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김영호 통일부 장관 임명장 수여식에 입장하고 있다. 2023.7.28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의 이상한 인권관
윤석열 정부에서 인권은, 개념은 하나이지만 전혀 다른 가치로 활용된다. 윤석열 정부에서 북한 인권은 그 말만 들어도 가슴이 뜨거워지는 상징어이다. 북한 인권이라는 숭고한 가치 아래 윤석열 대통령부터 정권의 모든 대오가 오늘도 북한 인권 투사가 된다.
하지만 '북한 인권'에서 '북한'을 떼버리면 얘기가 달라진다. 특히 국내에서 인권이란 단어만큼 윤석열 정부가 터부시하며 듣기 싫어하는 단어도 없을 것이다. 솔직히 윤석열 정부는 '인권'과 친화적이지 않다. 누구나 아는 얘기고 공감하는 부분이라 생각한다. 스스로도 인권을 얘기할 때면 머쓱해진다.
노동단체에 대한 탄압, 여성가족부 해체로 대표되는 여성 인권에 대한 히스테리, 청소년 인권에 대한 몰이해, 이태원 참사 등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인권 인식의 부족 등 윤석열 정부는 인권과 다소 거리가 멀거나, 일반적인 인권 개념과는 다른 자신들만의 인권관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필자는 우리나라의 인권 문제가 단지 윤석열 정부만의 잘못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윤석열 정부가 국내 인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준비나 비전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현실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사회 곳곳에서 권위주의가 강화되고 있으며 민주주의의 가치와 절차는 위축되고 있다. 그들이 민주주의나 자유, 인권의 '가치'를 내세우는 것이 한편의 블랙 코미디처럼 보이는 이유이다.
국내 인권보다 중요한 북한 인권?
그렇다면 질문하게 된다. 국내 인권에는 침묵하다 못해 인권의 후퇴를 가져온 정부가 왜 북한 인권에 이렇게까지 열을 올리는 것인가? 나는 윤석열 정부가 북한의 '인권'에 진심으로 관심이 있다고 믿지 않는다. 한국에서 인권에 침묵하는 정권이 북한의 인권에 진심일 이유가 없다.
너무 자의적인 것 아닌가 질문할 수 있다. 하지만 사실이 그렇다. 윤석열 정부의 북한 인권 정책은 구호에 그치고 있다. 윤석열 정부가 북한 인권을 연일 제기해 온 것에 비해, 북한의 인권이 증진됐다는 성과는 솔직히 전무하다. 물론 국제 사회에서 북한 인권을 내세워 북한을 압박하고 북한인권보고서를 공개하는 등의 '노력'은 있었다. 하지만 그래서 북한 인권의 어떤 문제를 해결했나? 없다.
지난 7월 윤석열 대통령은 극우 인사인 김영호 통일부 장관을 임명했다. 북한체제의 전복을 주장하는 김영호 장관의 임명은 남북 대화가 이 정부 임기 내에, 최소한 김영호 장관 임기 내에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북한 인권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정부가 남북대화 자체가 불가능한 통일부 장관을 임명했으니 스스로 선택지를 지워버린 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