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수로 뒤덮인 남한강, 상수원 불안 가중

불과 몇 개월 만에 흙탕물... 갈수록 농도 증가

등록 2010.02.21 18:59수정 2010.02.21 18:59
0
원고료로 응원
a

2009년 9월 여주군 강천면 이호대교에서 바라본 남한강 푸른 하늘 빛을 고스란히 담을 정도로 푸르던 물이었다. ⓒ 운하백지화국민행동

▲ 2009년 9월 여주군 강천면 이호대교에서 바라본 남한강 푸른 하늘 빛을 고스란히 담을 정도로 푸르던 물이었다. ⓒ 운하백지화국민행동

경기도 남한강 여주군 일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4대강 정비 공사로 탁수 농도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21일 확인됐다. 이 지역은 수도권 2300백 주민의 상수원인 팔당호와 인접한 곳으로 탁수가 계속되면 수생태계 악영향은 물론, 국민들의 수돗물 불안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a

2010년 2월 21일 이호대교에서 바라본 남한강 단 몇 개월 만에 맑디맑은 물이 흙탕물로 변해가고 있다. ⓒ 운하백지화국민행동

▲ 2010년 2월 21일 이호대교에서 바라본 남한강 단 몇 개월 만에 맑디맑은 물이 흙탕물로 변해가고 있다. ⓒ 운하백지화국민행동

남한강 여주군 일대는 이포보, 여주보, 강천보 공사와 함께 현재 강바닥을 파내는 준설을 위한 가물막이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장에서는 육안으로도 농도가 짙어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2월 21일 현장 모니터링 사진(위 사진 1)과 2월 11일 현장 사진(아래 사진 2)을 비교해 보면, 공사 범위가 넓어지면서 더욱 많은 탁수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확연히 드러나고 있다. 현재 공사 현장에서 탁수를 저감하는 시설은 한 겹의 오탁방지막으로 보이는 것뿐이다. 오탁방지막의 저감 효율이 많아야 30%에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은 이미 여러 차례 지적된 바 있다. 즉 오탁방지막만으로 탁수를 확실히 잡는 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말이다.

 

a

2010년 2월 11일 이호대교에서 바라본 남한강 2월 21일 사진과 비교해보면 공사가 더욱 진척되면서 탁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운하백지화국민행동

▲ 2010년 2월 11일 이호대교에서 바라본 남한강 2월 21일 사진과 비교해보면 공사가 더욱 진척되면서 탁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운하백지화국민행동

 

전문가들은 탁수 증가에 따른 어류 등의 악영향을 지적하고 있다. 강원대 김재구 교수는 <탁수가 수중생물에 미치는 영향 (2007. 춘천물포럼)> 논문에서 '세계 각국에서 탁수는 오염원뿐 아니라 생태계 영향을 주는 인자로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고 한다. 탁도 증가에 따라 나타나는 일반적인 어류 피해로 △ 아가미 장애 △ 삼투조절 방해 △ 혈당량 증가 △ 면역능력 감소 △ 생식력 및 성장률 감소 등이다. 그리고 탁수입자의 크기에 따라서도 다양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 김재구 교수의 지적이다.

 

탁수는 수돗물 안전성에도 심각한 영향을 준다. 강원대 김희갑 교수는 <탁수로 만든 수돗물의 안전성(2007. 춘천물포럼)> 논문에서 '탁수 발생으로 인해 정수장에서 사용하는 먹는 물의 원수는 질적인 면에서 떨이진다'고 말하고 있다. 토사가 유입된 물은 정수처리 시 염소 소독 과정에서 건강상의 유해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부산물들을 만들게 된다. 그리고 원수의 높은 탁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제제와 같은 응집제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그로 인한 정수처리 비용 증가와 수돗물 내 알루미늄 농도 증가 등이 우려되고 있다.

 

정부는 이번 달 말 또는 3월 초부터 4대강 전역에서 대규모 준설을 예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환경연합 김종남 사무총장은 '시기적으로 연중 강물이 가장 적은 갈수기에 대규모로 강바닥을 긁어 내는 것은 4대강 전역의 수돗물 안전에 큰 악영향을 미치는 행위'라고 지적하고 있다.

덧붙이는 글 | 환경연합 홈페이지에도 올립니다.

2010.02.21 18:59 ⓒ 2010 OhmyNews
덧붙이는 글 환경연합 홈페이지에도 올립니다.
#4대강 #남한강 #탁수 #수돗물 #불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강/유/미' 세상을 꿈꿉니다. 강(江)은 흘러야(流) 아름답기(美) 때문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게 뭔 일이래유"... 온 동네 주민들 깜짝 놀란 이유
  2. 2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3. 3 팔봉산 안전데크에 텐트 친 관광객... "제발 이러지 말자"
  4. 4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5. 5 공영주차장 캠핑 금지... 캠핑족, "단순 차박금지는 지나쳐" 반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