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보다 좋은 우리 '상말' (96) 희희낙락

[우리 말에 마음쓰기 956] '희희낙락거리며', '똑같이 희희낙락하며' 다듬기

등록 2010.10.31 12:29수정 2010.10.31 12:29
0
원고료로 응원
ㄱ. 희희낙락거리며

.. 장마철의 습기며 삼복의 무더위가 작은 산중이라고 어디 피해 가겠는가. 문을 열면 퀴퀴한 냄새, 내 낡은 방 안의 구석구석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 자리잡은 거미, 좀벌레, 다리 많은 그리마, 희고 푸른 곰팡이들이 저마다의 한철을 희희낙락거리며 있을 테지만 너희를 어찌하기엔 난 이미 충분히 지쳐 있다 ..  <박남준-꽃이 진다 꽃이 핀다>(호미,2002) 90쪽


"장마철의 습기(濕氣)며"는 "장마철 축축함이며"로 다듬고, "삼복(三伏)의 무더위가"는 "삼복 무더위가"나 "여름철 무더위가"로 다듬으며, '산중(山中)'은 '산속'으로 다듬습니다. '피(避)해'는 '비껴'나 '돌아'로 손보고, "방 안의 구석구석"은 "방 안 구석구석"으로 손보며, "저마다의 한철을"은 "저마다 한철을"이나 "저마다 맞이한 한철을"로 손봅니다. "이미 충분(充分)히"는 "이미"나 "이미 아주"나 "이미 옴팡"이나 "이미 몹시"로 손질해 줍니다.

 ┌ 희희낙락(喜喜樂樂) : 매우 기뻐하고 즐거워함
 │   - 아이들만은 쏟아지는 눈을 온몸에 받으며 희희낙락이었다 /
 │     희희낙락거리는 젊은 부부 / 잔치를 벌여 희희낙락하며 놀다
 │
 ├ 희희낙락거리며 있을 테지만
 │→ 기뻐하고 있을 테지만
 │→ 기뻐 웃고 있을 테지만
 │→ 기뻐서 히히거리고 있을 테지만
 │→ 좋아하며 즐기고 있을 테지만
 │→ 반기며 즐기고 있을 테지만
 └ …

네 글자 한자말 '희희낙락'을 뜯어 살피면, '기쁘다'를 뜻하는 한자 '희(喜)'와 '즐겁다'를 뜻하는 한자 '락(樂)'을 둘씩 붙였습니다. 말뜻 그대로 돌아본다면, "기쁘고 기쁘며 즐겁고 즐겁다"입니다. "기쁘디기쁘며 즐겁디즐겁다"입니다.

그러니까, 한문을 쓰며 살아가는 중국사람한테는 '喜喜樂樂'일 터이나, 한글을 쓰며 살아가는 한국사람한테는 "기쁘디기쁘며 즐겁디즐겁다"입니다.

가만히 생각해 봅니다. 꼭 중국사람이 아닐지라도 네 글자 한자말 '희희낙락'을 쓰고 싶다면 얼마든지 쓸 노릇입니다. 사람들이 '고맙다'라 안 하고 '땡큐'라 말하고, '잘 가'라 안 하며 '바이바이'라 흔히 말하듯, '희희낙락' 또한 얼마든지 쓰고프면 쓸 일입니다.


그런데, '고맙다'를 안 써 버릇하는 동안 참말 이 우리 말은 하루하루 우리한테서 잊혀지거나 멀어집니다. '잘 가'를 말하지 않는 가운데 참으로 이 우리 말은 어느덧 우리 입에서 낯선 말투가 되어 갑니다. 갓난쟁이나 어린이 앞에서 "잘 가, 또 보자, 잘 지내. 살펴 가." 하고 말하는 어르신이 얼마나 있는가요. 아이들은 서로서로 손을 흔들며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요.

 ┌ 즐겁고 즐겁다 / 즐겁디즐겁다
 ├ 기쁘고 기쁘다 / 기쁘디기쁘다
 ├ 기쁘고 즐겁다 / 즐겁고 기쁘다
 ├ 즐겁게 웃다 / 기쁘게 웃다
 ├ 웃음꽃이 활짝 피다
 ├ (기뻐서 / 즐거워서) 어쩔 줄 모르다
 ├ (기뻐 / 즐거워) 죽으려고 하다
 ├ (기쁨이 / 즐거움이) (넘치다 / 가득하다)
 └ …


우리는 우리 말을 해야 합니다. 때때로 멋을 부리거나 치레를 한다면서 바깥말을 끌어들여 쓸 수 있습니다만, 우리는 우리 말을 해야 합니다. "아, 맛있어!"라 하지 않고 "딜리셔스!"라 하거나 "굿!"이라 말할 수 있다지만, 한 번 이렇게 말하고 그치는 일이란 없습니다. 자꾸자꾸 다른 얄딱구리한 말투가 뒤따르며 우리 넋을 잃습니다. 처음부터 소도둑은 없습니다. 바늘도둑이 소도둑으로 바뀝니다. 세 살 버릇이 여든을 가지, 여든 살에 갑작스러운 버릇이 생기지 않습니다. 어린 나날부터 섣불리 영어를 배우고 한자 지식을 머리속에 집어넣는 아이들이 올바르고 알맞으며 곱게 우리 말글을 쓸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우리 아이들한테 참되고 착하며 고운 우리 말글을 물려주어야 합니다. 우리가 우리 아이들한테 참되고 착하며 고운 우리 말글을 물려주자면, 우리 어른들부터 스스로 참되고 착하며 고운 우리 말글을 알뜰살뜰 살려서 써야 합니다.

즐겁게 쓰는 우리 말이 되도록 마음을 쏟고, 기쁘게 나누는 우리 글이 되도록 힘을 보태야 합니다.

ㄴ. 똑같이 희희낙락하며

.. 미국의 할렘의 가난뱅이가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을 약탈한다면 그건 괜찮을까요? 그때도 똑같이 희희낙락하며 반길까요? ..  <아룬다티 로이-9월이여 오라>(녹색평론사,2004) 139쪽

"미국의 할렘의 가난뱅이가"는 "미국 할렘에 사는 가난뱅이가"나 "미국 할렘 가난뱅이가"로 다듬고,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은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이나 "뉴욕에 있는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으로 다듬어 줍니다. '약탈(掠奪)한다면'은 '유물을 턴다면'이나 '유물을 훔친다면'이나 '유물을 빼앗는다면'으로 손보고, '그건'은 '이는'이나 '이러한 일은'으로 손봅니다.

 ┌ 똑같이 희희낙락하며
 │
 │→ 똑같이 기뻐하며
 │→ 똑같이 즐거워하며
 │→ 똑같이 좋아서 웃으며
 └ …

즐겁게 살아갈 수 있어야 좋은 우리 삶이라고 느낍니다. 저마다 한 번 선물받은 고운 삶을 즐겁게 일구어야 하지 않느냐고 느낍니다. 돈이 모자라 팍팍하게 살아간다 해서 슬프거나 괴롭기만 하지 않습니다. 돈이 넘쳐 펑펑 쓰며 살아간다 해서 기쁘거나 넉넉하기만 하지 않습니다. 우리 삶에서 소담스레 살필 대목은 내 즐거움이고 내 사랑이며 내 믿음입니다. 나 스스로 즐거울 여러 가지를 찾을 노릇이고 나부터 사랑할 사람을 찾을 노릇이며 나부터 내 둘레 삶터를 믿음으로 섬길 노릇입니다.

즐겁게 살아가는 사람은 즐겁게 생각하면서 즐겁게 말합니다. 즐겁게 살아가지 못하는 사람은 즐겁게 생각하지 못할 뿐더러 즐겁게 말하지 못합니다.

즐겁게 살아가는 사람은 홀가분하게 받아들이며 홀가분하게 헤아리는 가운데 홀가분하게 말과 글을 다룰 수 있습니다. 즐겁게 살아가지 못하는 사람은 삶이며 넋이며 말이며 홀가분하게 받아들이거나 다루지 못합니다.

 ┌ 똑같이 웃음을 머금으며
 ├ 똑같이 웃음을 지으며
 ├ 똑같이 웃음을 띄우며
 ├ 똑같이 웃으며
 └ …

그예 웃는 삶에서 웃는 넋이고 웃는 말입니다. 우리가 우리 삶에 괜스러운 빈 껍데기를 씌울 까닭이 없다면, 우리 넋이나 말에도 괜스러운 빈 껍데기를 덮을 까닭이 없습니다. 꾸밈없이 살아가며 아름다움을 즐기고, 꾸밈없이 말하거나 글쓰면서 아름다움을 나누면 됩니다. 사랑스레 살아가며 아름다움을 꽃피우고, 사랑스레 말하거나 글쓰면서 아름다움을 북돋우면 됩니다.

나 스스로 즐겁게 살아가고 있을 때에는 '즐겁다'고 말합니다. '희희낙락'하는 내 삶이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덧붙이는 글 | - 글쓴이 누리집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cafe.naver.com/hbooks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 글쓴이가 쓴 ‘우리 말 이야기’ 책으로,
<생각하는 글쓰기>(호미,2009)가 있고,
<우리 말과 헌책방 (1)∼(9)>(그물코)이라는 1인잡지가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 글쓴이 누리집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cafe.naver.com/hbooks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 글쓴이가 쓴 ‘우리 말 이야기’ 책으로,
<생각하는 글쓰기>(호미,2009)가 있고,
<우리 말과 헌책방 (1)∼(9)>(그물코)이라는 1인잡지가 있습니다.
#고사성어 #상말 #우리말 #한글 #국어순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낙동강 해평습지서 '표범장지뱀' 본 전문가 "놀랍다"
  2. 2 "이게 뭔 일이래유"... 온 동네 주민들 깜짝 놀란 이유
  3. 3 팔봉산 안전데크에 텐트 친 관광객... "제발 이러지 말자"
  4. 4 공영주차장 캠핑 금지... 캠핑족, "단순 차박금지는 지나쳐" 반발
  5. 5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