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사고 보고도 핵 발전 확대할 건가"

16개 정당 및 시민사회단체, 긴급 기자회견... "원전 안전 신화는 허망하다"

등록 2011.03.14 12:47수정 2011.03.15 14:35
0
원고료로 응원
a

14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앞에서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 환경정의, 다함께, 민노당, 진보신당 등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후쿠시마 핵발전소 폭발사고에 대한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실상 공개와 원전확대정책 중단을 촉구했다. ⓒ 권우성

14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앞에서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 환경정의, 다함께, 민노당, 진보신당 등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후쿠시마 핵발전소 폭발사고에 대한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실상 공개와 원전확대정책 중단을 촉구했다. ⓒ 권우성

 

"일본에서 일어난 사고는 '안전한 핵 발전소'라는 것이 허상이며, 자연재해 앞에서 인간의 대비라는 것이 얼마나 무력한 것인지 뼈저리게 느끼게 해줬다."

 

경주핵안전연대,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등 16개 정당 및 시민사회단체가 14일 오전 11시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대지진 및 그로 인한 방사능 공포 확대 상황을 거론하며 한국 정부에 원자력발전 확대 정책 중단을 촉구했다.

 

이들은 "지진이 천재라면 후쿠시마 원전 폭발은 인재"라고 규정했다. 이들은 '제2의 체르노빌(1986년 옛 소련에서 발생한 원전 사고)'이라 불리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원전 안전 신화는 허망하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주장했다. 이어 일본의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얼마나 더 커질지, 얼마만큼의 피해를 일으킬지 짐작조차 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천만다행으로 사고가 더 확산되지 않고 마무리되더라도 핵 재앙은 이미 벌어졌다"고 주장하며 시민 피폭 상황을 그 근거로 제시했다. 이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 사고 원자로는 초대형 규모의 고준위 핵 폐기물로 남을 것이며, 원자로를 식히는 데 사용된 바닷물도 방사능에 오염돼 바다를 오염시킬 것"이라며 2차 피해를 우려했다.

 

a

기자회견에 참석한 환경단체 회원들이 일본 대지진 희생자들 추모하고 피켓을 들고 있다. ⓒ 권우성

기자회견에 참석한 환경단체 회원들이 일본 대지진 희생자들 추모하고 피켓을 들고 있다. ⓒ 권우성

 

"녹색성장으로 포장한 핵 발전 확대 정책 중단하라"

 

이들은 이러한 일본 상황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위험한 핵 발전 확대 정책을 중단해야 한다"고 한국 정부에 촉구했다. 원자력발전소가 몰려 있는 "울진, 월성, 고리 등 동해안 지역도 활성단층 지대가 있어 지진의 위협이 상존하고 있는 곳"이고, "지진 전문가들은 한반도 역시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며 일본과 같은 강진이 발생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며 이들은 한국 상황을 우려했다.

 

이들은 "누가 100만 년(고준위 폐기물 보관 기간 추정치) 동안의 안전을 책임질 것인가"라며 "이번 일을 계기로 녹색성장으로 포장한 핵 발전 확대 정책을 즉각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들은 "체르노빌 사고에서 가장 많은 피해를 본 건 사고 수습에 동원된 젊은 군인과 소방요원들"이라며 "수습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 노동자, 공무원, 군인들의 안전 관리도 철저히 하기 바란다"고 일본 정부에 촉구했다.

#일본 대지진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녹색성장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게 뭔 일이래유"... 온 동네 주민들 깜짝 놀란 이유
  2. 2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3. 3 팔봉산 안전데크에 텐트 친 관광객... "제발 이러지 말자"
  4. 4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5. 5 공영주차장 캠핑 금지... 캠핑족, "단순 차박금지는 지나쳐" 반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