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장에게서 받은 안내문. 휴교령 내린 지 사흘 만에 원격수업에 안내와 지침과 방법이 이메일로 왔다.
이혜정
지난 3월 24일, 호주 멜버른의 모든 초중고등학교가 공식적으로 폐쇄되었다. 코로나19 확산이 전 세계적으로 심상치 않게 흐르자, 가을 방학(3월 30일 ~ 4월 13일)을 나흘 앞두고 전격적으로 이루어진 폐쇄령이다. 호주는 4월 2일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는 5108명이고 사망자는 24명이다.
기자가 공부하고 있는 보조교사 자격증 과정도 24일부터 바로 온라인 화상 수업으로 대체되었다. 23일 강사 에릭이 접속할 주소를 수강생에게 보내줬다. 다음 날 아침 10시, 수강생 17명이 각자의 집에서 동시에 줌(ZOOM)을 통해 수업을 했다. 60세가 넘는 헤일리도 한 시간 정도 지나자 안정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었다. 모두에게 신선한 첫 원격 수업이었다.
3월 27일, 아이가 다니는 초등학교 교장에게서 이메일이 왔다. 2주간의 방학이 끝나고도 개학을 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한 원격 수업(온라인 수업) 안내였다. ▲ 교육부 지침을 참고해 교사들과 협의하고 학교 상황에 맞게 준비하고 있다는 내용 ▲ 웹엑스(Webex)를 통해 매일 담임과 일대일 화상 소통을 15~20분간 진행할 것이란 안내 ▲ 각종 과제에 대한 안내와 제출 등은 학급 구글 클래스룸을 통해 이뤄질 것이란 내용이었다.
같은 날 오후, 담임에게서도 이메일이 왔다. ▲ 학생들이 구글 클래스룸에 접속할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생성되었고 이용 방법을 학교에서 숙지시켰다는 점 ▲ 구글 클래스룸 설치에 대한 안내와 접속 방법 ▲ 원격 수업 확정시 구글 클래스룸을 통한 학교와 학생 간의 소통 계획 등이 담겨 있었다.
3월 28일, 초등 3학년 아이와 함께 구글 클래스룸을 설치했다. 아이는 학교에서 교사가 가르쳐 준 대로 잘 따라 했다. 담임은 제일 먼저 '인터넷 사용 에티켓'을 올려놓았고, 사진이나 사생활 정보가 담긴 내용을 올린 학생에게는 '사생활 보호'에 대한 안내와 내용 수정에 대해 조언했다. 아들은 하루에 한 번씩 구글 클래스룸에 들어가 친구들의 일상을 확인하고 본인의 일상도 올려본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멜버른에서는 휴교령이 내린 지 3~4일 만에 교육 주체 간(교육부-학교-학부모-학생) 소통이 이메일 몇 통으로 이뤄지고 원격수업 대비가 끝난 셈이다.
IT 강국의 우왕좌왕
한국에서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친구와 통화를 했다. 아직 개학도 못 해서 얼굴도 본 적 없는 학생들의 부모에게 하루 종일 전화를 돌렸다고 했다. 개인 핸드폰 번호가 노출되어서 망설여졌지만 비상사태이니 어쩔 수 없다고 했다.
부모들은 바쁘거나 스팸 전화인 줄 알고 받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도 했다. 이름이 비슷하거나 같은 애들이 있고 얼굴도 모르니 너무 혼란스러워서 실수를 했다고 했다. 학생을 헷갈려 상담하는 자신을 보고 학부모와 같이 웃었다고 했다.
"근데, 호주는 온라인 수업 준비 어떻게 해? 거기도 여기처럼 정신없어?"
이미 학교와 가정에서 준비가 끝났고 정부의 결정을 기다리는 중이라고 하자 친구는 물었다.
"어떻게 그게 가능해?"
정보기술(IT) 강국이란 자부심이 대단한 나라에서 한 달 넘게 이어지는 휴교령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원격 수업에 대한 갈피를 잡지 못했다 한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교사들의 타임라인에는 원격 수업에 대한 근심과 회의가 밀려들고 처음 경험하는 행정 업무에 지친 하소연이 계속 올라왔다.
호주는 느린 인터넷 속도 때문에 원성이 자자한 곳이다. 아이가 다니는 초등학교에는 스마트폰을 소지한 학생을 찾아보기 어렵다. 지인들은 그런 나라에서 어떻게 휴교령이 내려지고 단지 며칠 만에 준비가 된다는 건지 의아해 한다.
반대로 호주에 살아보면, 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 속도와 높은 인터넷 보급률, 얼리어답터들이 모인 나라, 어린 학생부터 어른까지 스마트폰 보급률이 현저히 높은 국가에서 왜 우왕좌왕하는지 반문하지 않을 수 없다.
학원 보낼 필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