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낭소리? 우린 그런 거 몰라요

[09-032] 낙안읍성 소들은 워낭소리 잊은 지 오래 됐다

등록 2009.08.27 14:55수정 2009.08.27 14:55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a

낙안읍성내 한 가정에서 기르고 있는 소, 워낭 대신 귀에 꼬리표를 달고 있다 ⓒ 서정일

낙안읍성내 한 가정에서 기르고 있는 소, 워낭 대신 귀에 꼬리표를 달고 있다 ⓒ 서정일

 

'땡그랑' '땡그랑'

 

워낭소리다. 워낭은 소나 말의 귀에서 턱 밑까지 늘여놓은 방울이나 쇠고리로 뱀 등의 동물들이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달아놓았다고 하는 얘기가 있는가 하면 소도둑을 예방하기 위해서라는 설도 있다.

 

그립고 애틋한 워낭소리, 낙안읍성에 가면 들을 수 있을까?

 

a

낙안읍성내 송아지의 모습, 역시 워낭 대신 귀에 꼬리표가 채워져있다 ⓒ 서정일

낙안읍성내 송아지의 모습, 역시 워낭 대신 귀에 꼬리표가 채워져있다 ⓒ 서정일

 

지난 2009년 1월 개봉한 다큐멘터리 독립영화 <워낭소리>는 독립영화의 수작으로 꼽힌다. 한적한 시골풍경을 잔잔한 영상미로 표현해 아련한 고향의 향수를 느끼게 해줬을 뿐만 아니라 삶의 황혼기에 접어든 팔순의 농부와 마흔 살 된 소가 엮어나가는 이야기가 가슴 짠한 눈물을 전해줬기 때문이다.

 

얕게 감상한 이들은 시골의 정취에, 깊게 바라본 사람들은 인생 황혼기에 접어든 인간과 동물이 자연에 순응하면서 살아가는 삶의 과정에 초점을 맞췄으리라 생각하지만 둘 다 사라져가는 것들에 대한 그리움과 아쉬움이 교집합을 이뤘으리라 짐작한다.

 

이런 애틋함을 그저 영화 속에서나 간접적으로 느껴봐야만 하는 이들이 그 '그리움과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찾아오는 곳이 있다. 바로 순천시에 있는 낙안읍성으로 도시 속에서 옛 시골 정취를 찾아볼 수 있는 전국에서 몇 안 되는 곳이다.

 

낙안읍성에는 소가 몇 마리 있을까? 송아지 두 마리를 포함해 모두 여섯 마리가 있다. 그럼 모두 워낭을 달고 있을까? 모두 달고 있지 않다. 그중 한 마리가 가끔 주말에 시연을 위해 워낭을 달지만 다른 소들은 태어나서 한 번도 워낭을 달아본 적이 없다.

 

낙안읍성에 소도둑이 있을 리 없고 뱀이나 동물들을 쫓아야 할 이유도 없기 때문이다. 더구나 소를 먹이기 위해 산으로 들로 나가는 일도 없기에 워낭을 달아야 할 필요성이 없는 것이다. 그저 목에는 줄만 매달고 있다.

 

워낭소리 들려야 낙안읍성 본래의 모습이라는 지적

 

a

낙안읍성은 내부나 외부에 넓은 초지를 가지고 있다. 그곳에서 뛰노는 소와 함께 워낭소리를 듣고 싶어하는 것은 모두의 바람이다 ⓒ 서정일

낙안읍성은 내부나 외부에 넓은 초지를 가지고 있다. 그곳에서 뛰노는 소와 함께 워낭소리를 듣고 싶어하는 것은 모두의 바람이다 ⓒ 서정일

 

소가 논밭을 갈고 짐을 지던 옛날을 기억하는 주민들은 어릴 때 "소 먹이러 산이나 들로 나가서 방목해 놓고 냇가에서 멱을 감다 보면 해가 저물고 소는 보이지 않았지만 워낭이 있어 요긴했다"고 말한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워낭은 아무리 똑같이 만들어도 그 소리가 모두 달라 캄캄한 밤중에 보이지 않는 숲 속에서 들리는 워낭소리만으로도 어떤 소리가 뉘 집 소의 워낭소리인지 금방 알 수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은 옛 이야기일 뿐이다. 농사를 소로 짓지 않기에 소가 집 밖으로 나들이 가는 일도 없고 사료 등 먹을 것도 풍부해 산이나 들로 소 먹이러 간다는 얘기도 사라졌다. 하루 종일 목을 매단 채 외양간에서 평생 살아야 하는 게 현실이다.

 

워낭소리가 그립고 들판에서 뛰노는 소들의 모습이 보고 싶어 낙안읍성을 찾아와도 그런 모습은 안타깝게도 영화에서나 가능한 일이 되어 버렸다. 낙안읍성 밖에 초지가 널려 있음에도 그곳에 소나 양이나 닭 등을 풀어 놓으면 문제가 불거진다.

 

낙안읍성 주변 초지에 소가 함께 있는 풍경, 쇠똥도 풀 속에서 발견되는 낙안읍성, 자동차 소리 대신 워낭소리가 들리는 낙안읍성이면 어떨까, 여러 가지 관리상 읍성 내부에서는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읍성 밖의 초지에서는 한번쯤 이런 풍경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은 어쩌면 주민들의 이심전심일 것이다.

 

낙안군과 낙안군 폐군(廢郡)
현재의 순천시 외서면을 비롯해 낙안면, 별량면 일부, 보성군 벌교읍 그리고 고흥군 동강면, 대서면 일부의 땅은 옛 낙안군이었다. 하지만 101년 전인 지난 1908년 10월 15일, 일제는 항일투쟁무력화, 동학혁명진원지분산, 침략거점도시화를 위해 낙안군 자체를 없애버리고 주민들을 인근 지역 세 곳으로 강제 편입시켰다.

덧붙이는 글 | 예고: [09-033] 여름 휴가 끝나니 오붓한 이미대
남도TV

2009.08.27 14:55 ⓒ 2009 OhmyNews
덧붙이는 글 예고: [09-033] 여름 휴가 끝나니 오붓한 이미대
남도TV
#낙안군 #남도TV #낙안 #낙안읍성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2. 2 마을회관에 나타난 뱀, 그때 들어온 집배원이 한 의외의 대처
  3. 3 삼성 유튜브에 올라온 화제의 영상... 한국은 큰일 났다
  4. 4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5. 5 "청산가리 6200배 독극물""한화진 환경부장관은 확신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