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5월 31일 프랑스 파리의 제니스에서 열린 크랜베리스 콘서트
위키미디어 공용
1990년대에 주로 활동했던 아일랜드 출신 밴드 '크랜베리스'의 노래를 지금도 종종 듣는다. 내 전공이 아일랜드 문학이기에 친밀감을 느꼈다. 이 밴드의 곡 중에 '전쟁의 아이'가 있다.
전쟁을 감행하는 권력자들이나 정치인들은 그럴듯한 명분을 내세운다. 하지만 전쟁의 뿌리를 살펴보면 이 노래의 가사가 요약하듯 "정치적 야심"과 "영토를 탐하는 탐욕"뿐이다. 야심과 탐욕은 추하지만 그런 욕망이 전쟁의 동력이다. 진행 중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도 마찬가지다.
지금 벌어지는 전쟁은 남의 일인가? 지구상에서 가장 위험한 지역인 한반도에 사는 사람으로서 던지게 되는 질문이다. 우리도 수십 년 전에 참혹한 전쟁을 겪었고 지금도 그 전쟁의 영향력이 생활의 곳곳에서 힘을 미치고 있다. 전쟁은 남의 일이 아니다.
계간 <문학인> 2024년 봄호 특집은 '탈식민주의의의 역사와 문학'이다. 특집을 읽으면서 잘 모르던 팔레스타인의 현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오랜 갈등과 억압의 역사, 그에 대응하는 문학 예술인의 활동을 알게 되었다. 특히 팔레스타인 분쟁의 역사를 조명한 글(정의길), 팔레스타인 출신의 탈식민주의 이론가이자 활동가였던 에드워드 사이드를 다룬 글(이경원), 그리고 팔레스타인 출신 작가로 소설 <사소한 일>이 국내에도 소개된 아다니아 쉬블리의 글이 눈에 들어왔다.
국제정세도 아는 만큼 보게 되는 법이다. 유대교와 기독교의 차이조차 모르는 이들이 적지 않은 한국 사회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갈등의 뿌리를 돌아보는 건 필요하다. 이경원에 따르면,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증오와 보복의 악순환을 거듭해 온 원인은 땅은 하나인데 주인이 둘이기 때문이다.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이 진행되는 가자지구는 구약성서에서 언급되는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의 일부이다. 양측 다 영토권을 주장할 명분이 있다.
종족(ethnicity)의 측면에서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뿌리가 같다. 구약성서에 따르면, 가나안에 정착한 아브라함에게는 첩 하갈이 낳은 이스마엘과 아내 사라가 낳은 이삭이 있었다. 다툼이 일어나자 아브라함은 이스마엘과 하갈을 광야로 내쫓았다. 이스마엘과 이삭은 각각 아랍인과 유대인의 조상이 되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공통 조상 격인 아브라함의 후예다. 양측은 이복형제의 싸움을 하고 있다. 무지가 낳은 결과다.
전쟁, 혹은 압도적 힘의 차이에 따른 학살이 벌어지고 있는 팔레스타인의 현실은 무엇인가? <문학인> 특집에 기대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양측의 독립 국가 설립을 보장한다는 영국의 모순적인 1917년 밸푸어 선언 당시에 팔레스타인 거주민은 약 70만 명이었다. 유대인 숫자는 6만 명도 안 됐다.
1922년에 실시한 인구조사에 따르면 팔레스타인 인구의 78%는 이슬람교도였다. 기독교인과 유대인은 9.6%와 11%에 불과했다. 자연증가율이 연 1.5%였던 팔레스타인에서 1922년부터 1946년까지의 기간 동안 유대인 인구증가율이 연평균 9%에 달했다. 시온주의자들이 팔레스타인 영토를 점유하려고 유대인 유입 정책을 적극적으로 실시한 결과다.
1948년 이스라엘 건국 당시 이스라엘이 합법적으로 소유한 영토는 팔레스타인 전체 영토의 6%였다. 유대인 인구 비율도 수적으로 소수집단에 속했다. 현재의 정치공학적 설명만으로 팔레스타인 문제를 봐서는 안 되는 이유다.
전쟁은 두려움을 낳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