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암리 학살터에 세워진 3.1운동 순국 기념탑일본 군인들이 제암리 예배당에 마을 주민들을 몰아넣고 불을 질러 학살한 터에는 현재 3.1운동 순국 기념탑이 들어서 있다.
운민
경기도 남부의 너른 땅 화성, 아름다운 풍경이 수채화처럼 펼쳐지고 마을 구석구석 저마다 고유한 이야기를 품고 있다. 특히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걸쳐 중국으로 통하는 국제 무역항으로써 화려했던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시대의 아픔을 켜켜이 품고 있는 고장이기도 하다.
그동안 궁궐, 사원 등 조상들의 화려했던 생활을 살펴보는 여행이 주를 이뤘지만 비극이 일어났던 장소를 찾아가 반성과 교훈을 얻는 다크 투어리즘이라는 형태도 점점 성장하고 있다. 대규모 학살이 일어났던 캄보디아의 킬링 필드, 폴란드의 아우슈비츠 수용소 심지어 우크라이나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까지 그 범위는 넓고 다양하다. 이번에 먼저 찾아갈 화성의 제암리 3.1 운동 순국기념관이 바로 그런 곳 중 하나라 할 수 있겠다.
3.1 운동은 익히 알려진 대로 일제의 통치에 반발해 수개월에 걸쳐 시민 다수가 봉기하여 대한민국의 독립을 선언한 한민족 최대의 독립운동이다. 1910년 일본은 한국을 강제로 병합한 이후 일명 무단통치라 불리는 강압적인 억압정책을 펼쳐나가고 있었다. 게다가 일제는 목포와 군산항을 통해 쌀 수탈을 하며 우리의 농민들은 큰 시름 속에서 하루하루를 버텨야만 했으며 쌀값은 폭등하여 민생고는 점점 험해져만 갔다.
하지만 멀리 서방에서 들려온 한 소식은 조선 민중들에게 한 줄기 빛이 되었다. 1919년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열린 파리 강화 회의에서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제안한 14개 조 원칙 중에 '각 민족의 운명은 그 민족이 스스로 결정하게 하자'라는 내용이 있었다. 이른바 민족자결주의라 불리게 되는 이러한 내용이 태평양을 건너 한반도 전체로 소식이 퍼지게 되면서 독립에 대한 열망을 갈수록 고조되고 있었다.
물론 윌슨 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는 패전국인 오스트리아, 터키의 국토를 찢어놓으려고 한 의도였기에 다른 국가의 식민지의 요구는 금세 묵살되었다. 연이어 대한제국의 황제인 고종이 승하하는 일이 발생했다. 세간에는 일제에 의한 독살설이 팽배했기에 소문이 점점 퍼지며 반일감정은 커져만 갔고, 각종 단체들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기 시작했다. 결국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을 시발점으로 전국적으로 거대한 시위운동이 펼쳐진다. 이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3.1 운동의 전말이다.
특히 화성 지역은 일제가 기존에 있던 갯벌을 논과 염전으로 간척하여 많은 조선인 노동자, 농민을 유입시켰고, 그들을 관리하던 일본인 관리들은 수확물의 독점과 폭리로 그들을 불만에 휩싸이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