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박사까지 마쳤는데 '대학에 환멸'

[오늘은 이 사람] 짓밟힌 꿈, 죽음으로 저항한 비정규 교수 고 한경선 님

등록 2010.02.25 10:27수정 2010.02.25 14:41
0
원고료로 응원
a

비정규 교수(시간강사) 고 한경선 님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돌아와 연구와 후진양성을 꿈꾸던 고 한경선 님은 우리대학계가 비정규 교수(시간강사)를 대하는 팍팍함과 부조리함에 자신이 마지막이길 바라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 이동수

▲ 비정규 교수(시간강사) 고 한경선 님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돌아와 연구와 후진양성을 꿈꾸던 고 한경선 님은 우리대학계가 비정규 교수(시간강사)를 대하는 팍팍함과 부조리함에 자신이 마지막이길 바라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 이동수

2008년 2월 25일, 한 대학에 강의를 나가던 비정규 교수(시간강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희망찬 미래를 꿈꾸던 그녀는 한국에서 만 4년 동안 시간강사를 하던 그녀가 꿈을 잃고 더 나아가 목숨까지 스스로 버린 까닭은 무엇일까요? 한경선 님이 남긴 유서 일부를 인용합니다.

 

"...이는 공정한 경쟁에 기초한 상생발전의 원리를 거스르는 것으로, 개인과 학교 그리고 나아가 국가와 학문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음이 분명할 것입니다...(중략) 그동안 겪은 이러한 부조리와 모순은 열심히 연구와 강의를 하리란 초기의 순수한 열정에서 이 사회에 대한 환멸과 더불어 애초의 희망과 비전을 접게 만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더 이상 저와 같은 이가 있지 않았으면 하는 작은 기원을 위해 두서없이 이 글을 써서 전해 드립니다."

 

너무나 나쁜 조건에서 강의를 하다 보니 이 학교 저 학교로 강의를 뛰게 되고 이는 결국 학생들이 더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무너뜨립니다. 대학은 예산 타령을 하지만 사실은 분배문제이고 교육을 바라보는 시각이 문제입니다. 자신들 몫은 욕심껏 챙겨가면서 약자들 몫은 악착같이 뺏어가는 이 악순환은 도대체 언제까지 되풀이 되어야 하는 것일까요?

 

사실, 그 나쁜 뿌리는 박정희 정권이 대학과 교수들을 옥죄어 정부를 함부로 비판하지 못하게 하려고 만든 '고등교육법'입니다. 지금도 대학에는 비정규교수(시간강사)들이 온갖 설움을 견뎌내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연구하고 있지요. 그 팍팍함과 끔찍함은 설령 신분 상승을 해서 정교수가 된다 하더라도 깊은 상처를 갖고 살아가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 사회는 그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는 것이지요.

 

그래서 생각 있는 교수들과 비정규 교수들이 모여 노조를 만들고 대책위를 만들어 싸워오고 있습니다. 지금도 900여일이 넘게 국회 앞에서 천막농성을 하고 있습니다. 이 분들에게 작으나마 위안이 되고, 좀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마음을 써주기를 바라는 첫 걸음으로 [오늘은 이 사람]은 고 한경선 님을 그렸습니다.

덧붙이는 글 2월 27일(토) 오후 6시 한경선 열사 2주기 추모미사가 있습니다. 마음쓰임이 있으신 분들이 많이 참여하시길 바랍니다. 
때: 2월 27일(토요일) 오후6시 
곳: 국회 건너 국민은행 앞 대학교육정상화 투본 텐트 농성장 앞
(서울 지하철 9호선 국회의사당역 3번 출구)
이날은 ‘대학강사 교원지위 회복하는 고등교육법 개정안 의결 촉구’ 국회 앞 텐트 농성 906일째라고 하네요.
#한경선 #대학 #비정규교수 #시간강사 #캐리커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 월간 작은책에 이동슈의 삼삼한 삶 연재. 정신장애인 당사자 인터넷신문 '마인드포스트'에 만평 연재중. 레알로망캐리커처(찐멋인물풍자화),현장크로키. 캐릭터,만화만평,만화교육 중. *문화노동경제에 관심. 현장속 살아있는 창작활동 ^^*


AD

AD

AD

인기기사

  1. 1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2. 2 마을회관에 나타난 뱀, 그때 들어온 집배원이 한 의외의 대처
  3. 3 삼성 유튜브에 올라온 화제의 영상... 한국은 큰일 났다
  4. 4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5. 5 "청산가리 6200배 독극물""한화진 환경부장관은 확신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