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수 방류 방관하는 정부 보며 아이 낳지 않기로 했다"

충남시민단체와 야당 오염수 방류 반대 기자회견... 충남도, 대책 발표로 민심 달래기

등록 2023.08.28 17:13수정 2023.08.28 17:13
0
원고료로 응원
a

충남시민단체가 23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무한정보> 최효진


"정부는 출산과 양육수당을 주면서 출산을 장려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아이를 안전하게 키울 수 없는 환경을 만들고 있다. 아이를 더 낳고 싶지만, 오랜 고민 끝에 방사능 오염수 방류를 방관하는 정부를 보며 더 이상 낳지 않기로 결정했다” - 최인숙 예산홍성환경운동연합 회원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가 방류를 시작하면서 반발이 거세다. 충남 지역 시민단체는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일본 정부를 즉각 제소 할 것을 촉구했다.

충남시민단체연합, 충남환경운동연합, 민주노총 세종충남본부는 지난 23일 오전 11시 충남도청 브리핑실에서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일정 철회 기자회견'을 열었다.

일본 정부는 24일 방사능 오염수를 방류했다. 삼중수소 외에 여러 방사성 물질이 잔류하는데도 2차 정화작업을 한 뒤 물로 희석해 버리고 있다. 

전국 지방의회 중 152개 의회가 방사능 오염수를 반대하는 결의문 등을 채택했고, 충남에서도 8개 시군(천안시·보령시·서산시·계룡시·당진시·서천군·예산군·태안군)이 일본의 오염수 해양 방류를 우려하며 결의문 채택에 함께하고 있다. 

충남 시민사회단체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생성된 방사능 오염수 해양 투기는 인류가 경험해 본 적이 없는 초유의 사태”라며 “그로 인한 환경오염이 어떻게 진행될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가운데, 오염수 해양 투기를 강행하는 것은 바다 생태계와 전세계 인류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행위이자 핵 테러”라고 규정했다.

이들은 ▲방사능 오염수 투기 계획 철회 ▲육상 장기 보관 등의 해법 마련 ▲우리 정부는 해양법 재판소에 일본 정부 즉각 제소 등을 주장했다.

특히 “국민들이 정부가 듣지 않을 것이라 미리 포기하지 말고 함께 반대를 외쳐야 막을 수 있다. 정부가 일본을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제소할 수 있도록 함께 요구해 달라”며 “지금 즉시 방사능 오염수 해양투기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그것 뿐”이라고 호소했다.

충남시민사회단체 뿐만 아니라 민주당, 진보당도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권을 비판했다. 

복기왕 민주당 충남도당 위원장은 “인류의 생명을 존중해야 한다는 ‘상식’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 여기에 대한민국 정부는 말 한마디 못 하고 있다”며 “일본 오염수 방류가 시작됐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다. 언제든 중단 시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진보당 충남도당 역시 “핵 오염수 투기는 한미일 정상회담이 낳은 재앙”이라며 “아무리 따져봐도 얻은 것이라곤 (우리나라는) 일본의 핵 오염수 투기와 대중국 전초기지 전락밖에 없다”며 분노했다.

충남도 "방류 찬성 또는 지지하는 것 아니다"

반대 여론이 들끓자 충남도는 24일 대책을 발표했다. 도는 “오염수 방류에 과학·기술적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나, 방류를 찬성 또는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윤석열 정부의 입장을 되풀이 했다. 

그러면서 도는 해양환경관리(해수·해수욕장 검사), 생산단계관리(도내 수산물 안전성 검사), 유통단계관리(원산지 단속 강화유통식품·학교급식 등 검사), 국민안심지원(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대응 TF 운영·해수수산물 등 방사능 검사결과는 도 누리집과 시군 전광판 공개, 가짜뉴스 대응을 통한 수산업계 지원, 수산물 안전관리 모니터링 강화·수산물 소비 촉진 강화) 등의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충남 예산군에서 발행되는 <무한정보>에서 취재한 기사입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원전 오염수 #예산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본인이 일하고 있는 충남 예산의 지역신문인 <무한정보>에 게재된 기사를 전국의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픈 생각에서 가입합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세계 정상 모인 평화회의, 그 시각 윤 대통령은 귀국길
  2. 2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3. 3 돈 때문에 대치동 학원 강사 된 그녀, 뜻밖의 선택
  4. 4 [단독] 순방 성과라는 우즈벡 고속철, 이미 8개월 전 구매 결정
  5. 5 신장식 "신성한 검찰 가족... 검찰이 김 여사 인권 침해하고 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