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어제 서울 왔다"는 할머니, 사실은 62년 전 일이었다

길 잃은 치매 노인 가족에게 인계... 실종 대비 '지문 사전등록' 알아두세요

등록 2023.09.22 16:48수정 2023.09.23 13:22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서울의 모 경찰서 지구대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찰관이다. 며칠 전 오후 9시쯤 112신고가 접수되었다. '자신이 운영하는 가게 앞 광장에 할머니 한 분이 몇 시간째 앉아 계시는데 걱정된다'라는 내용이었다. 후배 경찰관과 함께 현장으로 출동했다.


평범해 보이는 80대 할머니 한 분이 실제로 공원 중앙광장 벤치에 앉아 있었다. "할머니 안녕하세요. 관내 경찰관입니다. 댁이 어디세요?"라고 물었다. 할머니께서는 한참 동안 우리를 번갈아 가며 쳐다만 볼 뿐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a

경찰이 어르신과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 이번에 만난 할머니는 아니다. ⓒ 박승일

 
"할머니 저 경찰관 맞아요. 이거 경찰 옷이랑 무전기 보시면 아시잖아요"라며 웃음을 지어 주었다. 그래도 할머니는 아무 대답을 하지 않았다. 먼저 119구급대에 공동대응을 요청하고 건강 상태를 체크해 보기로 했다.

10여 분 뒤 소방관들이 도착해 간단한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할머니는 지구대로 함께 순찰차를 타고 이동했다.

지구대에 도착하고 물 한 잔을 마신 뒤에야 할머니는 말씀하셨다. "여기 어디예요?"라는 말씀을 하신 뒤 "내가 길을 잃었나 보네"라며 한숨을 내쉬셨다.

"할머니 여기 지구대예요. 경찰서요"라고 말을 건네자 할머니께서는 "내가 어제 친구랑 같이 서울에 왔어요. 초행길이라 길을 잃었나 봐요. 미안해요"라며 우리를 쳐다보았다.

"집이 어디신데요?", "전남이지"라며 짧게 대답하셨다. "아니 거기서 서울까지 무슨 일로 오신 거예요. 자녀분들 연락처는요?"라고 물었고 할머니께서는 한참을 생각하시더니 "친구는 취직했나?"라며 혼잣말을 하셨다.


할머니께서 들고 계시던 손가방을 열어보니 손수건과 손자가 크레용으로 그려준 것으로 보이는 그림 한 장과 약봉지뿐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은 없었다.

그렇다. 할머니는 치매 환자였다. 경찰 112신고시스템을 통해 치매 노인의 실종자 조회를 하던 중에 인접 경찰서에서 4시간 전쯤에 신고된 이력을 확인했다. 해당 파출소에 전화를 걸어 실종 할머니임을 확인하고 가족에게 연락하도록 했다.

30여 분이 지나 할머니의 50대 후반 아들이 지구대에 도착했다. "어머니 집에 계신다더니 여기까지 어떻게 오셨어요?"라며 할머니의 손을 잡았다. 그제야 할머니는 "내가 여기 있는 건 어떻게 알고 왔냐? 기특하네"라며 웃음을 지었다.

"선생님, 어머니께서 어제 서울에 오셨다는데 맞나요?"
"아닙니다. 어머니께서 62년 전에 서울에 오셨어요. 시골에서 친구분과 함께 취직하려고 와서 지금까지 계속 서울에 살고 계세요."
"아니 근데 왜 어제 서울에 오셨다고 할까요?"
"어머니께서 치매가 있기 전부터 그때 이야기를 종종 하셨어요. 17살 여자가 낯선 서울에 상경해 별별 일을 다 하시고 아버지와 결혼한 뒤에 자식들을 넷이나 키우셨거든요. 그때의 기억이 지금도 가장 많이 남아 있나 봅니다."


할머니는 그렇게 아들의 손을 잡고 지구대를 나섰다. 그리고 한참 동안 필자는 멍하니 할머니께서 앉아 계시던 의자를 바라보았다.

'시골에서 성장하시다 서울로 무작정 상경하신 할머니께서 그 당시 얼마나 무섭고 두려웠을지'를 생각하니 가슴이 먹먹해졌다. 그리고 그때의 기억이 얼마나 강렬했는지는 치매를 앓고 있는 지금의 기억에서 충분히 알 수 있었다.

경찰에서는 치매 노인들의 실종에 대비해 '지문 사전등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실종되었을 때를 대비해 미리 지문과 사진, 보호자 인적사항 등을 등록해 놓고 실종되었을 때 등록된 자료를 활용해 실종자를 발견하는 제도다. 사전등록의 대상은 18세 미만 아동, 지적, 자폐성 정신장애인(연령 무관)과 치매 환자 등이다.

신청 방법은 지구대나 파출소를 방문해 신청하는 방법과 '안전 Dream(드림)' 모바일 앱을 이용해 가능하다. 치매 노인의 경우 사전등록 제도로 정보를 등록해 두면 별도의 실종신고를 하지 않더라도 경찰에서 신원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가족 인계가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다.

실제로 현장에서 근무하다 보면 형사사건을 제외하고 하루에도 한두 건 이상은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경찰서에서 발생한다. 그만큼 자주 발생한다. 그러나 2022년 4월 기준 치매 환자의 사전등록 현황은 32.4%에 불과하다는 통계가 있을 만큼 현저히 낮다.

그러다 보니 치매 노인을 찾더라도 신원을 확인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고 가족들은 그 시간 애타게 찾게 된다. 사랑하는 부모님과 가족을 위해 치매 노인의 지문 등 사전등록을 적극적으로 추천한다.

현장에서 근무하다 보면 큰 사건을 해결하는 것보다 이번 일과 같은 일을 했을 때 큰 보람을 느낀다. 경찰관이라는 것에 새삼 감사하곤 한다. 오늘도 그런 하루다.
#경찰관 #치매 #지문등사전등록 #경찰 #노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서울지방경찰청에 근무하고 있으며, 우리 이웃의 훈훈한 이야기를 쓰고 싶은 현직 경찰관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샌디에이고에 부는 'K-아줌마' 돌풍, 심상치 않네
  2. 2 경찰서에서 고3 아들에 보낸 우편물의 전말
  3. 3 '25만원 지원' 효과? 이 나라에서 이미 효과가 검증되었다
  4. 4 하이브-민희진 사태, 결국 '이게' 문제였다
  5. 5 용산에 끌려가고 이승만에게 박해받은 이순신 종손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