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서 멀쩡한 책들을 버려야 하는 불편한 진실

지난 5년 간 서울시립도서관에서 무려 110만 권 '증발'

등록 2013.01.20 21:26수정 2013.01.21 09:48
0
원고료로 응원
a 구입 예산 및 연말 통계 자료 서울시내 22개 도서관 및 평생학습관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해 보니, 154만8313권의 장서를 구입했지만, 같은 기간 증가한 절대 장서 수는 고작 43만9350권에 불과하였다.

구입 예산 및 연말 통계 자료 서울시내 22개 도서관 및 평생학습관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해 보니, 154만8313권의 장서를 구입했지만, 같은 기간 증가한 절대 장서 수는 고작 43만9350권에 불과하였다. ⓒ 김형태


도서관 문제에 관심이 많은 교육의원으로, 서울시교육청에 관련 자료를 요구하여 분석해 보니, 의구심을 넘어 충격적인 사실을 발견하였다. 지난 5년 간 22개 서울시립도서관(평생학습관 포함)에 투입된 도서구입비는 약 141억 원. 그 돈으로 모두 154만8313권의 장서를 구입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증가한 절대 장서 수는 고작 43만9350권에 불과하다. 구입한 장서 수만큼 도서관의 장서 수가 증가해야 하는 것이 상식인데, 구입한 장서의 약 28%의 장서 수만 증가했다. 도대체 왜 이런 차이가 날까?

2012년 서울시립도서관에서는 25만3819권의 책이 제적(처분)된 것을 포함 지난 5년간 무려 115만4755권의 책이 감쪽같이 증발했다. 그 이유는 서울시립도서관에서 매년 장서를 처분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서관리의 효율화를 꾀하기 위해 이용가치를 상실하거나 낡고 훼손된 책을 제적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렇게 정당한 사유로 제적되는 책은 기껏해야 20% 정도에 불과하였다. 나머지는 단지 책을 보관할 수 있는 자료실 공간(서고)이 없기 때문에 제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실을 알 리 없는 서울시민들은 왜 도서관에 꼭 있어야 할 책이 없느냐며 오늘도 자신이 원하는 책 한 권을 빌리기 위해 자치구를 넘나들며 이 도서관 저 도서관으로 발품을 팔고 있다. 많은 이들은 자료구입비의 증액이 답이라고 생각하고, 의회 의원들도 자료구입에 더 많은 예산을 줘야 한다고 주장한다. 당연히 자료구입비가 많으면 더 많은 책을 살 수 있다. 하지만 늘어난 책만큼의 장서를 고스란히 버려야 한다는 사실은 놓치고 있었다.

a 자료구입 권수 및 제적 건수 서울시립도서관 최근 5년 간 자료구입 권수와 제적 권수를 받아 도표화하였다. 이렇게 많은 책들이 버려지고 있다는 것을 아는 서울시민이 과연 몇 명이나 될까?

자료구입 권수 및 제적 건수 서울시립도서관 최근 5년 간 자료구입 권수와 제적 권수를 받아 도표화하였다. 이렇게 많은 책들이 버려지고 있다는 것을 아는 서울시민이 과연 몇 명이나 될까? ⓒ 김형태


문제는 자료구입비가 아니라 책을 놓을 공간이 없다는 데 있다. 물론 공간도 한계가 있다. 아무리 큰 도서관을 지어도 언젠가 책으로 가득 차면 구입하는 장서만큼 버려지는 것은 당연지사. 하지만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이 여타 국가의 도서관과 다른 점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도서관을 공부 시설로 여기고 열람실이라 부르는 공부방에서 개인공부를 한다. 바로 이러한 이용 행태가 도서관에서조차 책을 읽을 수 없는 나라를 만든 원인이다(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기사에서 밝힐 예정).

참고로 일본과 견주어 보자. 서울은 인구가 10,528,774명이고 일본 동경의 인구는 13,087,718이다. 공공도서관 수를 보면 서울이 101개 이고 동경이 380개의 공공도서관이 있다. 1개관당 인구수로는 서울이 104,245명이고 동경이 34,441명이다. 장서수를 보면 서울이 8,707,704권인 반면 동경은 46,329,918권이다. 연속간행물의 경우는 서울이 24,748종이고 동경이 80,403종이다. 연간 자료 대출은 서울이 19,965,666권이고 동경이 115,018,398권이 대출되고 있다. 1인당 연간 대출 수를 보면 서울이 1.9권인 반면 동경이 8.8권이다. 인구로 보면 일본 동경이 서울보다 조금 더 많다. 그러나 모든 면에서 서울은 일본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일본 도서관의 통계를 보면, 서울 도서관이 무엇을 개선해야 하는가가 보인다.

문제점은 더 있다. 여전히 이용자가 찾는 책의 상당수도 제적할 수밖에 없다보니 같은 책을 다시 구입하면서 예산 낭비가 뒤따른다. 책이 다시 도서관에 비치되는 기간(최소 2주에서 최대 60일)을 생각하면 이용자가 제 때 자료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야기되는 불편과 그로인한 사회적 손실은 헤아릴 수 없다.

도서관의 존재 이유는 자료의 수집과 제공, 보존에 있다. 양질의 자료를 수집하고, 시민들에게 제공하며 먼 훗날에도 유용할 지적 유산을 가급적 오래도록 보존하여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불과 15년도 안 돼 전체 장서가 물갈이되는 도서관이 무려 16개관에 이르렀다. 15년 이전에 출간된 책을 보려면 국립중앙도서관이나 국회도서관을 방문해야 한다. 물론 이곳의 장서들은 대출이 되지 않는다.


도서관은 공부방이 아닌 한 나라의 독서 문화를 떠받치는 본연의 역할에 매진하여 정신문화의 기둥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도서관은 집에서 구하기 힘든 책을 빌려 보기 위해 가는 곳이고, 따라서 어지간한 책은 다 있어야 한다. 그럼에도 있어야 할 책이 없어 시민들은 이 도서관 저 도서관을 헤매고 있다. 이제는 새 책을 무조건 많이 구입하라고만 할 것이 아니라 책을 꽂아놓을 장소 마련을 해야 한다. 장서공간이 부족하여 가치 있는 멀쩡한 책들을 버려야 한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이는 결국 책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국민들의 혈세를 버리는 것이다. 어쩔 수 없이 책을 버려야 할 경우, 기준이 명확해야 하고, 폐기처분하기보다는 가급적 재활용차원에서 작은 도서관이나 학교 등 책을 필요로 하는 곳으로 보내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다.
덧붙이는 글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하여 정리한 기사입니다. 유사한 내용을 시의회 공보실에도 보낼 예정입니다.
#도서관 #버려지는 책 #김형태교육의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육포럼 <교육을바꾸는새힘>,<학교안전정책포럼> 대표(제8대 서울시 교육의원/전 서울학교안전공제회 이사장) "교육 때문에 고통스러운 대한민국을, 교육 덕분에 행복한 대한민국으로 만들어가요!" * 기사 제보 : riulkht@daum.net


AD

AD

AD

인기기사

  1. 1 김건희·채상병특검법 부결, 여당 4표 이탈 '균열' 김건희·채상병특검법 부결,  여당 4표 이탈 '균열'
  2. 2 한국만 둔감하다...포스코 떠나는 해외 투자기관들 한국만 둔감하다...포스코 떠나는 해외 투자기관들
  3. 3 [이충재 칼럼] 윤 대통령, 너무 겁이 없다 [이충재 칼럼] 윤 대통령, 너무 겁이 없다
  4. 4 "KBS 풀어주고 이재명 쪽으로" 위증교사 마지막 재판의 녹음파일 "KBS 풀어주고 이재명 쪽으로" 위증교사 마지막 재판의 녹음파일
  5. 5 "이러다 임오군란 일어나겠다"... 약속을 지키지 않는 대통령 "이러다 임오군란 일어나겠다"... 약속을 지키지 않는 대통령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