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가동 중단 조치에 망연자실한 입주업체 직원들정부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조치로 개성공단 가동을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11일 오전 경기도 파주 경의선남북출입사무소에서 개성공단 직원들이 물품을 싣고 복귀하는 차량을 기다리고 있다.
유성호
개성공단 국제화는 2013년 3월 통일부 업무보고를 받은 박 대통령이 "(개성공단에) 외국기업이 유치돼 국제화가 되면 함부로 어느 날 출입이 금지된다거나 또는 세금을 갑자기 올린다거나 하는, 국제기준으로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행동이 나올 수 없다"고 말할 만큼 신경썼던 부분이다. 박 대통령은 같은 해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개성공단 국제화는) 개성공단에 예측 불가능한 일이 줄어들면서 국제기준을 따르는 공단이 되고, 북한이 국제사회 일원이 돼 가는 길"이라고 거듭 발표했다.
하지만 2013년 이후 개성공단에 책정된 국제화 관련 예산은 총 3억원에 불과했다. 그나마 집행된 액수도 1억3900만원으로 예산의 절반에도 못미쳤다.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도 비슷한 경우다. 2013년 5월 미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발표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던 DMZ 세계평화공원은, 대선 때 'DMZ 한반도 생태평화벨트'라는 이름으로 나온 박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난 2년 동안 600억원이 넘는 관련 예산은 거의 사용되지 못했다.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사업에 배정된 약 600억원(2014년 302억원, 2015년 302억원)은 2년 동안 10억원도 사용되지 못했다. 지난해 9월 이 문제가 거론되자 통일부는 "상기 예산은 남북합의 이후 집행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산가족 상봉도 이명박 정부 때와 비교해 크게 진전되지 못했다. 이산가족 정보종합시스템(
바로가기)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 동안 상봉한 이산가족 수는 2013년 0명, 2014년 813명, 2015년 972명을 기록했다(2000년 2394명, 2001년 1242명, 2002년 1724명, 2003년 2691명, 2004년 1926명, 2005년 3134명, 2006년 3236명, 2007년 3613명, 2008년 0명, 2009년 888명, 2010년 886명, 2011년~2012년 0명).
박 대통령이 남북 간 민생, 문화, 환경의 통로를 외쳤던 드레스덴 선언은 5.24조치 기조를 포기하지 못하면서 '이름 뿐인 선언'이란 비판이 일었던 내용이다.
다급할 때만 찾는 '남북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