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 취소' 장지연, 묘소 문화재 지정 해제해야"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 서훈 취소 결정 ... 경남도, 내년 2월 문화재심의위 열어 결정

등록 2010.12.13 16:30수정 2010.12.13 17:03
0
원고료로 응원
국가보훈처가 <황성신문><경남일보> 주필을 지낸 장지연(張志棩, 1864~1921)의 독립유공자 서훈을 취소한 가운데,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94호인 묘소의 문화재 지정을 해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10일 국가보훈처는 장지연을 비롯한 독립유공자 19명의 서훈을 취소했다. 이들은 모두 민족문제연구소가 2009년에 펴낸 <친일인명사전>에 이름이 올랐던 인물들이다.

장지연은 1905년 11월 20일 <황성신문>에 '을사늑약'을 반대하는 논설 '시일야방성대곡'을 실어 항일 의지를 보였지만, 이후 그는 친일로 기울었다. 그는 1911년 11월 <경남일보> 주필로 있으면서 일본 왕 '메이지(明治)'의 생일(천장절)을 맞아 일장기와 오얏문양으로 장식한 "천장절 축하 의절(儀節)"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에 있는 장지연 묘소를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에서 해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사진은 김영만 Corea평화연대 상임대표가 장지연 묘소의 표지석을 둘러보고 있는 모습. ⓒ 열린사회희망연대


또 그는 1910년 8월 조선총독부 기관지로 창간한 <매일신보>에 여러 차례 일제를 찬양하는 글을 실었다. 특히 그는 "한일합동 5년간 조선인의 삶이 크게 나아졌다"고 하면서 식민통치를 미화·옹호하는 글을 썼던 것. 장지연은 '시일야방성대곡' 등으로 1962년 3월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 받았는데, 민족문제연구소의 활동으로 친일행적이 드러나 48년 만에 서훈이 박탈된 것이다.

장지연 묘소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 합포구 현동에 있다. 장지연 묘소는 유족들이 관리하고 있으며, 경남도는 1983년 문화재자료를 지정했던 것이다. 옛 마산시는 묘소 입구 도로를 '장지연로(路)'로 부르다가 경남민주언론시민연합에서 친일 행적을 들어 이의를 제기하자 도로 이름을 바꾸기도 했다.

경남민주언론시민연합과 열린사회희망연대는 2008년 경남도에 '장지연 묘소 문화재 지정 해제'를 요구하기도 했다. 그해 12월 경상남도는 문화재심의위원회를 열어 '묘소의 문화재 지정 해제' 결정을 보류했다.

당시 경남도 문화재심의위는 "민족문제연구소는 민간단체의 견해로, 국가기관에서 평가가 나오면 재검토해야 한다"며 보류했던 것이다.


창원 마산합포구 현동에 있는 장지연 묘소 안내판. ⓒ 열린사회희망연대


국가보훈처가 독립유공자 서훈을 박탈하자 장지연 묘소의 문화재 지정을 해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시 나오고 있다. 강창덕 경남민언련 공동대표는 "국가보훈처가 장지연의 독립유공자 서훈 취소를 결정했다, 경남도는 더 이상 미루지 않고 묘소의 문화재 지정 해제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종국상'을 수상하기도 했던 김영만 열린사회희망연대 고문은 "묘소의 문화재 지정 철회를 오래 전부터 요구했지만 미루어졌는데, 이번 기회에 말끔하게 정리해야 한다"면서 "더구나 해마다 '신문의 날' 때 지역 언론인들이 묘소를 참배하는 행사를 열어 왔는데, 독립유공자 서훈이 취소된 만큼 묘소 참배를 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남도청 문화예술관 담당자는 "국가보훈처에서 서훈 박탈을 결정한 것으로 안다. 문화재심의위원회를 내년 2월경 열 예정인데, 그 때 안건으로 상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열린사회희망연대 "실로 엄중한 민족범죄행위"

열린사회희망연대는 13일 성명을 내고 "일제강점기에 민족에게 희망과 용기를 준 독립투사가 친일로 변절한 행위를 도저히 용서할 수 없는 이유는 변절자들은 어떤 친일분자들보다 더 효과적으로 민족의 독립의지를 약화시킬 수 있는 힘을 발휘했기 때문"이라며 "이렇게 변절은 실로 엄중한 민족범죄 행위"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단체는 "평생을 독립운동에 몸 바쳐 오다 마지막 한번 변절했다면 그는 독립운동가가 아니고 명백히 민족을 배신한 친일분자일 따름이다"고 덧붙였다.

열린사회희망연대는 "서훈 취소가 지금 이 시대에도 오로지 자신의 이익과 권력만을 쫓아 신의도 신념도 순식간에 바꾸는 기회주의자들에게 울리는 경종이 되길 바란다"며 "장지연 묘소의 문화재 지정을 즉각적으로 철회해 줄 것"을 요구했다.
#장지연 #독립유공자 서훈 취소 #시일야방성대곡 #경남일보 주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사 3년 만에 발견한 이 나무... 이게 웬 떡입니까
  2. 2 '100개의 눈을 가진 모래 속 은둔자', 낙동강서 대거 출몰
  3. 3 '삼성-엔비디아 보도'에 속지 마세요... 외신은 다릅니다
  4. 4 장미란, 그리 띄울 때는 언제고
  5. 5 국가 수도 옮기고 1300명 이주... 이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