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노동사회위원회가 지난 2022년 10월 31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압사 참사 현장을 방문해 헌화하며 희생자들의 극락왕생을 기원했다.
권우성
트라우마, 우울증, 그리고
지난 1년이라는 시간이 어떻게 흘렀을까. 스스로 물어봤지만, 답을 하지 못했다. 나는 자주 기억을 놓쳤고, 현실 감각이 떨어져가는 것만 같았다. 친구들과의 대화도 공감이 되지 않아 힘들어질 무렵, 깨달아버렸다. 우울증이구나.
10.29 이태원 참사를 겪고, 트라우마 반응을 치료하기 시작한 지 4개월이 지나갈 무렵 트라우마 치료는 마무리됐다. 그러나, 트라우마가 가고 나니 우울증이 찾아왔다. 사회는 다방면으로 나를 아프게 했다.
지난 여름 비가 많이 내리던 날, 청주 오송에선 14명의 사람들이 터널에 갇혀 빠지지 않는 빗물 속에 숨을 거뒀다. 그렇게 또 하나의 사회적 참사가 발생했던 날, 나는 일기장을 뒤적거렸다.
'또다시 이렇게 사회적 참사가 일어나면, 정말이지 잘 살 자신이 없어. 무너져버릴 것 같아.'
또 어떤 날은,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던 푸르른 선생님들이 별이 돼 떠나갔다. 그렇게 몇몇 이들을 떠나보내고 나니,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이건 사회적 학대구나.
10.29 이태원 참사 이후, 세상이 서로를 위로하는 법을 몰라 혐오와 비난을 쏟아내던 그때와 비슷한 상황을 목격하며, 나는 용기를 잃었다. 피멍이 든 사람들만 보이는 이 세상이, 사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 사람들은 도대체 왜 살지, 왜 사는 것일까. 스스로 끊임없이 되물었다.
이해 받고 싶었다, 나의 고통을. 그리고 이 세상의 고통을 사람들이 다 이해해주기를 바랐다. 참사에 대한 흔적이, 마치 없었던 일처럼 지워지는 것 같아 눈물이 나고 무기력해지기도했다.
듣고 싶지 않은 이야기라면 하지 말아야 한다고도 생각할 무렵, 나는 다시 글을 쓰기 시작했다. 사회적 참사가 한 개인을 어떻게 무너뜨리는지에 대해서 적나라하게 써내려갔다. 개인의 기록의 사회적 기록이 될 수 있다는 말을 그때는 믿고 싶었다.
우리 모두는 생존자라고, 다시 외치고 싶었다
1년간 이태원 참사 생존자로서의 기록을 엮으며, 나는 나의 치부를 드러내고 약점과 단점을 모두 공개했다. 우울증이라는 늪에 빠졌던 이야기뿐만 아니라, 이를 이겨내기 위해 사용한 방법도 모두 적어내려갔다.
큰 우울을 겪고 그렇게 힘을 들여가며 굳이 책을 쓰는 이유를 묻는 이들도 있었다. 내 대답은 하나였다. '자꾸 말하지 않으면, 기록하지 않으면 정말 사람들이 다 잊더라'고. '잊지는 말아야지, 사회를 변화시킬 수는 없어도, 적어도 사람이면 잊지는 말아야지.' 나는 이런 마음으로 글을 써냈다. 내가 서 있는 자리에서 내가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 생을 다하는 날까지 최선을 다해 말하고 싶었다. 그 방법이 글을 써내는 것이었을 뿐이다.
나는 더 이상 창피하게 살고 싶지 않다. 창피한 어른으로 늙어갈 생각은 더더욱 없다. 10.29 이태원 참사는 개인의 잘못이 아니라고, 사회적 참사라고 계속해서 강조해 말하고 싶다. 그날, 그 참사를 보고 들은 대한민국 국민은 모두 참사 생존자라고 다시 한번 외치고 싶다.
그러니 우리 모두 생존자로서 이 날을 잊지 말자고 전하고 싶다.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아도 책을 통해, 기사를 통해, 뉴스를 통해, 그 무엇으로든 자신의 자리에서 공감하고 마음 아파해주는 것만으로도 이 참사를 기억하는 것일테니, 우리 모두가 함께하자고. 그런 메시지를 담아, 최근 <제가 참사 생존자인가요> 책을 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