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조·중·동 대통령 맹비난 "국가보다 부인 더 챙겨"

윤-한 충돌에 한목소리로 대통령의 '김건희 리스크' 대응 비판

등록 2024.01.23 14:31수정 2024.01.23 15:33
3
원고료로 응원
지난 22일 '사천' 논란과 '김건희 리스크' 해결책을 두고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충돌하는 사태에 언론 역시 기민하게 반응했다. 특히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는 사설과 칼럼에서 이번 사태와 관련해 윤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하고 배우자 김건희씨의 명품백 수수에 대한 사과를 요구했다.

<중앙> "선 넘은 당무 개입, 대통령도 처벌 받는다는 선례 만든 건 윤 대통령"
 
a

<중앙일보>의 경우 이례적으로 23일자 사설을 모두 이번 사태에 할애했다. ⓒ <중앙일보>

 
먼저 <중앙일보>의 경우 이례적으로 23일자 사설을 모두 이번 사태에 할애했다.

"대통령실의 한동훈 사퇴 요구는 도 넘은 당무 개입"이라는 제목의 사설은 "여당에 대한 대통령실의 당무 개입이 선을 넘었다"라면서 "하지만 여당의 비대위원장은 장·차관이나 공공기관장처럼 대통령과 수직적 관계가 아니다"라며 수평적 당정 관계를 강조했다. 특히 <중앙일보>는 "선거철에 대통령이 여당에 깊이 개입하면 처벌받는다는 선례를 남긴 사람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윤 대통령 본인"이라며 당무 개입으로 인한 대통령 처벌을 언급했다.

또한 <중앙일보>는 계속되는 윤 대통령과 여당 대표의 불화에 "여당을 바라보는 검사 출신 대통령의 비민주적 인식 자체를 교정할 필요가 있다"라고 비판하며 "4월 총선을 목전에 두고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의 돌발적인 충돌은 보수 진영에 큰 충격이 아닐 수 없다. 가뜩이나 힘을 합쳐도 결과를 낙관하기 어려운 형국인데, 지도부의 내분이 불거지면 선거는 해보나 마나"라며 이번 사태가 총선에 미칠 여파를 우려했다.

<중앙일보>는 "문제의 핵심은 김건희 여사 리스크의 해소 여부다"라는 제목의 사설에서는 김씨의 명품백 수수에 대한 대통령실의 해명을 지적하며 "이런 자세가 사건을 더욱 키워 온 셈"이라면서 "사태의 심각성을 고려할 때 김 여사가 직접 전후 사정을 설명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그게 어렵다면 대통령실에서라도 상세히 설명하는 게 국민에 대한 도리"라며 제대로 된 해명을 요구했다.

<조선> "애초에 윤 대통령 사과했다면 이럴 일도 아니었다"
  
a

<조선일보>는 "대통령직의 국민과 국정에 대한 책임은 막중한 것"이라는 제목의 23일 사설에서 "대통령과 한 위원장의 갈등은 김건희 여사 명품백 의혹이 원인"이라고 규정하면서 "윤 대통령과 김 여사로는 억울한 측면이 있다"면서도 "애초에 윤 대통령이 사과하고 재발 방지 조치를 했다면 이렇게까지 번질 일이 아니었다"며 윤 대통령의 대응이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 <조선일보>

 
<조선일보> 역시 이번 사태의 책임을 두고 윤 대통령 비판에 나섰다.

"대통령직의 국민과 국정에 대한 책임은 막중한 것"이라는 제목의 23일 사설에서 "대통령과 한 위원장의 갈등은 김건희 여사 명품백 의혹이 원인"이라고 규정하면서 "윤 대통령과 김 여사로는 억울한 측면이 있다"라면서도 "애초에 윤 대통령이 사과하고 재발 방지 조치를 했다면 이렇게까지 번질 일이 아니었다"라며 윤 대통령의 대응이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조선일보>는 "대통령은 정치인이기도 하지만 국정 최종 책임자"라며 "그런데 지금 대통령은 그 막중한 책임에 걸맞게 신중한 결정을 하고 있는가"라고 꼬집었다. "정부와 국민 사이에 핵이 터져도 깨지지 않을 만큼 두툼한 콘크리트 벽이 있다"라는 윤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하며 "윤 대통령은 지금 그 벽을 깨고 있는지 묻게 된다"고도 했다.

한편 <조선일보>는 이날 "사과해도 괜찮아"라는 송혜진 <조선일보> 기자의 칼럼을 실었다. 해당 칼럼은 한 초등학생의 사과문을 언급하면서 최근 현근택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성희롱 논란 관련 사과가 그보다도 못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칼럼은 "그들뿐이랴. 우리 중 상당수도 아직도 사과에 서툴다"라며 "성숙한 사과는 그렇게 우리를 결국 승자로 만들 것"이라고 사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칼럼이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결국 윤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하는 의도로 읽힌다.

<동아> "가사 얽매여 국사 그르칠 수 없다"며 김건희 직접 사과 촉구

  
a

<동아일보>는 "결국 '김건희 리스크'가 부른 여권 내전"이라는 제목의 23일 사설에서 윤 대통령의 한 위원장 사퇴 요구에 대해 "그 자체로 이해하기 어렵다"며 "김 여사 논란의 해법은 불 보듯 뻔한데도 그런 강수를 둬가며 가족 방어에 나선 것은 아무리 예측불허 변화무쌍한 한국 정치라도 그 정도가 심하기 때문"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 <동아일보>

 
<동아일보> 또한 "결국 '김건희 리스크'가 부른 여권 내전"이라는 제목의 23일 사설에서 윤 대통령의 한 위원장 사퇴 요구에 대해 "그 자체로 이해하기 어렵다"라며 "김 여사 논란의 해법은 불 보듯 뻔한데도 그런 강수를 둬가며 가족 방어에 나선 것은 아무리 예측불허 변화무쌍한 한국 정치라도 그 정도가 심하기 때문"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동아일보>는 "결국 사태 수습의 열쇠는 윤 대통령이 쥐고 있다"라면서 "가사에 얽매여 국사를 그르칠 수는 없다. '몰카 공작'을 떠나 김 여사가 직접 나와 경위를 해명하고 고개 숙여 사과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라며 김씨가 직접 사과할 것을 촉구했다. <동아일보>는 "그렇게 논란의 강을 건너지 않고선 대통령과 여당은 그 늪에서 빠져나올 수 없다"라며 "그 어떤 정치도 권력도 민심을 이길 수 없다"라고 조언했다.
 
a

김순덕 <동아일보> 고문 또한 23일 <동아일보> 디지털콘텐츠인 '김순덕의 도발'에서 "윤 대통령은 왜 국민을 이기려 드는가"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 ⓒ <동아일보> 누리집 갈무리


특히 23일 <동아일보> 디지털콘텐츠인 '김순덕의 도발'에는 김순덕 <동아일보> 고문의 "윤 대통령은 왜 국민을 이기려 드는가"라는 제목의 칼럼이 올라왔는데 비판의 강도가 매우 높다.

해당 칼럼에서 김 고문은 이번 사태가 "'약속 대련'이었으면 좋겠다"라면서 전두환 전 대통령의 '4·13 호헌 선언'과 노태우 전 대통령의 '6·29 선언'을 언급하며 "말하자면 4·13 호헌 선언 같은 악역을 자처함으로써 한동훈에게 자신을 밟고 가는 모습을 만들어준 게 아닌가 믿고 싶은 것"이라고 했다.

이어 김 고문은 "그게 아니라면, 불길하다. 전두환은 그래도 헌법을 지키기 위해 호헌 선언을 했던 것"이라며 "윤 대통령은 무엇을 지키겠다고 있어선 안 될 당무 개입 의혹까지 일으킨단 말인가"라고 비판했다.

특히 김 고문은 김씨의 명품백 수수와 관련해 "대통령 부부에게 접수되는 선물은 관련 규정에 따라 국가에 귀속돼 관리, 보관된다"라는 대통령실의 입장에 대해 "대통령 관저의 반려견 토리가 웃는다. 그럼 윤 대통령은 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선물한 선글라스를 국가에 귀속해 관리, 보관하지 않고 자신이 쓰고 다니는지 묻고 싶다"고 거세게 힐난했다.

김 고문은 "윤 대통령에게 가장 소중한 것은 민생도, 법치도, 우리나라도 아니다. 오직 하나, 영부인뿐임을 온 세상이 알아버렸다. 참 대통령답지 않다. 우리가 기대했던 윤 대통령답지도 않다"라며 "전임 정권에선 살아있는 권력 앞에 굽히지 않던 사람이었다. 왜 용산-한남동 구중궁궐에 들어간 다음엔 국민을 이기려고만 드는가"라고 윤 대통령이 달라졌다고 지적했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김건희 #윤석열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샌디에이고에 부는 'K-아줌마' 돌풍, 심상치 않네
  2. 2 황석영 작가 "윤 대통령, 차라리 빨리 하야해야"
  3. 3 경찰서에서 고3 아들에 보낸 우편물의 전말
  4. 4 '25만원 지원' 효과? 이 나라에서 이미 효과가 검증되었다
  5. 5 "윤 대통령, 류희림 해촉하고 영수회담 때 언론탄압 사과해야"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