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가족·일가친족의 항일투쟁

[김삼웅의 인물열전 - 암흑기의 선각 석주 이상룡 평전 47] 석주 이상룡 선생은 선각자였다

등록 2023.06.28 15:46수정 2023.06.28 15:46
0
원고료로 응원
a

대한민국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인 석주 이상룡 선생 생가인 경북 안동 임청각. 임청각 복원을 위해 일제시대 설치되어 최근까지 기차가 오가던 철길 해체 공사가 한창이다. ⓒ 권우성

 
석주 이상룡 선생은 선각자였다. 기득권을 버린 한국형 노블레스 오블리주였다. 안동 지역의 뿌리 깊은 보수유림의 고루한 외투를 벗어던지고 맨 먼저 혁신유림의 기치를 들었다.

시대의 징후를 예감한 파격의 의식세계 쇄신이었고 확장이었다. 이상룡은 척사와 의병전쟁의 근왕주의적 관계, 애국계몽운동론과 사회진화론에 입각한 근대화론자들의 한계, 민족해방운동 노선에서 외교론과 실력양성론의 부르주아적 안이성 등 당대의 주요 민족담론들의 허구성을 예리하게 꿰뚫어보면서 시대적 상황의 리얼리티에 바싹 다가간 인물이었다. (주석 6)

일제강점기 민족해방 투쟁의 방법론에서 외교론이나 실력양성론에 비해 무장전쟁론은 의열투쟁과 함께 가장 어려운 분야이고 그만큼 가장 많은 희생을 치렀다. 앞의 두 가지 방법이 비교적 안전지대에서 활동이라면 뒤의 방법은 적진에서 또는 최전선에서 싸우는 것이어서 그만큼 위험이 따랐고 실제로 희생자가 그만큼 많았다.

석주 선생은 시종 의병전쟁으로부터 무장투쟁의 길을 걸었다. 그의 선각적인 투쟁에는 가족, 일가, 친족이 함께 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보기 드문 현상이다.

이상룡과 일가는 모두 고난의 길을 같이했다. 그의 종숙인 승화와 두 동생 상동·봉희, 외아들 준형, 사위 강남호, 조카 형국·운형·광민·광국, 손자 병화 등과 친·인척 50여 가구가 뜻을 이루지 못하면 살아서 돌아오지 않겠다는 비장한 각오로 고향땅을 등졌다. 비슷한 시기에 이회영 6형제도 압록강을 건넜다. 

이상룡은 안동 전통 명가의 종손이다. 가까이로 한말 경북지역 의병의 선두에 섰던 서산 김흥락이 스승이었고, 성일 권세연은 그의 외삼촌이며, 의병대장 왕산 허위는 석주의 아들 준형과 사돈 간이다. 처남 백하 김대락과 월송 김형식 부자, 그리고 일송 김동삼은 만주 망명길에 같이 오른 평생 동지로서 모두 조국의 제단에 순국한 이들이다. 애국시인 이육사 형제들은 어려서부터 고모가인 이상룡의 고택 임청각을 드나들며 많은 훈도를 받았다. (주석 7)
a

임청각 사당에 모셔진 독립운동가들 임청각 사당의 석주 이상룡을 비롯한 독립운동가 영정과 훈장, 표창 ⓒ 김해규

 
일제의 보복은 참혹했다. 1930년대 서울 청량리에서 경북 안동까지 가는 철도 노선을, 석주 선생의 생가이며 독립운동가 11명을 배출한 임청각을 관통하도록 철도를 놓았다. 아흔 아홉칸 대저택 한가운데로 철로가 놓이고, 행랑채와 부속건물 등 50여 칸도 뜯어내 훼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8.15광복절 경축사에서 석주 선생과 일가의 독립투쟁, 그리고 일제가 독립정신을 훼손하고자 임청각에 철도를 부설한 사실을 소개하면서 복원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임청각 종합정비계획이 수립되고, 임청각 마당을 철도개설 이전의 모습으로 되돌리는 것을 원칙으로 복원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곳에는 임청각 사람들의 행적을 기리는 기념관도 세울 예정이다.


임청각 사람들은 치열하게 독립운동을 하였다. 1세대의 석주 선생을 정점으로 2세대로 지속되었다. 
a

대한민국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인 석주 이상룡 선생 생가인 경북 안동 임청각. 임청각 복원을 위해 일제시대 설치되어 최근까지 기차가 오가던 철길 해체 공사가 한창이다. ⓒ 권우성

 
1920년대 중반 무렵부터 이광민 등 2세대가 새로운 지도자로 성장하여 만주지역을 이끌어 나갔으며, 이상룡은 192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이 되어 독립운동계를 지도하였다. 이듬해 만주로 돌아온 이상룡은 1932년 서란현 소과전자촌에서 서거할 때까지, 조국 광복을 위해 온 힘을 쏟았다. 가족들은 그 뜻을 이어 온갖 어려움을 견뎌내며, 끈질기게 항일투쟁을 펼쳤다.  

임청각 출신으로 독립유공자로 서훈된 사람은 9명이지만, 그들 뒤에는 서훈받지 못한 많은 조력자가 있었다. 특히 함께 만주로 망명하여 항일투쟁을 내조한 여성들의 공로 또한 적지 않다. 압록강을 건너는 순간 이들 앞에는 삼중의 무거운 과제가 놓여 있었다. 우선은 1세대 독립운동가를 지원하며 자신의 뜻을 다잡는 것이 큰 과제였고, 또 하나는 시시각각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생활 현장에서 가족들의 호구지책을 마련해야 했다. 

거기에다 함께 간 어린 자녀들을 민족 앞에 쓸 좋은 인재로 길러내야 했다. 이러한 과제 앞에 임청각 여성들은 추호도 뜻을 꺾지 않고, 당당히 자신의 삶을 헤쳐 나갔다. 임청각 사람들이 2~3세대를 이어 오랜 시간 만주에서 항일투쟁을 이끌어갈 수 있었던 바탕에는 바로 여성들이 있었다. (주석 8)


주석
6> 윤무한, <이상룡, 만주땅에 '해방구' 일군 초대 국무령>, <내일을 여는 역사> 2006년 가을호, 117쪽.
7> 앞의 책, 116쪽.
8> <석주 이상룡 탄신 160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팜플렛, 2018년 3월, 경북도 독립운동기념관.
덧붙이는 글 [김삼웅의 인물열전 - 암흑기의 선각 석주 이상룡 평전]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이상룡 #석주이상룡평전 #이상룡평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AD

AD

AD

인기기사

  1. 1 샌디에이고에 부는 'K-아줌마' 돌풍, 심상치 않네
  2. 2 황석영 작가 "윤 대통령, 차라리 빨리 하야해야"
  3. 3 경찰서에서 고3 아들에 보낸 우편물의 전말
  4. 4 '25만원 지원' 효과? 이 나라에서 이미 효과가 검증되었다
  5. 5 "윤 대통령, 류희림 해촉하고 영수회담 때 언론탄압 사과해야"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