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개인정보 유출사고, 이번엔 제대로 막을수 있을까

재발방지 TF 본격가동...17일부터 카드사, 피해 고객들에게 개별 통보 시작

등록 2014.01.17 18:45수정 2014.01.17 18:45
0
원고료로 응원
a

정찬우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왼쪽에서 두번째)이 17일 오후 서울 중구 금융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금융회사 고객정보보호 정상화 TF 첫 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금융위원회


최근 금융회사의 사상최대 고객정보 유출사고에 대해 금융당국이 재발 방지를 위한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했다.

17일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이날부터 금융회사 고객정보 정상화를 위한 태스크포스(TF)가 정식으로 출범했다. 이번달 말까지 가동되는 TF에선 금융회사 내부통제와 최고경영자의 책임 문제 등을 검토한다.

정찬우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이날 회의에 앞서 "이번 사고 관련 조속한 대응조치 노력과 함께 유사사례 재발방지를 위한 근본적,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TF 추진배경을 밝혔다. 그는 이어 "특히 금융사고를 겪으면서 여러 차례 지적되고 있는 내부통제 문제와 CEO 책임문제 등을 잘 검토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와함께 금융감독원은 이날부터 개인정보가 유출된 3곳 카드사에서 피해 고객들에게 문자·전화·이메일을 통해 개별 통보하라고 지시했다. 다만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카드사 홈페이지를 통해 유출정보 조회를 하는 시스템은 아직 완성되지 않았고 다음주 내로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정보가 유출된 고객들의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회원 동의를 받아 신용카드를 재발급할 예정이다. 이어 피해 고객들에게 결제내역 통보 서비스 무료제공, 개인정보 마케팅 활용 정지도 요청할 계획이다.

이밖에 카드사별로 피해 접수 콜센터와 피해대책반도 24시간 운영한다. 또한 금감원 정보유출감시센터와 핫라인을 구축해 정보유출로 인한 피해 발생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콜센터는 국민카드가 1899-2900, 롯데카드 1588-8100, 농협카드 1644-4000, 1644-4199이다.

금감원은 신용카드 부정사용에 분쟁은 최우선적으로 처리하고 현행 법령상 90일인 조정기간도 단축하기로 했다. 또한 정보유출감시센터를 통해 정보유출 경로를 파악하고 혐의사실이 발견되면 수사기관에 통보하기로 했다.


한편 이번 고객정보 정상화 TF는 정찬우 금융위 부위원장을 팀장으로 안전행정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유관부처와 IT·보안분야 민간전문가, 금감원, 금융연구원, 은행연합회 등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TF는 앞으로 제도 개선, 내부통제·IT, 전 금융회사 점검·분석의 3개 주제로 나눠 실무작업반을 가동키로 했다. 제도개선반은 CEO의 정보보호에 대한 관리책임 강화, 불법유출된 정보가 마케팅·대출모집 활용 차단방안 등 법 제도 개선방안을 다룰 예정이다. 내부통제·IT반은 외주용역 지원 및 회사에 대한 관리 강화를 다루고, 전 금융회사 점검·분석반은 이달 중 금융회사들로부터 고객정보보호 계획을 받을 전망이다.
#금융위원회 #카드사 정보유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2. 2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3. 3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4. 4 '헌법 84조' 띄운 한동훈, 오판했다
  5. 5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