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수장들 깜짝 행보에 카드업계 '좌불안석'

[현장] 금융위원장 'CEO 소집' 이어 금감원장 KB국민카드 깜짝 방문

등록 2014.01.16 17:37수정 2014.01.16 17:37
0
원고료로 응원
a

최수현 금감원장은 16일 KB국민카드 본사를 긴급 방문해 심재오 사장 등 경영진들과 면담하고 있다. 이날 최원장은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2차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 금융감독원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이 16일 고객 정보 대량 유출로 물의를 빚은 KB국민카드 본사를 직접 찾았다. 금감원장이 특별검사가 이뤄지는 금융사를 방문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특히 최 원장의 현장 방문 소식은 전날 오후 7시가 돼서야 기자들에게 전달됐다. KB국민카드 홍보팀 관계자는 "(기자들이 일정을 받은) 시점보다 우리는 더 늦게 통보받았다"고 해 이번 방문이 상당히 긴급하게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이틀 전인 14일 신제윤 금융위원장도 갑작스런 간담회를 열었다. 당일 간담회 시작 불과 몇 시간 전에 일정이 발표됐다. 이날 금융권 최고경영자(CEO)들을 불러 모은 신 위원장은 "향후 고객 정보 유출사고 때는 물러날 각오를 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금융당국 수장들의 이러한 긴급한 행보는 1억 건 개인정보 유출이라는 유례없는 사건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심재오 KB국민카드 사장 고개숙이며 "고객들에게 죄송스럽다"

16일 KB국민카드 본사에 도착한 최 원장도 기자들과 만나 "정보 유출은 금융의 기본인 신뢰를 흔들고 국민들에게 피해를 주는 중요한 사안"이라며 "고객들의 불안감이 크고 현장에서 피해방지대책이 잘 마련됐는지 점검하고 CEO들에게 경각심을 고취하려고 왔다"고 방문 이유를 밝혔다.

이어 최 원장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검사 후 법 위반 사실이 있으면 관련 조항에 따라 엄히 조치할 것"이라며 해당 카드사 CEO 해임 가능성을 언급했다.

또한 추가 고객정보유출로 인한 금전적인 피해 보상에 대해 최 원장은 "원칙적으로 전액 보상"이라며 "금융회사 내에 신고센터도 운영하고 금융감독원 내 자체 정보유출감시센터를 운영해서 피해보상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KB국민카드 외에 유출사고를 일으킨 NH농협, 롯데카드 등과 고객정보 유출 직원이 소속된 KCB(코리아크레딧뷰로)에 대해서도 "일정을 봐서 추가 현장 방문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자들과 질의 응답을 마친 최 원장은 KB국민카드 13층에 마련된 금감원 검사 현장으로 발길을 옮겼다. 마중 나온 심재오 KB국민카드 사장은 두 손을 모은 채 고개를 떨궜다.

a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이 16일 서울 종로구 KB국민카드 본사에 고객정보 유출 사건 조사를 위해 마련된 금융감독원 검사장을 방문해 심재오 KB국민카드 사장(오른쪽)등 경영진들과 긴급 간담회를 갖고 있다. ⓒ 금융감독원


심 사장은 "이런 일이 발생해 대표로서 고객들에게 죄송스러운 마음"이라며 "PC환경, 인터넷망 분리, USB 원천 봉쇄, 복사인증제 도입 등을 통해 개인정보 보호에 주력해 왔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전반적으로 재점검을 해 나가 다신 이런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11시께 KB국민카드 현장 지도 방문을 한 최 원장은 심 사장을 비롯한 KB국민카드 임원들과 20분 가량 비공개회의를 진행한 뒤 40분께 떠났다. 금감원 관계자는 "비공개 회의에서 심 사장에게 재발방지 대책을 보고받고 2차 피해 대비책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방문이 실질적 대책 마련과 관련이 없는 '생색내기용'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최 원장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번 개인정보 유출 사고 책임이 금감원에도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했다.

이번 고객유출사고를 일으킨 또 다른 카드사의 한 관계자는 "해당 카드사들은 백번 사죄해도 드릴 말씀이 없다"면서도 "금융 당국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은데 꼬리자르기를 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지난 2011년 농협의 전산사고를 비롯해 현대캐피탈과 삼성카드·하나SK카드 등 고객정보 유출로 물의를 빚은 해당 사장들은 모두 경징계를 받았다. 또한 당시 내놓았던 대책과 이번 카드사 정보유출건에 대한 대책도 금융사에 대한 제재와 감독 강화 등으로 유사하다. 이러한 재탕식 대책으로 정보 유출 사고가 끊이질 않는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덧붙이는 글 임경호 기자는 오마이뉴스 19기 인턴입니다.
#고객정보유출 #금융감독원 #KB국민은행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2. 2 마을회관에 나타난 뱀, 그때 들어온 집배원이 한 의외의 대처
  3. 3 삼성 유튜브에 올라온 화제의 영상... 한국은 큰일 났다
  4. 4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5. 5 "과제 개떡같이 내지 마라" "빵점"... 모욕당한 교사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