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주제곡이 있는 만화책'이 내게 남긴 의미

[서평] 김소희 만화가의 <먼지 행성>

등록 2024.05.01 15:41수정 2024.05.01 21:04
0
원고료로 응원
"이곳은 다른 행성들의 청정 유지를 위해 그들의 쓰레기가 버려지는 곳. 이 태양계의 쓰레기장이다. 쓰레기와 먼지로 뒤덮인 이곳에서 우리는 살아간다. 각 행성에서 보내는 쓰레기 종량 캡슐에서 쓸 만한 물건들을 건져 다시 파는 것으로 생활하고 있다."
  
만화책이 음악과 만날 때

김소희 만화가의 <먼지 행성(2024, 아름드리미디어)>은 주제곡과 배경음악이 존재하는 텍스트다. 혹자는 애니메이션도 아닌 만화책에 어떻게 주제곡과 배경음악이 존재하냐고 의아해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 만화가는 텍스트 뒤편에 QR(Quick Response)코드를 활용해 고명원 밴드가 만든 <까만 밤>과 <먼지 행성>을 들을 수 있도록 연결해 놓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두 곡 중 가사가 있는 <까만 밤>은 텍스트의 내용을 충실히 재현해 놓고 있다는 점에서 노래와 만화가 적절히 어울려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먼지행성> 표지
<먼지행성> 표지 아름드리미더어
  
생각해보니, 이런 형식의 만화는 처음이다. 이야기의 흐름에 청각적인 요소를 부각하는 경우는 많이 봤지만, 직접 노래와 만화를 연결해 독자를 몰입하게 만들었던 경우는 없었다고 여겨진다. 물론, 있을 수도 있지만 QR코드의 형태로 시도한 텍스트는 나에겐 처음이었다. 애니메이션에 배경음악은 필수이지만, 만화책 자체에 이런 시도를 한 것은 낯설어 보이는 광경이라 만화가 김소희가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할 마음을 갖고 이 작업을 이행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불현 듯 들기도 했다.

중요한 것은 책으로 이 작품을 읽으면 독자들은 독특한 체험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만화'의 형식을 새롭게 경험하고 느낄 수 있다. 만약, 이런 실험이 성공한다면 앞으로 만들어지는 대부분의 만화책(그래픽 노블)에선 주제곡과 배경음악이 삽입된 만화책을 경험할 수도 있겠다. 나아가 다른 장르도 QR코드로 음악을 삽입할 수도 있겠다. 

소외된 존재들끼리 함께

그러면 작품의 내용에 대해서 소개해 볼까. "물건도 사람도 쉽게 버려지는 시대에, 한 가족의 연대와 사랑을 말하고 싶었다"는 작가의 의도처럼, <먼지 행성>은 가족 간의 끈끈한 이야기를 다룬다.

하지만 이 가족은 혈육으로 맺어진 가족이라기보다는 스스로 고립을 선택하거나 누군가로부터 버려진 존재들이 모인 가족이다. 서로 상처 입었기에 그 상처를 가슴속 깊이 어루만져주며 소중함을 느끼게 된 가족의 형태다. 그렇다면 이 만화에 등장하는 가족인 '나오', '츄리', '리나', '깜(깜이)'에게는 어떤 사연이 있을까.


나오는 스스로를 고립한 인물이다. 그에게는 사랑하는 딸 세라가 있었다. 세라는 바쁘고 부지런했다. 나오가 중독자 격리 병동에 있을 때, 마지막 출장을 다녀오면 같이 함께 행복하게 살자고 나오의 두 손을 꼭 잡으며 다짐했었다. 하지만 그렇게 떠난 출장에서 세라는 사고를 당하고 나오는 딸을 평생토록 보지 못한다.

이 일로 나오는 "수많은 사람들이 파견 갔다 돌아오지" 못한 이유에 대해 회사에 항의하며 3년간 투쟁한다. 하지만 아무런 대답도 얻지 못한다. 그는 이 사건 이후, '먼지 행성'에 자신을 유배시킨 채, 중앙 정부의 지시에 따라 쓰레기를 관리하며 살아간다. 나오의 친구 츄리는 "떠돌이 상인이었는데, 시민 등록이 되지 못해 이곳에 정착"한 인물로 술을 좋아하는 마음씨 좋은 사람이다.


리나는 어린 시절 쓰레기 캡슐에 담겨 '먼지 행성'에 버려졌다. 버려진 이후에는 그 어떤 말도 하지 못했다. 버려진 고양이 로봇(깜이)을 만나기 전까지 그 누구에게도 마음을 열지 못했다. 호기심이 많고 당당한 리나는 어린 시절 큰 상처를 품고 있었지만, 마음씨 좋은 나오와 츄리를 만나 새로운 가족을 꾸린다.
  
이처럼 <먼지 행성>은 자의적이든 타의든 '먼지 행성'에 버려진 나오와, 츄리, 리나 그리고 로봇 고양이 깜이와 함께 살아가는 이야기다. 이들은 다른 행성에서 버린 쓰레기를 뒤지며 필요한 것을 찾고, 팔 수 있는 물건을 따로 모아 돈을 모은다.

그들이 이렇게 돈을 모으는 이유는 여러 이유가 있을 테지만, 가장 궁극적인 이유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쓰레기 처리 빔"이 발명되었기에 새로운 터전을 찾아야 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쓰레기 처리장이었던 '먼지 행성'은 이제 더 이상 쓸모없게 된 것이다.

이 말은 이 행성에서 살고 있는 존재들 역시 쓸모없는 존재로 치부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런 불안한 예측은 현실로 다가온다. 그래서 나오는 가족들에게 버려진 쓰레기를 앞으로는 매물로 내놓지 말자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러한 다짐은 숲으로 돌아간다. 오랜 시간 모은 돈으로 중고 우주선을 사야 했지만, 그것이 불가능한 상황에 놓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오와 츄리는 어린 시절, 먼지 행성에 버려진 '리나'만이라도 새로운 장소와 공간에서 살기를 바라는 마음에 되돌아올 수 없는 낡은 우주선을 띄운다.

누군가를 부품으로 소비하는 건 아닐까
 
 <먼지 행성> 26쪽.
<먼지 행성> 26쪽. 아름드리미디어
 
이즈음에서 작가의 의도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김소희는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물건도 사람도 소중히 다뤄지지 않는 시대에 가족의 사랑과 연대에 관해서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쓰레기 행성이 등장하는 SF의 세계관을 만들었다. 버려진(소외된) 존재들이 함께 우정과 사랑을 나누며 당신은 그 누구보다 소중한 존재라는 사실을 전달한다.

이런 내용은 2024년에 왜 필요한 것일까. 정말로 우리 사회는 누군가를 소중히 여기기보다는 하나의 부품으로 주변 사람들을 소비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텍스트는 이런 여러 가지 생각할 것들을 제공한다.

이 작품의 마지막 장면은 버려진 행성에서 나오, 츄리, 고양이 로봇 깜이가 스스로를 희생하는 과정에서 리나를 먼지 행성에서 탈출시키는 것으로 끝난다. 여기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누군가를 위해 내 것을 고민 없이 내어주는 행위가 진정한 사랑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행위는 쉽지 않다. 그러나 이 행위가 우리 사회에서 가능하다면 조금은 더 온전하고 정의로운 사회가 만들어지리라고 생각한다. 김소희 작가는 이런 마음을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 싶었을 것이다. 그렇기에 이 작품을 나 또한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자 한다.
덧붙이는 글 문종필은 평론가이며 지은 책으로 문학평론집 〈싸움〉(2022)이 있습니다. 이 평론집으로 2023년 5회 [죽비 문화 多 평론상]을 수상했습니다. 그밖에 한국만화영상진흥원에서 주최하는 대한민국만화평론 공모전 수상집에 「그래픽 노블의 역습」(2021)과 「좋은 곳」(2022)과 「무제」(2023)을 발표하면서 만화평론을 시작했습니다.

먼지 행성

김소희 (지은이),
아름드리미디어, 2024


책을 통해 책 너머의 세상을 봅니다. 서평 쓰는 사람들의 모임,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북클럽' 3기입니다.
#먼지행성 #문종필평론가 #김소희만화가 #아름드리미디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종필은 평론가이며 지은 책으로 문학평론집 〈싸움〉(2022)이 있습니다. 이 평론집으로 2023년 5회 [죽비 문화 多 평론상]을 수상했습니다. 그밖에 한국만화영상진흥원에서 주최하는 대한민국만화평론 공모전 수상집에 「그래픽 노블의 역습」(2021)과 「좋은 곳」(2022)과 「무제」(2023)를 발표하면서 만화평론을 시작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은퇴로 소득 줄어 고민이라면 이렇게 사는 것도 방법 은퇴로 소득 줄어 고민이라면 이렇게 사는 것도 방법
  2. 2 남자를 좋아해서, '아빠'는 한국을 떠났다 남자를 좋아해서, '아빠'는 한국을 떠났다
  3. 3 소 먹이의 정체... 헌옷수거함에 들어간 옷들이 왜? 소 먹이의 정체... 헌옷수거함에 들어간 옷들이 왜?
  4. 4 32살 '군포 청년'의 죽음... 대한민국이 참 부끄럽습니다 32살 '군포 청년'의 죽음... 대한민국이 참 부끄럽습니다
  5. 5 수렁에 빠진 삼성전자 구하기... 의외로 쉽고 간단한 방법 수렁에 빠진 삼성전자 구하기... 의외로 쉽고 간단한 방법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