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러 외교장관 "한반도 사드 배치는 과잉 방어"

공동 기자회견... "사드 배치 반대·6자 회담 재개 촉구"

등록 2016.03.12 10:15수정 2016.03.12 10:15
0
원고료로 응원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의 회담을 발표한 중국 외교부 공식 홈페이지 갈무리. ⓒ 중국 외교부


중국과 러시아 외교장관이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AP, AFP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11일(현지시각)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왕 부장은 "한반도 사드 배치는 방어 목적(defence needs)을 넘어서는 것"이라며 "이는 '힘의 균형'을 무너뜨리고, 중국과 러시아의 안전을 위협하며 새로운 군비경쟁을 촉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북한의 미사일 위협이라는 실제적인 목적을 인정하지만, 사드는 그것을 훨씬 초과하는 것"이라며 "한반도 사드 배치는 중국과 러시아의 전략적 안보 이익을 훼손할 것"이라고 반대했다.

라브로프 장관도 "한국과 미국이 함께 추진하는 한반도 사드 배치는 북한이 할 수 있는 모든 위협을 넘어서는 계획"이라며 "러시아와 중국은 국제사회에서 사드에 대한 공동의 입장을 주장하고, 정직하며 객관적인 논의를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각국의 독자적 대북제재 비판... "대화로 풀자"

양국은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결코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강조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새로운 대북 제재 결의안을 철저한 이행과 함께 6자 회담을 통한 협상 재개를 촉구했다.


왕 부장은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결코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며 "대화와 협상을 통한 사태 해결을 포기할 수 없고, (북한의) 6자 회담 복귀를 위해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안으로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저지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라며 "하지만 (제재가) 북한 주민의 생활과 인도적 수요에 영향을 주는 것은 방지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목소리를 듣고 2005년 9.19 공동성명에 기반한 협상으로 복귀하기를 기대한다"라며 "러시아는 협상이 중단되는 것을 두고 볼 수 없다"라고 밝혔다.

또한 "안보리가 채택한 제재 결의가 국제법적으로 유일한 강제 도구"라며 "서방을 비롯한 일부 국가들이 독자적인 대북 제재를 가하고 있지만, 이는 협상 재개의 가능성을 막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북한에 대해서도 "핵무기 개발과 장거리 미사일 탑재 계획 성명을 계속 발표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라며 "북한은 누구도 이런 위험한 행보의 보호막이 되어주지 않을 것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안은 모두 정당하고, 철저하게 이행되어야 한다"라며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이 더 이상 북한의 모험을 용납할 수 없다는 신호로 전달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양국은 이번 외교장관 회담을 통해 한·미·일의 대북 강경책에 맞서 한반도 사드 배치를 반대하고, 6자 회담을 통한 협상 공조를 더욱 공고히 했다.

#왕이 #세르게이 라브로프 #사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2. 2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3. 3 세계 정상 모인 평화회의, 그 시각 윤 대통령은 귀국길
  4. 4 돈 때문에 대치동 학원 강사 된 그녀, 뜻밖의 선택
  5. 5 마을회관에 나타난 뱀, 그때 들어온 집배원이 한 의외의 대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