 종교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이해

등록 2009.06.01 13:55수정 2009.06.01 13:55
0
원고료로 응원
"종교도 헛점이 많습니다.. 인간이 헛점이 많은 것이기에..." - 영화 <천사와 악마> 중에서

'자기오류가능성'이 없는 종교가 있을 수 있는가?


종교(宗敎)란 말그대로 "최고의 으뜸 가르침"을 의미한다. 종교는 신, 절대, 계시, 진리 등등 이러한 것들을 다룬다. 그래서인지 종교만큼 뿌리 깊게 절대적인 자기 확신을 갖는 경우란 거의 없다. 종교인일수록 절대적 확실성을 곧잘 부르짖는다. 하지만 오늘날에도 수많은 종교인들은 이러한 절대적 확실성이 갖는 위험들을 곧잘 간과하는 경우들이 많다.

그런데 여기까지는 다소 괜찮을 수 있다고 본다. 정작 문제는 종교들 간에 그 절대적 확실성의 내용들이 서로 달라서 서로 충돌할 경우가 가장 핵심적인 치명적 문제라고 할 수 있겠다. 이를 테면 신(God) 또는 진리(truth)라는 같은 언명들을 표방하지만 그 내용이 서로 충돌할 정도로 달라서 기독교와 이슬람 진영 간에 전쟁이 벌어지거나 다른 종교에는 구원이 없다고 보는 배타적 신앙관으로 인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자기종교를 믿으라고 강요하는 경우를 들 수 있겠다.

그런데 곰곰이 한 번 잘 생각해보자. 도대체 현실 세계 안에 절대불변의 확고부동한 종교 혹은 진리라는 것이 있을 수 있는가? 종교를 믿는 이들은 자기가 믿는 종교의 교리야말로 절대 진리라고 표방할 것이다.

그렇다면 그러한 종교를 믿는 그 종교인의 주장들도 절대화될 수 있는가? 아마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소 논란이 분분하지 않을까 싶다. 자기가 속한 종교만큼은 절대적인 진리라고 보면서도 그 종교를 지지하는 자기 자신의 주장은 꼭 절대적이진 않다며 한 발 뒤로 물러날 수도 있잖은가. 그렇다면 자기종교의 진리를 전수받는 과정에서 그 굴절과 왜곡은 어디에서 일어나는 것이며, 그것은 꼭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것인가?

나 자신은 바로 이 지점에서 제안적인 논의의 출발을 해보고 싶다. 우리가 자기오류가능성을 인정한다는 것은 내가 믿는 하나님 혹은 예수님에 대한 오류를 인정한다는 의미라기보다는 이를 믿는 나 자신에 대한 오류가능성을 인정한다는 의미로서 받아들여주길 바란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자기종교가 제 아무리 절대적 진리라고 하더라도 이를 전수받는 과정에서의 굴절과 왜곡만큼은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다.


만에 하나 우리 자신의 오류가능성을 인정하지 않을 경우 그것은 자기 자신을 하나님 혹은 절대 진리와 동격으로 놓는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더 큰 교만과 죄를 짓는 불신앙이 된다고 하겠다. 따라서 진정한 종교 신앙인이라면 오히려 자기오류가능성을 필연적으로 인정하는 신앙인이라고 생각하는 바이다.

자기 경전의 구절들을 죄다 빌려와 쓴다고 해서 자기오류가 없어지는 건 아니다


참고로 기독교 보수 근본주의자들 가운데는 (설령 자기오류가능성을 인정하기 때문인지 몰라도) 자기 말이 아닌 성경 구절들만을 뽑아내서 꿰맞추는 자들이 있다. 그럴 경우 스스로 생각하기에는 성경구절 모두가 백퍼센트 진리이기 때문에 자기오류가능성조차도 제로(Zero)라고 생각한다. 성경무오설을 철썩 같이 믿고 있기에 성경 구절만 발췌해서 전달하면 아무 문제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매우 큰 착각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성경구절들을 뽑아낼 경우 그 구절들은 자신이 보는 해석학적 관점에 따라 배치되고 배열되는 것이기 때문에 자기 자신의 그 해석학적 관점만큼은 자기가 취하는 입장과 선택에 의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테면, 여성안수 문제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 역시 똑같이 성경에서 퍼올 수 있다. 이미 성경의 수많은 구절들을 꼼꼼하게 자세하게 들여다보면 본문 안에서조차 그 뜻이 서로 충돌하기도 한다( http://freeview.org/bbs/tb.php/b001/27 참조). 성경이 자기가 생각하는 어느 한 쪽으로만 해석된다고 생각하는 것만큼 가장 위험한 큰 착각도 없다. 무엇보다 성경 본문 자체가 서로 충돌하고 모순되는 구절을 얼마나 많이 보이고 있는가. 이런 문제점들은 보지 못하거나 애써 피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성경에서 자기 입맛에 맞는 구절들을 끌어다 쓰는 보수 기독교인들 역시 자기오류가능성을 가진다고 봐야할 것이다. 자기 말이 하나도 들어가지 않고 백퍼센트 성경구절들만 뽑아내어 주장했다고 해서 자기오류가능성이 없다고 보는 것은 매우 순진한 착각임을 분명하게 말해주고 싶다.

아이러니한 것은 자기종교를 절대화할수록 자기의 주장도 절대적인 것으로 여겨지기가 쉽기 때문에 오히려 곧잘 더 큰 교만과 불신앙으로 빠질 위험성도 함께 도사리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렇기에 자기 종교를 절대화해선 안된다고 보는데 그렇다고 우리는 자기가 믿고 있는 종교를 상대화할 수도 없는 노릇일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이제 역으로 되물어보자. "만일 종교가 자기오류 가능성을 인정할 경우 그 종교는 종교가 아닌 것이 되는가?"라는 것이다. 물론 혹자는 종교가 자기오류가능성을 인정한다면 그것은 이미 종교로서 보기는 힘들다고 말할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과연 그러할까?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는 종교의 발생

내가 알기에 종교의 발생은 인간의 유한성에 대한 자각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그런데 이것은 진화론적으로도 설명가능하다. 즉, 종교란 자연세계 안에서 겪는 인간의 한계에 대한 인간으로서의 능동적인 적응인 것이다. 그리고 그 종교라는 것을 선택한 호모 사피엔스로서의 종(種)이 자연 세계 안에 살아남은 것이다.

종교를 가진 인간들은 훨씬 결집력이 높았고 그럼으로써 생존률이 더 높았다고 여겨진다. 물론 그것의 기원은 처음에 일종의 습관적 행동에 해당되는 <관행>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러다가 그러한 관행에 수반되는 그 어떤 정서와 정당화된 신념이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면서 종교의 발생이 되었다고 본다. 그렇기에 호모 렐리기우스의 출현 역시 자연 선택에 따른 것이라 여겨진다.

종교의 발생은 곧 문화의 발생이기도하다. 요컨대 종교는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가 말한 새로운 복제자인 '밈'(meme)의 발현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러한 차원은 물리적이고도 생물학적인 진화에서 생각의 진화로 넘어가는 새로운 차원인 것이다. 도킨슨은 '밈'이라는 문화유전자를 고안한 바 있는데, 내가 보기에 이것은 생각의 진화 곧 정신의 진화로 돌입한 차원임을 보여준 것이라 여겨진다.

(*나는 도킨슨가 <이기적 유전자>에서 설파하고 있는 상당한 설명들을 받아들이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이것 역시 불충분한 체계로 보고 있다. 왜냐하면 유전자 자체 역시 이 우주가 여러 다양한 경로들을 거쳐 진화해서 나온 산물이기에 '다수준 선택론'에서의 유전자 지위가 자연생물학에선 가장 큰 핵심으로서 강조되고 있는 것뿐이기 때문이다.

도킨슨은 엄밀한 의미에서 유전자 결정론을 주장하진 않았었고, 유전자의 지위를 강조하다보니 단지 결정론에 가깝게 보였을 따름이다. 하지만 솔직히 유전자 운반기계라는 도킨스의 표현은 심한 왜곡은 아니더라도 충분히 그렇게 오해를 살만한 표현이라고 본다. 우주는 원자(무기물)→유전자(자연생물)→밈(인간)으로 나아가면서 각각 중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도 하다. 유전자가 아무리 결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하더라도 이 우주의 원자적 법칙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마찬가지로 밈 역시 유전자 법칙을 이어받으면서 인간에게 주도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킨슨의 <이기적 유전자>는 유전자 수준에서 자연 선택이 이뤄지고 있는 점을 나 역시 받아들인다. 그런데 그가 밈이라는 새로운 복제자를 고안했을 때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즉, 그때까지의 자신의 유전자론에서 뭔가 새로운 도약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래서 마지막 장에 인간의 문화를 설명하면서 밈이라는 새로운 복제자를 생각해낸 것이다.

문화유전자, 그것은 곧 정신의 진화로 돌입한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라 여겨진다. 나는 종교의 발생이 밈에 대한 국면이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밈의 국면에서 특히 르네상스 이후에는 다양한 밈에 대한 발현들이 이뤄지면서 무신론자들의 발현과 심지어 종교불필요 주장에까지 이르는 현대를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대에 이르러서는 이제 종교의 의미와 본질을 어떻게 이해해봐야 할 것인가?

종교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해석

내가 보는 종교의 성격은 크게 둘로 나뉠 수 있다고 본다. 닫힌 종교와 열린 종교다. 이를 각각 숭배성 종교와 개방성 종교로도 볼 수 있다. 전자는 주로 고정되고 폐쇄된 체계를 형성하고 있지만, 후자는 주로 변화하는 개방된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전자는 기존의 것에 대해 숭배하는 성향을 띠고 있다면, 후자는 기존에 것에 대해서도 수정 가능할 수 있다고 보는 열린 마인드의 종교이다.

그런데 우리가 아는 종교의 역사를 보면 후자는 놀랍게도 그다지 논의되어 왔지 않다. 하지만 모든 고등한 종교들의 창시를 보면, 거의 예외 없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후자의 성격이다. 이들은 오히려 기존의 절대적 확실성을 깨고 새로운 가능성을 창조한 자들이다. 종교란 그것을 가능케 한 원사건에서 비롯한다.

붓다는 당대의 인도 힌두이즘의 한계를 극복하려 한 것이었고, 예수 역시 당대의 유대이즘의 한계를 극복하려 한 사람이었다. 따라서 후자에서 보는 종교의 본질은 절대적 확실성을 신봉하거나 숭배하는 데에 있지 않다. 위대한 종교적 통찰에는 기존의 틀에 안주하지 않는 혁신적인 성격이 함께 배여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앞으로는 진정한 종교의 본질을 우리는 달리 봐야 한다. 종교의 본질은 그 어떤 진리를 확신하여 이를 고정불변의 것으로 보존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진리를 최선으로 추구하되 진리라고 여겨지는 기존의 것을 수정하는 것에 오히려 그 진정한 참맛이 있다고 여겨진다. 결국 이렇게 볼 때 종교로서의 본질도 진리에 대한 확신과 보존에 있지 않으며, 기존의 것을 넘어서고자 하는 '열린 개방성'에서 확보되는 그 자기 성찰에 종교로서의 본질이 있다고 봐야 하지 않겠는가.

솔직히 그 어떤 진리를 확신하고 보존한다는 점에선 '신은 없다'라는 점을 전제로 하고서 이를 맹목적으로 신봉한다면 그러한 무신론 역시 일종의 '숭배성 종교'라고 여겨진다. 종교도 일종의 자기 확신에 근거한다지만 그러한 확신조차도 자기오류가능성에선 열어놓고 있는 자기 개방성에도 기반해있을 때 보다 건강한 종교관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겠다.

현재로서의 나는 유신론자이지만, 아무런 근거 없이 '유신론' 입장을 따르고 있는 게 아니다. 만일 무신론이 보다 더 큰 설명력을 지닌다고 할 경우 당연히 나로서도 무신론을 따르겠지만, 서로 비교해서 고찰해 볼 경우 더 큰 설명력의 지점들을 발견했기에 나 자신은 여전히 새로운 유신론자임을 내세우고 있는 것뿐이다. 가장 큰 관건은 오류와 비극 앞에서 솔직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선 유신론 뿐만 아니라 무신론 역시 일종의 숭배성 종교가 될 수 있다는 사실마저도 우리는 인지할 필요가 있다.

가장 으뜸의 가르침이라는 종교는 결코 폐쇄적이거나 자족적이지 않다고 본다. 물론 역사적으로 그러한 종교들도 있었긴 하지만 그러한 가치와 본질을 우리는 이제 달리봐야 한다고 생각된다. 오히려 가장 으뜸의 가르침이라는 종교는 '열린 개방성'에 더 큰 본질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미 존재 자체가 역동적인 과정상에 놓여 있기에, 종교 역시 형성과정에 놓여 있을 따름이다. 내가 알기에 종교에 대한 밈 역시 우주적이고도 창발적인 진화 과정에 놓여 있다고 하겠다.

그러한 진화의 도약을 만들어주는 지점들을 우리는 고등 종교의 창시 사건들에서 볼 수 있다. 종교밈은 종교를 창시한 원사건에 대한 끊임없는 자기 복제를 의도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복제는 실상 우리의 예수사건을 온전히 자기 복제하지 못하고 있는 종교에 머물러 왔었었다. 우리가 모방을 하더라도 제대로 해야 하지 않겠는가. 적어도 제대로 된 기독교인이라면, 원사건이라는 예수사건이야말로 우리가 온당하게 복제해야 할 종교로서의 밈을 가질 때인 것이다.

이천 년 동안 기독교가 충실한 자기 복제를 해오지 않았다는 점은 매우 아이러니하지 않을 수 없다. 실상 기독교는 그동안 '힘의 종교'를 자기 복제해 온 것뿐이다. 예수는 힘의 종교가 아닌 사랑의 종교며 설득의 종교이자 혁신의 종교를 꿈꾼 사람이다. 예수에게서의 종교란 곧 하나님나라다.

종교가 완결이 아닌 형성 과정에 있다는 얘기는 종교 역시 진화 과정에 있다는 얘기와도 크게 다르지 않다. 종교는 진화한다. 바야흐로 21세기 종교론에서는 종교에 대한 본질마저도 새롭게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덧붙이는 글 | 정강길 기자는 세계와기독교변혁연구소(http://freeview.org) 연구실장입니다.


덧붙이는 글 정강길 기자는 세계와기독교변혁연구소(http://freeview.org) 연구실장입니다.
#종교 #진화론 #탈종교 #기독교 #근본주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연봉 천만원 올려도 일할 사람이 없어요", 산단의 그림자
  2. 2 은퇴 후 돈 걱정 없는 사람, 고작 이 정도입니다
  3. 3 구강성교 처벌하던 나라의 대반전
  4. 4 왜 여자가 '집게 손'만 하면 잘리고 사과해야 할까
  5. 5 내 차 박은 덤프트럭... 운전자 보고 깜짝 놀란 이유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