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후 경남도의회 대강당에서 “재해, 먹는 물 도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윤성효
박재현 교수 "낙동강 보 수문을 모두 열어야"29일 오후 경남도의회 대강당에서 열린 '재해, 먹는 물 도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한 토론회'에서 낙동강 수질 보전 대책 등이 제시되었다. 이날 토론회는 여영국 경남도의원과 노회찬 국회의원, 마산창원진해환경연합이 공동으로 마련했다.
박재현 인제대 교수(토목공학)는 '도민의 식수와 낙동강 녹조'에 대해 발제했다. 박 교수는 4대강사업 이후 8개의 보가 들어선 낙동강에서 녹조가 창궐했던 상황을 설명했다.
박 교수는 녹조로 인해 낙동강이 '죽음의 강이 됐다'거나 '녹색으로 물든 낙동강', '수돗물 비상', '낙동강 정수장 발암물질 선진국 기준 초과' 등 제목의 언론 보도를 소개했다.
박 교수는 녹조가 일으키는 문제로 '남조류로부터 생산되는 악취 유발 물질'과 '남조류로부터 생산되는 독소' 등에 대해 설명했다. 박 교수는 낙동강 녹조 대책으로 '상시 보 수문 개방'을 제시했다.
"낙동강 바닥이 시궁창이다"고 한 박 교수는 "유속 저하는 미세 부유물질의 침강을 촉진하고, 낙동강 물은 4대강사업 전과 비교해 10배 이상 속도가 느려졌다"고 했다.
그는 보 수문으로 인해, '깊은 수심은 물의 온도 차에 따른 성층현상 강화', '성층현상은 물 속으로 산소 공급을 제한', '급격한 무산소층 형성', '조류 증가와 맞물려 혐기화되면서 바닥이 썩어가게 됨', '무산소층에서는 저서생물이 살 수 없음', '먹이 감소와 서식처 조건 악화로 어류의 개체수 급격한 감소', '하류 해안지역의 환경생태에 악영향' 등이 나타났다고 했다.
박재현 교수는 "낙동강 보 수문을 모두 열어 수위 강화와 유속 증가가 필요하고, 보 하한수위까지 수심을 내릴 수 있다"고, "3~4미터 이하의 수심감소는 성층현상을 감소시킨다"고, "2~3배 유속 증가는 녹조 생성 억제 조건이 된다"고 했다.
이찬원 교수(경남대)와 박현건 교수(경남과학기술대)가 토론하기도 했다.
이어 윤정배 경상대 교수가 '지진, 침수, 태풍 그리고 방제'라는 제목으로 발제했다. 윤 교수는 최근 경주 등 전국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지진(여진)에 대해 설명하면서 '복합재난 대응'과 '도시재난 대응'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윤 교수의 발제와 관련해 김성욱 지질학박사와 허정도 도시건축박사가 토론했다.
한편 여영국 의원은 '일본의 방재정책과 먹는물 녹조관리'를 통해 "낙동강 수질개선 방향은 일방통행 행정이 아니라 행정과 환경단체, 기업, 주민, 전문가가 함께 정보 공유하고 정책 대안 마련으로, 수질 개선과 재자연화를 해야 한다"고 했다.
노회찬 의원은 서면 인사말을 통해 "지난 여름 제가 본 낙동강은 생명을 품고 기르는 어머니와 같은 강이 아니라 거대한 녹조의 죽음의 바다였다"며 "더욱이 안타까운 것은 독성을 품은 녹조물이 시민들의 수돗물 원수라는 사실이었다"고 했다.
그는 "청산되지 못한 친일과 부역의 역사가 오늘의 헬조선과 헌법유린의 밑바탕이 된 것과 같이, 4대강사업 찬성으로 낙동강을 파괴에 부역한 정치인, 관료, 학자들이 이제는 낙동강이 죽었다며 지리산까지 파괴하려 한다"며 "어쩌면 낙동강을 살리는 첫 걸음은 이들에 대한 심판과 청산으로 시작되어야 할 것"이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