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이태원 참사 2주기, 자식 잃은 엄마가 윤 대통령에 던진 말

[스팟 인터뷰] 여전히 시간이 멈춘 '고 박가영 엄마' 최선미씨

등록 2024.10.29 09:35수정 2024.10.29 18:53
0
원고료로 응원
 지난 25일 충남 홍성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2주기 추모문화제에서 이태원 참사 유가족 최선미(고 박가영 어머니, 사진 오른쪽)씨와 세월호 유가족 최지영(세월호 단원고 권순범 어머니)가 나란히 앉아 있다.
지난 25일 충남 홍성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2주기 추모문화제에서 이태원 참사 유가족 최선미(고 박가영 어머니, 사진 오른쪽)씨와 세월호 유가족 최지영(세월호 단원고 권순범 어머니)가 나란히 앉아 있다.이재환

이태원 참사 2주기다. 그날의 참사로 하늘의 별이 된 고 박가영씨 어머니 최선미씨는 충남 홍성에 살고 있다. '가영이 엄마' 최선미씨는 28일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2022년 10월 29일 이후로 시간이 멈춘 것 같다"라고 토로했다.

실제로 그의 카카오톡 프로필은 2021년 10월 3일 가영이가 패러글라이딩에 도전하며 찍은 영상이다. 가영이가 마지막으로 떠난 여행에서 찍은 것. 영상을 찍은 바로 그다음 해에 이태원 참사가 일어났다. 해당 영상을 끝으로 최선미씨의 카카오톡 프로필은 더 이상 수정되지 않고 있다.

지난 25일 홍성에서는 이태원 참사 2주기를 맞아 희생자들을 추모하며 촛불문화제가 열렸다. 최선미씨는 이날 "노벨문학상을 받은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를 다시 읽었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참사를 겪기 전에는 좀처럼 눈에 들어오지 않았던 한강의 소설이 새롭게 읽혔다고 했다.

지난 28일 최씨와 전화를 연결해 그 뒷이야기를 들어봤다. 그는 이태원 참사 이전 세월호 유가족들을 만났을 때 "힘내세요"라는 말을 건네면서도 내심 '그게 도움이 될까'라고 생각했다고. 하지만 '막상 그 자리에 서 보니' 그 말이 큰 위로가 된다고 말했다. 이태원 참사 2주기. 유가족들에게는 그 어떤 위로의 말보다 "함께할게요. 힘내세요"라는 따뜻한 한마디가 더 절실해 보였다. 아래는 그와 나눈 대화를 정리한 것이다.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 다시 읽어보니 "내 이야기"

- 그동안 어떻게 지냈나.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있다. 점점 더 숨게 되는 것 같다. 지난 5월 이태원 참사 특별법이 여야 합의로 국회를 통과했다. 특조위 조사를 기다리고 있다. 마음은 급한데 모든 것이 더디게만 느껴진다. 그래서인지 점점 더 움츠리는 것 같다. 게다가 이태원 참사 관련자들이 잇따라 무죄를 받았다. 좌절의 연속이다."


- 카카오톡 프로필을 보니, 2021년 영상을 끝으로 수정이 안 되고 있다. 가영이가 패러글라이딩을 하는 영상으로 보이는데.

"그것이 가영이의 마지막 여행이었다. 참사 이후에 시간이 멈췄다. 시간은 분명히 흐르고 있는데 무의미한 느낌이다. 어제(27일)는 큰 아이(가영이) 생각에 둘째 아이가 커 가는 모습을 잘 지켜보지 못하고 살고 있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둘째는 지금 고3이다. 입시를 준비하고 있다.


나의 시간이 멈춰 있다 보니 둘째를 많이 챙기지 못한 것 같다. 엄마가 잘 챙겨주지 못해서 그런지 둘째는 모든 것을 스스로 알아서 하고 있다. 둘째에게 고맙고, 한편으로 미안한 마음이 든다."

- 최근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를 다시 읽었다고 했다.

"한강 작가의 작품은 '작가가 피해 당사자를 바라보는 제3자의 관점'이 아니라, 작가가 피해 당사자의 입장이 돼 글을 쓴 느낌이 강했다. 6~7년 전쯤인가. 누군가 <소년이 온다>를 읽어보라고 권해서 읽은 적이 있다. 그때는 그 소설을 읽는 것이 너무나도 힘들었다. 받아들이고 싶지도 않고, 느끼고 싶지 않은 감정들이 적나라하게 표현되어 있었다. 솔직히 부담스러웠다. 읽다가 도중에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최근에 다시 <소년이 온다>를 꺼내 읽었다. 바로 '내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전에는 내가 어떤 감정인지 솔직히 잘 몰랐다. 내 감정이 어떤 상태인지를 오히려 작품을 통해 알게 됐다. 내 아픔이 '이런 것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작가가 마치 나의 내면에 들어와서 작품(소설)을 쓴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사실 전에는 지금과 같은 감정 상태와 느낌을 가져보고 싶지도 않았고, 상상해 보지도 않았다. 전에는 (<소년이 온다>를) 감정을 많이 소모시키는 작품이라고 생각했다. 겪고 보니 그게 아니었다.

참사 이후, 5.18(광주항쟁 희생자) 어머니들과도 자주 만나고 간담회도 가졌다. 지금도 어머니들과 연락을 하며 지내고 있다. 또 제주 4.3 유가족과 채상병 어머니 등도 만났다. 그러다 보니 한강 작가가 쓰고 그려낸 문장과 그 안에 녹아 있는 감정이 작가가 (임의로) 만들어낸 것이 아니란 생각이 들었다. 힘들게 읽었지만 큰 위로가 됐다."

"참사 책임자들 처벌 받지 않는 것이 가장 안타깝다"

 지난 25일 충남 홍성에서는 이태원 참사 2주기 추모문화제가 열렸다. 세월호 유가족 순범 엄마 최지영씨와 고 박가영씨 어머니 최선미씨(사진 오른쪽)가 나란히 앉아 있다.
지난 25일 충남 홍성에서는 이태원 참사 2주기 추모문화제가 열렸다. 세월호 유가족 순범 엄마 최지영씨와 고 박가영씨 어머니 최선미씨(사진 오른쪽)가 나란히 앉아 있다.이재환

- 2주기가 오는 동안 많은 일이 있었다. 유가족의 입장에서 볼 때 가장 아쉬운 게 무엇인가.

"가장 아쉽고 안타까운 것은 참사 책임자들이 처벌을 받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사고 당일 경찰은 용산 대통령실(경호)에 신경 쓰느라 이태원에는 신경을 쓰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본다. 공무원들이 직무 유기를 한 사실이 있다면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 공무원은 법적인 책임뿐 아니라 도의적·정치적인 책임까지 져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국민을 대신해 일하는 자리다.

진상 규명은 결국 책임자들이 처벌받고, 마땅히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이다. 책임자에 대한 처벌이 없다면 앞으로 그 누구도 국민의 안전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으려고 할 것이다. 바로 그 점이 가장 걱정스럽다."

- 말로 표현하기에는 부족하고 어려운 측면도 있지만, 그럼에도 유가족들을 응원하는 국민들이 많다. 전하고 싶은 말이 있나.

"무척 감사하다. 이번 주 금요일(11월 1일)이 가영이 생일이다. 일면식도 없는 분들이 가영이 생일을 기억하고 '건강 잘 챙기시라', '힘내시라'는 메시지를 보내 오고 있다. 이분들이 계셔서 버틸 수 있는 것 같다.

이태원 참사 이전에는 '힘을 내라'는 말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잘 몰랐다. 이태원 참사가 일어나기 전부터 홍성에 살고있는 세월호 유가족들과도 알고 지냈다. 준영이 엄마(임영애씨)와 순범이 엄마(최지영씨)를 만나면 '힘내세요'라는 말 밖에 할 수 없었다. 그 말을 하면서도 내심 이게 위로가 될까 싶었다. 하지만 그 입장이 돼 보니 '힘내세요, 잊지 않을게요'라는 말이 큰 힘이 되고 위로가 됐다."

- 윤석열 대통령에게 하고 싶은 말이 혹시 있나.

"요즘 너무나도 많은 국민들이 좌절하고 고통받고 있다. 청년들도 힘들어 하고 있다. 대통령은 국부라고도 한다. 국민들에게는 부모와도 같다는 뜻이다. 자식을 돌보지 않는 부모는 부모라고 할 수 없다. 그 무게를 알았으면 좋겠다."
#이태원참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유주의자. 개인주의자. 이성애자. 윤회론자. 사색가. 타고난 반골. 충남 예산, 홍성, 당진, 아산, 보령 등을 주로 취재하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단독] 쌍방울 법인카드, 수원지검 앞 연어 식당 결제 확인 [단독] 쌍방울 법인카드, 수원지검 앞 연어 식당 결제 확인
  2. 2 "무인도 잡아라", 야밤에 가건물 세운 외지인 수백명  "무인도 잡아라", 야밤에 가건물 세운 외지인 수백명
  3. 3 악취 뻘밭으로 변한 국가 명승지, 공주시가 망쳐놨다 악취 뻘밭으로 변한 국가 명승지, 공주시가 망쳐놨다
  4. 4 명태균, 김영선에게 호통 "김건희한테 딱 붙어야 6선... 왜 잡소리냐" 명태균, 김영선에게 호통 "김건희한테 딱 붙어야 6선... 왜 잡소리냐"
  5. 5 "김영선 좀 해줘라"...윤 대통령 공천 개입 정황 육성 확인 "김영선 좀 해줘라"...윤 대통령 공천 개입 정황 육성 확인

해당 기사는 댓글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