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당에서 시작 된 평창동 사랑!

모래 위에 새긴 사랑보다는 그래도 낫다

등록 2010.10.13 18:28수정 2010.10.13 18:28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a

사랑 . ⓒ 조상연

▲ 사랑 . ⓒ 조상연

 

요즈음 새삼 느끼는 게 있다.

 

느리다는 것에 대한 생각이 그것인데 예전에 춘자(오토바이)를 타고 시속120~150km으로 달릴 때와 지금의 로시난테(스쿠터)를 타고 시속 80km으로 달릴 때를 비교해보니 매일 다니던 국도변의 풍경이 달라도 한참 달라 보이더라 하는 것이 첫째요, 컴퓨터 자판으로 글을 쓰다가 만년필로 조금씩 써보니 글을 쓰면서 생각을 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기더라하는 것이 둘째다. 가만 생각을 해보면 이 모든 게, 아날로그의 바쁘게 움직일 수 없는 한가함의 혜택 같다. 

 

사람의 정이라는 것도, 냄비에 고등어 졸이듯 확 달아올라서 짜글짜글하는 사랑보다는 일주일에 한번을 보아도 말없이 주고받는 눈길에서 은근하게 데워지는 정이야 말로 나일론 끈보다 질긴 정이 아니겠나 싶다.

 

새벽에 사진관에 나와 놀다가 타고난 역마살 다스릴 방법이 없어 로시난테를 다독이며 팔당으로 한 바퀴 돌고 왔는데 별놈의 사랑도 있다 싶어서 사진을 찍어봤다. 그냥 조그맣게 쓰는 것이야 귀엽기도 하고 재미로도 봐 주겠는데 내 모습과 글씨를 비교해보면 알겠지만 엄청나게 크게 써 놓았다.

 

a

평창동 사랑 . ⓒ 조상연

▲ 평창동 사랑 . ⓒ 조상연

박선민을 사랑하는 사람이 뉘인지는 모르겠으나 쓸데없이 남의 사랑놀이에 심통을 부리며 팔뚝질 해대는 나도 우스운 사람인 것은 분명하다. 암튼 보기 안 좋아 나도 모르게 팔뚝질을 해대고 말았는데 사랑은 이따위 큼직한 바람벽 글로 전해지는 것은 분명히 아니다.

 

모래 위에 제 아무리 사랑하는 이의 이름을 써보고 사랑이라 써본들 마주서서 손잡고 누런 이 내보이며 씨익 웃어주는 것만 하랴? 파도 한 번 밀려오니 모래 위에 쓴 사랑은 흔적마저 없어지더라는 게 내 경험이다. 사랑도 옛날 고향에서 아랫목에 담요 덮어 이삼일 발효시켜 쪄먹던 찐빵처럼 그렇게 여유롭게 했으면 참 좋겠다. 그러나 디지털에 익숙한 요즘 젊은 친구들에게 권하기에는 아무래도 조금은 무리지 싶다.

 

그래도 나는 젊은이들에게 E-Mail 말고 만년필에 침 묻혀서 편지도 써가며 아날로그 방식으로 사랑해보기를 꼭 권하고 싶다. 오븐에 급하게 구워낸 빵보다 아랫목에 하루저녁 동안 발효시켜 쪄낸 빵이 맛있다는 것을 분명이 느낄 수 있을 텐데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아! 십년만, 아니 삼년만  젊었어도 멋진 로맨스 하나 만들어 볼 터인데. 쩝!"

 

a

사랑해 . ⓒ 조상연

▲ 사랑해 . ⓒ 조상연

2010.10.13 18:28 ⓒ 2010 OhmyNews
#사랑 #모래위에 쓴 사랑 #팔당댐 #팔당댐 철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편안한 단어로 짧고 쉽게 사는이야기를 쓰고자 합니다. http://blog.ohmynews.com/hanast/


AD

AD

AD

인기기사

  1. 1 10년 만에 8개 발전소... 1115명이 돈도 안 받고 만든 기적
  2. 2 자식 '신불자' 만드는 부모들... "집 나올 때 인감과 통장 챙겼다"
  3. 3 김흥국 "'좌파 해병' 있다는 거, 나도 처음 알았다"
  4. 4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5. 5 김건희 여사 연루설과 해병대 훈련... 의심스럽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