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이야기들은 그냥 흘러가게 두지 않고 마음에 남기고 싶었다. 제목에 더 공을 들이게 된 이유다.
elements.envato
그 와중에도 고민은 있었다. 모든 영역을 잘 해내야 한다는 압박과 동시에 잘 해내지 못한다는 마음 사이에서 나는 때때로 괴로웠다. 열 명 남짓한 사람들이 일하는 부서에서 내가 그나마 잘하는 것은 뭔지 살펴보기 시작했다.
교정 교열, 비문 잡기, 제목 뽑는 일도 편집이지만, 기획도 하고, 글쓰기도 있는데 그 다양한 영역에서 내 무기로 삼을 만한 것이 뭘까? 생각하면 당장 떠오르는 것이 없어 불안했고 불안한 만큼 반드시 뭐라도 찾아내야 할 것 같았다. 왜? 나는 10년차를 넘어가고 있었으니까. 적어도 2~3년차의 고민과 같을 수 없다. 같아서도 안 되고.
일단 나는 어떤 뉴스를 좋아하는지 생각했다. 뉴스 기사 보는 일을 10년 이상 해 왔는데, 내가 어떤 뉴스를 좋아하고 또 좋아하지 않는지 시간을 들여 깊이 따져본 적은 없었다.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 뉴스는 아니었다.
하루도 똑같지 않은 날씨만큼이나 변화무쌍한 게 뉴스다. 오전이 다르고, 오후가 다르고, 저녁이 다르다. 어떨 땐 새벽에도 상황이 변한다. 그 상황이 하루를 지나 이틀, 일주일, 한 달 이상 가는 경우도 많다. 그걸 쫓아가는 일이 나는 하나도 재밌지 않았다. 정치, 사회 기사의 제목을 다는 일도.
그런 기사의 제목에는 내 생각이나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창의적으로 담아내기 어려웠다. 정치인의 발언이나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소식을 정확하게, 그저 남들보다 더 빨리, 어떻게든 눈에 띄게, 많이 전할 방법을 찾는 게 더 중요하게 보였다. 뉴스의 속도를 따라잡기가 늘 버거웠다. 그 일을 할수록 내가 소모되는 기분이었다. 그런 소식들은 그냥 흘러가게 두고 싶었다.
반면 사는이야기와 같은 글을 볼 때는 조금 다른 감정이 생겼다. 자신들의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그런 글을 검토하면 나도 다정한 사람이 되는 기분이었다. 좋은 사람으로 살고 싶어졌다.
독자들이 읽기 쉽고 이해하기 편하게 다듬어서 보여주고 싶은 마음이 절로 생겼다. 더 많은 독자들이 읽었으면 하고 바랐다. 사는이야기들은 그냥 흘러가게 두기 아까웠다. 내 마음에 차곡차곡 쟁여두고 싶었다. 이런 글의 제목에 더 공을 들이게 된 이유다.
제목만 보아도 독자들이 '한번 들어가 볼까?' 하는 마음을 먹게 만드는 독창적이고, 재밌는 그러면서도 내용을 잘 담고 있는 문장이 뭔지 계속 생각했다. "제목 좋네", "이 기사 제목 누가 뽑았니?"라고 칭찬을 들었던 제목들은 대부분 이런 종류의 기사들에서 나왔다. 그럴 때마다 속엣말이 들렸다. '이건 좀 재밌는데?'
그 무렵부터였던 것 같다. 분야별 전담 편집을 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던 것은. 메뉴 많은 식당을 떠올려 보라. 그런 집에 가면 나는 의심부터 든다. 이게 다 맛있을까? 기대보다 불안한 마음이 크다. 내가 선호하는 가게는 작지만 심플한 메뉴 두세 가지 있는 집이다. 왜? 가짓수가 적은 만큼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더 정성스럽게 만들 것 같아서다.
그런 가게 사장님처럼 일해보고 싶었다. 주력 메뉴 두어 가지만 자신 있게 선보이는. 사장도 고객도 만족할 수 있는. 그 메뉴가 나에게는 글쓰기와 사는 이야기였다. 그리고 그 두 가지를 관통하는 것이 제목이었고. 그 일을 해 온 시간이 벌써 5년도 넘었다. 그렇다면 이것을 내가 가진 무기라고 생각해도 되지 않을까?
누가 시키지 않아도 내 일을 돌아보며 기록하고, 새로운 일에 도전해 보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일 거다. 그냥 두면 녹이 슬까 봐. 칼을 벼리듯 더 벼리고 벼리는 거다. 날카로움을 잃지 않는 칼처럼 나의 쓸모를 잃고 싶지 않아서. 그래서 이 글도 써 나가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어떤 무기도 그냥 주어지는 법은 없으니까.
제목은 소통이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