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차게 떠오르는 계묘년 설날 첫 해돋이

모두의 희망, 꿈을 이루는 한해를 기원하며

등록 2023.01.22 11:06수정 2023.01.25 09:05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a

경주시 양남면 하서리 앞 바다에서 계묘년 정월 초하루 아침 새해가 떠오르고 있다. ⓒ 김재우


계묘년 정월 초하루, 동해의 끝자락인 경주시 양남면 하서리 앞 바다에 첫해가 힘차게 떠올랐다. 서로가 서로에게 희망을 주는 한해가 되길 바라는 시민들이 떠오르는 태양을 보며 저마다의 소망을 꿈꾸었다. 침체된 경제가 살아나고 서민들의 삶이 나아지는 계묘년이 되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하서리 포구의 옛 지명은 율포항이다. 일본의 사신들이 율포항을 통해 드나들었고 일본과의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진 역사의 현장이다. 주위엔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 문무대왕의 수중릉, 이견대, 감은사지 등이 있다. 주상절리 군락은 지난 2012년 천연기념물로 인정받아 해마다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이다.
 
a

해돋이를 보며 서로의 소망을 기원하는 시민들. ⓒ 김재우

 
죽어서 용이 되어 왜구로부터 바다를 지키겠다며 자신의 유골을 바다에 뿌리라고 한 문무대왕의 유언에 따라 수중왕릉 주위에 산골됐다. 문무대왕의 아들인 신라 31대 신문왕은 선대왕의 위업을 기리기 위해 동해바닷물이 드나들 수 있는 바다 인근에 감은사를 건립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는 감은사가 완성된 이듬해 동해 가운데 작은 섬 하나가 감은사 쪽으로 내려왔다는 보고를 듣고 일관에게 점을 쳐 보게 한 결과, 바다의 용이 된 문무왕이 33천으로 돌아간 김유신과 함께 신라를 지킬 값을 매길 수 없는 보물을 내릴 것이라는 괘가 나오자 신문왕이 기뻐하며 이틀 뒤에 이견대로 가서 그 산을 몸소 바라보았다고 적고 있다.

그 뒤 신문왕은 동해의 용으로부터 검은 옥대를 선사받았고, 용의 계시대로 섬 위에 솟아 있던 대나무를 베어다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는 신비한 피리를 만들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계묘년 정월 초하루 일출 #문무대왕 수중왕릉 #감은사 #만파식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진실을 기록하고 찰나를 찍습니다. 사단법인 한국지역연구원 연구위원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게 뭔 일이래유"... 온 동네 주민들 깜짝 놀란 이유
  2. 2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3. 3 팔봉산 안전데크에 텐트 친 관광객... "제발 이러지 말자"
  4. 4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5. 5 공영주차장 캠핑 금지... 캠핑족, "단순 차박금지는 지나쳐" 반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