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장-국민장 절충 방안 검토

유족과 협의 통해 결정할 듯... 오늘 임시국무회의서 결정

등록 2009.08.19 07:46수정 2009.08.19 15:19
0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이틀째인 19일 정부가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장례 형식과 절차를 결정한다. 유족과의 협의에 따라 국민장과 국장을 절충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행법에 따르면 전·현직 대통령이 서거하면 국장이나 국민장으로 장례를 치를 수 있다. 국장은 장의기간이 9일 이내이고 국민장은 7일 이내, 국장은 장의 비용을 전액 국고 부담하지만 국민장은 일부만 국가가 보조한다는 차이가 있다.

 

김 전 대통령의 유족측은 민주주의와 남북관계 개선 등 김 전 대통령이 남긴 업적에 비춰 국장으로 치르기를 희망한다는 뜻을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일단 전직 대통령의 경우 대부분 국민장을 치렀다는 점을 들어 난색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금까지는 현직에 있다 서거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장례가 유일하게 국장으로 치러졌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최규하 전 대통령의 영결식은 국민장으로 거행됐고 이승만 전 대통령과 윤보선 전 대통령은 유족의 요청으로 가족장으로 조촐하게 치러졌다.

 

이런 가운데 정부와 유족의 입장을 반영해 장례의 격을 국장으로 높이되 일정 등을 조율하는 절충안으로 의견이 모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09.08.19 07:46 ⓒ 2009 OhmyNews
#김대중?대통령?서거

AD

AD

AD

인기기사

  1. 1 자식 '신불자' 만드는 부모들... "집 나올 때 인감과 통장 챙겼다"
  2. 2 10년 만에 8개 발전소... 1115명이 돈도 안 받고 만든 기적
  3. 3 김흥국 "'좌파 해병' 있다는 거, 나도 처음 알았다"
  4. 4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5. 5 김건희 여사 연루설과 해병대 훈련... 의심스럽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