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기장군 장안읍에 있는 고리원자력발전소(고리원전).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원전 가동 과정에서 막대한 열을 내뿜고 남은 사용후핵연료의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중간저장시설 마련까지 부지 내에 임시 건식저장시설을 지어 한시적으로 보관하려 하지만, 지역 단체는 "사실상의 영구처분장"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김보성
한국수력원자력이 고리원자력발전소 지상에 고준위방사성폐기물(사용후핵연료, 핵폐기물)을 보관할 임시 건식저장시설 추진을 밀어붙이고 있다. 한수원이 이사회에 관련 안건을 상정하자, 원전지역 단체는 "사실상의 영구처분장"이라며 반발에 나섰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 "빠른 추진" 강조
26일 한수원의 설명을 정리하면 이틀 뒤 열리는 이사회 안건에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계획안이 오른다. 한수원 측은 <오마이뉴스>의 질의에 "28일 오후 2시 이사회를 개최하고 해당 안건을 상정한다"라고 밝혔다. 구체적 내용과 이후 절차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이사회 내에서는 이견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수원 측은 "일단 안부터 통과가 돼야 이야기가 가능할 것 같다"라고 전했다.
이사회 상정안은 고리원전 부지에 대규모 저장시설을 지어 중간저장·영구처분장 마련까지 한시적으로 사용후핵연료를 보관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지난 8일 MBN <토요포커스> 인터뷰와 9일 국정감사에서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이에 대한 빠른 추진을 강조한 바 있다. 황 사장은 "그게 자신에게 주어진 책무"라고 말했다.
원전을 가동하면 연간 경수로 1기당 약 31~61다발, 중수로 1기당 4300다발의 사용후핵연료가 나온다. 지난해 3분기까지 전체 원전에서 50만 다발이 발생했고, 설계수명 만료까지 13만 다발이 누적될 전망이다. 보관법을 찾지 못해 지금은 원전 수조에 습식 저장하고 있으나, 포화시점은 10년도 채 남지 않았다. 고리·한빛·한울 원전본부 등은 2031년부터 순차적 포화를 예상한다.
원전산업 부활에 나선 정부와 한수원은 부지 내 임시 건식저장시설을 대안으로 내놨다. 2차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기본계획에 따라 진행되며 본격적 가동 시기는 2030년이다. 용역과 설계, 인허가를 거쳐 2029년 시설을 완료하겠다는 안을 세웠다. 현재 월성원전(중수로)은 사용후핵연료를 수조에서 꺼내 지상의 맥스터(조밀건식저장시설)에 옮겨 저장한다. 경수로인 고리원전에도 같은 시설을 도입하자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