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울산본부, 총선 단일화 후보에 입장 밝혀

[전망] 민주노총 울산본부 "더민주당 ·국민의당 단일화 대상에서 제외" 야권연대 험로 예상

등록 2016.01.20 17:41수정 2016.01.20 17:41
0
원고료로 응원
a

민주노총 울산본부가 20일 오후 1시 30분 울산시의회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4·13 총선 진보후보 단일화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왼쪽부터 최용규 수석부본부장, 권오길 본부장, 이창규 사무처장이다. ⓒ 박석철


민주노총 울산본부(본부장 권오길)가 20일 오후 1시 30분 울산시의회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13 총선 진보후보 단일화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민주노총의 이날 입장 발표 핵심은 '3월 5만 조합원 총투표에서 진보후보 단일화를 이룰 것', '현대중공업 노조가 진보후보 단일화에 참여토록 할 것', '울산 6개 지역구 중 3석 이상 당선을 목표로 단일화된 진보후보 지원을 강화할 것' 등이다.

하지만 민주노총은 "노동자 진보후보 단일화 대상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안철수 신당(국민의당)은 제외한다"고 밝혔다. 이에 노동자 결집을 이루려는 기대와 반대로 야권 분열의 단초가 될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제기됐다. 1년 5개월 전 사례를 들어서다. 민주노총 울산본부의 이번 방침은 다가오는 총선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울산에서 영향력 큰 민주노총, 진보 단일화 입장 영향은?

노동자의 도시 울산에서 야권으로서는 민주노총이 미치는 영향력이 클 수밖에 없다. 5만여 명의 조합원에다, 민주노총 소속은 아니지만 6만여 명의 현대중공업그룹 원·하청이 사실상 민주노총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여기에 타 조합 노동자와 시민사회에도 미치는 바가 크다.

1년 5개월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지난 2014년 6·4 지방선거를 2개월 앞둔 4월 15일 기자회견을 통해 진보후보 단일화와 관련한 입장을 밝혔다. 당시 기자회견에 나온 민주노총 울산 정치위원회는 "새정치민주연합과는 함께 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민주노총의 이러한 입장은 앞서 몇 달간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통합진보당, 정의당, 노동당 등 야 4당이 야권연대를 통한 후보단일화 논의를 진행하던 시점이어서 파장이 컸다.


이 같은 민주노총 입장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은 물론 일부 진보정당 후보마저 "정당의 야권 단일화 논의에 민주노총이 '5월 8일까지 야권 단일화 논의를 유보하라'는 것은 정당 정치의 독립성을 무시하는 결정"이라며 반발했다. 또한 "정당 간 야권 단일화 논의라는 정당 고유한 영역에 대해 논의조차 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대중 조직인 민주노총으로서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비록 울산이 보수 성향인 강한 도시이지만 야권 단일화를 통해 새누리당을 반드시 이기겠다는 야권의 결의가 강한 시점이었다. 특히 민주노총 방침 발표 하루 뒤 세월호 참사가 발생하면서 정부 여당에 대한 국민적 비판 목소리가 높아만 갔다.


하지만 이같은 민주노총의 방침 발표에 이후 진보정당 후보들은 민주노총의 눈치를 보느라, 새정치연합은 이에 반발하느라 야권연대가 상당한 진통을 겪었다. 2014년 지방선거에서는 울산시장과 5개 구군 단체장의 새누리당 석권이라는 결과로 나타났다.

민주노총 울산본부 "11개 민중총궐기 요구안 수용하는 후보 지지"

a

민주노총 울산본부 권오길 본부장이 20일 오후 1시 30분 울산시의회 기자실에서 4·13 총선 진보후보 단일화와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박석철


다시 2년이 흘러 2016년 총선이 다가왔다. 제반 여건은 2014년 지방선거 때와 별반 다르지 않다. 총선을 3개월도 채 남겨 놓지 않은 시점에서 다시 민주노총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을 새누리당과 함께 보수정당으로 규정해 노동자 진보후보 단일화 대상에서 제외했다.

현재 더불어민주당은 울산 6개 전 지역구에 후보를 이미 냈거나 낼 계획이며 울산 중구와 동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 2명이 나선 상태다. 야권연대가 험로를 겪을 밖에 없는 이유다.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이날 진보 단일화와 관련해 민중총궐기 11개 요구안에 동참하는 진보후보를 지지하겠다고 밝혔다. 이 요구안에는 노동개악 중단, 재벌 사용자 책임, 밥쌀 수입 저지, 역사교과서 국정화 폐기, 성소수자 차별 중단, 대북 적대정책 폐기, 신불산 케이블카 반대, 민영화 중단 등이 들어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이 요구안에 동참하거나 혹은 중립적인 입장이 있다. 앞으로 노동자 도시 울산에서 야권연대가 순탄치 않을 것임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민주노총의 이날 방침은 지난 2014년 지방선거 후보와 맞물려 다소 논란의 소지도 있다. 지난 6·4 지방선거에 울산교육감 후보로 나선 정찬모 전 울산교육위원장의 경우 당시 민주노총이 사실상 지원을, 현대중공업 노조가 지지를 선언한 바 있다. (관련기사 : 현대중공업 노조, 정찬모 울산시교육감 후보 지지선언)

하지만 정찬모 위원장의 경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표가 지난해 12월 26일 직접 정찬모 위원장 자택을 방문해 영입한 후 현재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울주군 총선 후보로 출마한 상태라 혼선이 빚어질 우려도 있는 것.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21일 운영위원회와 27일 진보제정당 및 시민사회단체 간담회를 시작으로 총선 승리와 '진보 정치 일번지' 복원을 위해 노동자와 시민의 힘을 하나로 결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야권연대에 특정 정당을 제외한다고 선을 긋는 것은 새누리당을 이롭게 하는 것 아닌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민주노총 권오길 울산본부장은 "일단 진보정당의 후보에 대한 단일화를 이루고자 하는 것으로, (더민주당 및 국민의당 후보와의 단일화는) 추후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며 여운을 남겼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시사울산>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민주노총 울산본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AD

AD

AD

인기기사

  1. 1 [단독] '김 여사 성형' 왜 삭제? 카자흐 언론사로부터 답이 왔다
  2. 2 세계 정상 모인 평화회의, 그 시각 윤 대통령은 귀국길
  3. 3 돈 때문에 대치동 학원 강사 된 그녀, 뜻밖의 선택
  4. 4 [단독] 순방 성과라는 우즈벡 고속철, 이미 8개월 전 구매 결정
  5. 5 신장식 "신성한 검찰 가족... 검찰이 김 여사 인권 침해하고 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