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운동회 같은 필리핀 학교의 스포츠 페스티벌

[퇴직 후 해외봉사] 힘이 넘치는 3일간의 축제

등록 2023.10.22 14:44수정 2023.10.22 14:44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계절의 변화를 감지할 수 없는 열대에서도 달의 운행에 따라 1년 일정이 그물코처럼 촘촘히 짜여 있다. 10월이 되면 벌써 대형상가에서는 크리스마스 시즌과 연말 이벤트를 준비한다. 내가 세 들어 있는 레지던스 2층 휴게실에도 주인 아주머니가 아담하고 예쁘장한 크리스마스트리를 설치해 놨다. 이들의 삶에 깊숙이 스며있는 가톨릭 문화를 엿볼 수 있다.


10월 중하순에 접어들면 우리가 그렇듯 이곳 학교나 직장에서도 다양한 축제가 벌어진다. 내가 몸 담고 있는 학교도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스포츠 페스티벌 기간이다. 학생들은 거의 한 달 전부터 본인이 참가하는 종목을 준비하느라 훈련에 여념이 없었다. 늦은 시간까지 음악과 함성이 끊이질 않았다.

마땅히 연습할 공간이 따로 없어 강의가 없는 날엔 우리 사무실 옆 강의실을 이용하도록 했다. 이들의 열정이 얼마나 대단하던지 시끄러워서 사무실에서 업무를 볼 수가 없을 지경이었다. 하지만 열대에서도 꽃 피는 청춘들의 빛나는 시절들이 이렇게 영글어 가는데 박수 갈채를 보내지 않을 수 없었다.
 
a

학과별 퍼레이드 행사 시작 전 학과별로 집결하여 퍼레이드를 준비 중에 있다. ⓒ 임경욱

 
축제 첫날에는 교직원과 학생들이 학과별로 유니폼을 갖춰 입고 학교를 한 바퀴 돌아 운동장에 집결하는 퍼레이드를 시작으로 축제의 막을 올렸다. 일부러 아침 일찍부터 행사를 진행하는데도 열대의 태양은 이미 달궈져 들뜬 마음들을 운동장 잔디 위로 눌러댄다.

하지만 젊은 학생들의 패기와 열정을 무엇으로 막을 수 있으랴. 늘 조용하고 얌전하고 왜소하기만 한 학생들이 어디서 그런 힘이 넘치는지 3일간의 축제는 열광 그 자체였다.

개회식 직후 각 학과별 응원전을 시작으로 경기는 축구, 배구, 핸드볼, 족구, 탁구, 배드민턴 등 대부분 구기종목으로 이루어져 토너먼트로 대진표를 만들어 진행했다. 선생과 학생들이 하나가 되어 뛰고, 넘어지고, 구르면서 하나가 되어가는 모습이 함께 뛰지 못하고 구경만 하는 이방인의 마음을 따뜻하게 했다.

잘 꾸며진 운동장이 많지 않아 좁은 공터나 골목길에 농구대를 세워놓고 농구를 즐기는 청소년들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런 저력이 있기에 이번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게 아니겠는가. 각 종목별로 기량이 특출한 선수들이 몇몇 포진하고 있어서 응원전의 열기는 한층 고조되었다.
 
a

스포츠 페스티벌 개회식 학과별로 운동장에 집결하여 개회식을 진행하고 있다. ⓒ 임경욱


스포츠 페스티벌이라는 이름과는 다르게 댄스, 음악 분야에서 팀을 구성해 실력을 겨루는 행사는 마지막 날 늦은 시간까지 계속되어 그야말로 축제의 피날레를 멋지게 장식했다. 노래를 하고 춤을 추는 건 우리 젊은이들과 별반 다를 바가 없다.


그 밖에도 그림, 사진, 디자인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는 학생들이 작품을 전시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정규과정을 거쳐 공부한 것도 아닌데, 스스로 틈틈이 배우고 익혀 이렇게 공식 석상에 내놓을 수 있는 용기가 얼마나 멋진 일인가.

우리나라 대학축제가 어떤 것인지를 알기에, 이들의 축제가 얼마나 건전하고 검소한가를 알 수 있겠다. 우리도 지금은 문화가 많이 바뀌었겠지만, 잡상인과 술판과 쓰레기만 남는 그런 축제와는 다르게 학과별로 배정된 텐트에서 학생들이 감자튀김, 볶음밥, 옥수수 등 간식을 파는 게 먹거리의 전부다.


젊은이들 사이에는 문화 전파력이 빨라 모든 것을 쉽게 공유할 수 있다. 우리가 자랑하는 K-Pop, K-Food를 이들이 모두 흉내 내고 따라 한다. 필리핀의 대형마트에 가면 한국의 김치부터 소주까지 웬만한 것은 다 갖춰져 있다. 다만 그것이 한국에서 직접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비단 그것뿐이겠는가. 반도체, 자동차, AI 등도 금방 모방해서 치고 올라올 것이다.
 
a

댄스경연대회 대강당에서 다양한 음악과 춤을 선보이는 댄스 경연대회가 열려 학생들이 열광하고 있다. ⓒ 임경욱

 
문화는 그곳에 소속되어 있는 사람들이 만들어 간다. 조직의 구성원들이 진취적이고 미래지향적이라면 그 조직은 희망적인 조직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로 모든 조직의 성장이 멈춰있다가 베이비부머들이 퇴직하면서 급격히 세대교체가 이뤄지고 있다. 조직 문화가 갑자기 바뀌는 것이다. 이제 문화를 순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것이 그들의 몫이다.

기성세대들이 만든 군사적 조직문화, 권위적 위계질서, 폐쇄적 업무수행 등 잘못된 문화를 바로 잡아 민주적이고 개방적인 문화를 만들어야 만이 능동적인 성장동력을 얻을 수 있다.

지금 젊은이들이 장악해가는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등 동남아의 신흥국가들이 빠르게 우리를 추격해 오고 있다. 이들에게 우리가 지금은 우상이지만, 언제 이 상황이 바뀔지 모른다.
#코이카봉사단 #KOICA #한필직업훈련센터 #TESDA #다바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인생은 물처럼, 바람처럼, 시(詩)처럼 / essayist, reader, traveler


AD

AD

AD

인기기사

  1. 1 낙동강 해평습지서 '표범장지뱀' 본 전문가 "놀랍다"
  2. 2 "이게 뭔 일이래유"... 온 동네 주민들 깜짝 놀란 이유
  3. 3 팔봉산 안전데크에 텐트 친 관광객... "제발 이러지 말자"
  4. 4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5. 5 공영주차장 캠핑 금지... 캠핑족, "단순 차박금지는 지나쳐" 반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