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이 조난 선박 등을 신속하게 찾기 위해 보급한 어선 위치 추적 단말기 4대 중 1대가 생활방수 정도만 가능해 해난사고 발생 시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박남춘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국민안전처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해경은 신속한 사고대응 등을 위해 2011년부터 현재까지 어선에 위치발신장치 단말기 4만260개를 보급하고 어선 위치정보 확인시스템(V-PASS)를 구축했다. 예산은 총 313억 원이 투입됐다.
그러나 사업 초기인 2011년에 보급된 단말기 9647대의 방진방수 규격은 일반 스마트폰 기준인 'IP55'에 불과해 빗물 정도만 견딜 수 있는 수준이라고 박 의원은 주장했다. 좌초로 인한 침수나 침몰 등의 상황에서는 무용지물이라는 것이다.
해경은 2013년부터 배포한 단말기의 경우, 방수규격이 'IPx7'로 개선돼 1m 수심에서도 30분까지 방수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박 의원은 "비슷한 규격의 단말기를 장착한 낚싯배 '돌고래호'의 전복사고 당시 단말기가 침수되면서 위치추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수백억 원을 들여 마련한 어선해난구조시스템이 사실상 무용지물이 되어 제 역할을 못하고 있음이 드러난 것"이라며 "침수 상황에서도 선박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4년간 해양레저 사고 110건... 인명 피해 130명
이런 가운데, 최근 4년간 발생한 해양레저 사고는 총 110건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황주홍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국민안전처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해수면 해양레저 사고는 지난 2012년부터 최근까지 모두 110건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12년 26건, 2013년 32건, 2014년 36건, 2015년(1~8월) 16건이었다.
사고 유형별로는 충돌 47건, 추락 24건, 전복 20건, 표류 6건, 화재 5건, 침몰 2건, 좌초 등 기타 6건이었다. 인명 피해 수는 총 130명으로, 사망 15명, 중상 25명, 경상 91명이었다.
지역별로는 충남 태안이 16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는 통영 13건, 동해 11건, 포항·속초 각각 9건, 서귀포 8건, 부산 7건, 울산 6건, 평택·군산·보령·인천 각각 5건, 제주 4건, 창원 3건, 완도 2건, 여수·목포 각각 1건 순이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