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바로 피눈물로 쓴 글씨구나

장수 삼절의 한 분인 백씨를 만나다

등록 2011.04.05 10:22수정 2011.04.05 11:20
0
원고료로 응원
a

암벽 예전 송탄천이 밑으로 흘렀을 것으로 추정되는 암벽. 타루비가 서 있는 경내이다 ⓒ 하주성

▲ 암벽 예전 송탄천이 밑으로 흘렀을 것으로 추정되는 암벽. 타루비가 서 있는 경내이다 ⓒ 하주성

전북 장수군에는 '3절(三節)'이라 불리는 분들이 있다. 그 첫째는 의암에서 왜장을 끌어안고 장렬하게 죽음을 택한 주논개를 말한다. 그리고 두 번째는 장수향교 교리인 정경손이다. 임진왜란 때 죽음으로 장수향교를 지켜 낸 인물이다. 정경손의 기념비는 장수항교 안에 서 있다. 그리고 세 번째는 타루비의 순의리(殉義吏) 백氏를 일컫는다.

 

오늘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은 바로 타루비의 주인공인 백씨이다. 이름이 전하지 않는 이 백씨라는 인물이 당당하게 장수 삼절에 거론이 되는 것은, 그 의가 후세 사람들에게 많은 것을 전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타루(墮淚)'란 피눈물을 흘렸다는 뜻이니, 그 마음의 아픔이 어떠했는지 짐작이 간다.

 

a

타루비 타루비가 서 있는 경내 모습. 타루비는 전라북도 기념물 제83호이다 ⓒ 하주성

▲ 타루비 타루비가 서 있는 경내 모습. 타루비는 전라북도 기념물 제83호이다 ⓒ 하주성

a

타루각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타루각. 안에는 타루비가 서 있다 ⓒ 하주성

▲ 타루각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타루각. 안에는 타루비가 서 있다 ⓒ 하주성

 

타루각 안에 서 있는 두 개의 비

 

전북 장수군 천천면 장판리 도로변에는 '타루비'라는 문화재 안내판이 큼지막하게 걸려있다. 장수군 어디를 가나 이렇게 문화재 안내판을 곳곳에 걸어두고 있어, 문화재를 찾기에 편안하다. 이런 것 하나를 보더라도 장수군의 문화재보호가 남다르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문화재 안내판 길 건너에는 담 안에 비각 두 개가 서 있다.

 

문 안으로 들어가면 좌측에 서 있는 작은 비각 안에는 백씨의 뜻을 기리는 비가 있고, 그 안쪽 우측으로 보이는 비각에는 '타루각'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바로 타루비를 보호하기 위한 비각이다. 타루각 안에는 왼쪽에 '장수이순의비(長水吏殉義碑)'라 적혀있다. '장수의 벼슬아치가 죽음으로 의를 지켰다'는 뜻이다.

 

그리고 오른편에는 돌을 삼단처럼 깎아 세운 후 그 위에 '타루비(墮漏碑)'라 적힌 비가 서 있다. 바로 장수 3절 중 한분인 백씨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비다. 도대체 이 백씨라는 분은 어떤 일을 했으며, 왜 이렇게 그를 칭송하는 것일까?

 

a

현판 타루각 앞에 걸린 현판. 타루각이라고 적혀있다 ⓒ 하주성

▲ 현판 타루각 앞에 걸린 현판. 타루각이라고 적혀있다 ⓒ 하주성

a

타루비 우측에 서 있는 것이 1802년에 세운 타루비이다. ⓒ 하주성

▲ 타루비 우측에 서 있는 것이 1802년에 세운 타루비이다. ⓒ 하주성

 

피로 암벽에 쓴 글씨 '타루'

 

조선조 숙종 4년인 1678년 3월, 장수현감이 전주감영에 가기 위하여 말을 타고 이 곳 타루비가 서 있는 곳을 지나게 되었다. 그런데 갑자기 숲속에서 장끼 한 마리가 소리를 내며 하늘로 날았고, 그 소리에 말도 놀라 날뛰었다. 말의 고삐를 잡고 있던 통인이 말을 추스르기도 전에, 현감은 말과 함께 절벽 아래로 흐르는 '송탄천(松灘川)'에 빠져 목숨을 잃었다.

 

통인은 말이 빠진 주변을 맴돌며 현감을 구하려고 애를 썼으나, 말과 함께 빠진 현감은 다시는 물 위로 떠오르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에 자신의 책무를 다하지 못해 현감을 죽음으로 몰고 갔다는 죄책감에, 통인은 울면서 자신의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내었다. 송탄천이 흐르는 암벽에 말과 꿩을 그린 통인은 '타루'라는 글씨를 피로 쓴 후, 스스로 물로 뛰어들어 자결을 하였다.

 

그리고 124년이란 세월이 흐르고 난 후인 순조 2년인 1802년, 장수현감 최수형이 이 이야기를 전해 듣고, 그곳에 타루비를 세워 물에 빠진 현감과 통인을 위로하였다. 현재 이 타루비는 전라북도 기념물 제8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그 통인의 이름은 백씨라고만 전해진다.

 

a

타루애 절벽에 음각을 한 글씨 타루애. 그 옆에 먼저 있던 글씨가 보인다. ⓒ 하주성

▲ 타루애 절벽에 음각을 한 글씨 타루애. 그 옆에 먼저 있던 글씨가 보인다. ⓒ 하주성

a

말과 꿩을 절벽에 돋을새김으로 조성하였다. ⓒ 하주성

말과 꿩을 절벽에 돋을새김으로 조성하였다. ⓒ 하주성

 

암벽에 쓰인 타루애

 

타루각 우측으로는 깎아지른 듯한 암벽이 있다. 그 밑에는 물이 고였던 흔적이 보인다. 아마도 이곳이 예전 그 송탄천의 물이 흐른 곳이었나 보다. 그 암벽에는 '타루애(墮漏崖)'라는 글씨를 음각하였다. 지금 쓰인 글씨의 우측으로는 예전에 쓰인 글씨가 남아있다. 그리고 암벽에는 말과 꿩을 돋을새김 한 것처럼 조성하였다.

 

스스로의 책무를 다하지 못했음을 안타까워하며, 자신이 모시던 윗사람을 따라 목숨을 끊은 백씨. 아마도 이 시대의 귀감이 되라는 뜻으로 세운 타루비일 것이다. 세월이 흐르고 사람들의 생각이 바뀌었다고 하여서, 본분을 지키고자 했던 그 뜻을 논할 필요는 없다. 오늘 암벽에 새겨진 말과 꿩, 그리고 타루애라는 글씨와 타루비 안에는, 장수현의 통인 백씨의 충정이 그대로 배어있기 때문이다.

2011.04.05 10:22 ⓒ 2011 OhmyNews
#타루비 #장수 삼절 #기념물 #백씨 #순의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2. 2 세계 정상 모인 평화회의, 그 시각 윤 대통령은 귀국길
  3. 3 돈 때문에 대치동 학원 강사 된 그녀, 뜻밖의 선택
  4. 4 신장식 "신성한 검찰 가족... 검찰이 김 여사 인권 침해하고 있다"
  5. 5 디올백 무혐의, 어느 권익위 고위 공직자의 가상 독백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