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제주도의 산이라 하면 한라산이 떠오른다. 한라산 정상에 올랐던 사람들은 백록담 분화구를 보며 어떤 생각을 했을까? 만약 " 백록담의 봉우리는 어디에 있을까" 라는 질문을 던진다면 아마 바보라고 비웃을 것이다.

▲ 절벽과 절벽으로 이어진 산방사
ⓒ 김강임
바보가 되어 떠난 여행. 백록담의 봉우리를 찾아 나섰다.

시원스레 뚫린 서부산업도로를 접고 안덕에 이르자 길 끝에는 전설속 한라산 봉우리 '산방산' 의 모습이 보인다. 곧바로 달려가면 금방 갈 수 있는 길이지만, 길은 왜 이리도 꼬불꼬불 사람들을 더디 가게 만드는지.

제주도 남제주군 안덕면 사계리 동북쪽에 위치한 기생화산인 '산방산'. '산방산'에 관한 전설은 신기하고 재미있다. 설문대 할망이 빨래를 하다 방망이를 잘못 눌러 한라산 꼭대기를 쳐서 그것이 날아와 떨어진 것이 '산방산'이라는 것이다.

또 옛날 어떤 사냥꾼이 한라산에 사슴을 잡으러 갔다가, 활을 메고 여기저기 돌아다녔다 한다. 정상까지 올라가 드디어 사슴 한 마리를 발견했는데 급회 활을 쏘다가 잘못하여 활 끝으로 옥황상제 엉덩이를 건드리고 말았다고 한다. 옥황상제는 화가 머리끝까지 치밀어 올라 한라산의 봉우리를 뽑아 서쪽으로 던져 버렸다. 그때 내 던져진 봉우리가 날아와 앉은 것이 산방산이라 한다. 그리고 뽑혀진 자리가 백록담이라는 전설이 있다. 비록 전설이긴 하지만 흥미롭다.

▲ 외벽은 온통 기암괴석으로
ⓒ 김강임
따라서 '산방산'은 한라산처럼 웅장하지는 않지만, 칼끝처럼 예리한 암벽과 절벽, 수려한 산세에 많은 사람들이 감탄을 한다. 그러나 '산방산'은 분화구가 없다. 외벽의 암벽은 온통 풍화작용에 의한 것이라 한다.

'산방산'에 오르려면 우선 사찰로 통하는 계단을 밟아야 한다. 이곳에서는 계단이 곧 길이다. 입구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것이 두개의 사찰. 그냥 갈 수 없어 먼저 왼쪽에 자리잡은 '산방사'를 방문했다. 경건한 마음으로 3배를 올린다.

▲ 뒤돌아보니 지나온 길이 너무 아름답다.
ⓒ 김강임
산방산의 높이는 해발 395m. 단숨에 계단을 오르기에는 무리다. 잠시 계단을 오르다가 걸어온 길을 뒤돌아본다. 먼길을 걸어 온 것도 아닌데, 무심히 지나쳐 버린 게 너무 많다.

용머리의 능선. 잔잔한 바다 위에 떠 있는 형제 섬. 고즈넉히 자리잡고 있는 사찰들의 풍경. 그리고 멀리 국토의 최남단 마라도와 가파도까지. 이 아름다운 풍경들은 앞만 보며 달리는 사람들에게는 볼 수가 없다. 지나온 길이 이렇게 아름다운지를 처음 느끼는 순간이다.

▲ 수호신 처럼 지키고 있는 불상.
ⓒ 김강임
'산방산'에서는 하늘을 보면 바위만 보인다. 마치 투구나 돔 모양으로 조면암주를 포개 세워 절벽과 절벽으로 연결된 기암괴석은 보기만 해도 아찔하다. 그리고 깎아세운 듯 서 있는 바위 옆에는 수호신처럼 산을 지키고 있는 여러 개의 불상들이 있다. 이 불상들은 마치 죄지은 자들을 검색이라도 하듯이 계단 양옆에 서 있다.

▲ 해인법사가 수도했다는 산방굴사
ⓒ 김강임
산방산의 중턱에 자리잡은 '산방굴사'는 고려시대 고승 혜일법사가 거처한 곳이며, 기원정사로 알려져 있다. 암벽에는 석곡, 지네발란, 푸란 등이 자생하고 있으며, 위쪽에는 회양목이 자생하고 있다.

예로부터 도승들이 불상을 모셔놓고 수도했다는 산방굴사에 올라가기 위해서는 또 여러 개의 계단을 밟아야 했다. 산방굴사 입구에 서니 왠지 촛불이라도 밝혀야겠다는 간절한 마음이 생긴다.

▲ 굴안에 모신 불상
ⓒ 김강임
먼저 다녀 간 사람들이 켜 놓은 촛불은 상단에서 눈물을 흘리고 있다. 반쯤 탄 촛불과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고 있는 촛불. 모두 중생들이 자기 허물을 벗기 위해 몸부림치고 있는 모습처럼 보인다.

불상 뒤에는 산방덕의 모습이 선명하게 보인다. 전설이라 하기엔 믿어지지 않지만, 바위에 새겨진 산방덕의 모습은 날마다 떨어지는 눈물만큼이나 애절해 보였다.

▲ 절벽에 새겨진 산방덕의 모습
ⓒ 김강임
몇 발짝 계단을 내려오니 바위 천장에서는 산방덕의 눈물이 뚝뚝 떨어진다. 산방굴사의 약수로 알려진 이 산방덕의 눈물은 세 모금까지 마시면 사랑에 복을 받고, 5년 수명을 연장한다는 전설이 있다.

산방덕은 여신으로, 인간의 모습으로 태어나 한 총각과 결혼을 하였는데, 당시 주관이라는 직에 있는 자가 산방덕의 미모에 탐한 나머지 고승에게 억울한 누명을 씌워 재산을 몰수하고 귀향을 보냈다. 산방덕은 인간의 세계에 내려온 것을 한탄하여 산방굴에 들어가 스스로 바위가 되었다고 한다. 밑으로 떨어지는 약수는 바로 산방덕의 눈물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 뚝뚝 떨어지는 눈물은 약수가 되어
ⓒ 김강임
비록 전설 속 드라마 같은 얘기지만 한라산 백록담의 봉우리는 사계리 바다에서 찾을 수 있었다. 백록담의 봉우리에서는 삼백 예순 다섯 날 산방덕의 눈물이 흐르고 있었다. 그리고 중생들은 그 눈물을 약수라 부르며 갈증에 목을 축인다.

산방굴사는 영주십경의 하나로 꼽히고 있으며, 주변 관광지로는 금릉석굴원과 송악산. 안덕계곡. 제주조각공원. 용머리 해안. 분재예술원 등이 있다.

찾아가는 길은 제주공항- 서부산업도로-중문단지-창천 삼거리- 안덕계곡- 화순해수욕장- 산방산이며, 1시간 가량이 소요된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