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시내버스 노조가 22일 새벽부터 파업에 돌입하자 대전시민들과 시민단체들이 일제히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또한 대전시의 시내버스 준공영제에 대한 개혁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녹색어머니회 등 대전지역 123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대전사랑시민협의회'는 이날 오후 대전시청 브리핑 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더 이상 시민의 발을 볼모로 한 버스파업은 안 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대전시가 시내버스 버스회사에 운송원가 적자분을 시민의 세금으로 전액 지원해 주면서 준공영제를 시행한 것은 근로자의 처우개선과 버스회사의 경영안정을 도모하여 이러한 파업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취지였다"며 "이로 인해 버스회사는 경영안정을 되찾았고, 근로자들은 월 320만원 정도로 처우가 개선되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그러나, 우리 시민들이 체감하는 시내버스 서비스는 불친절과 난폭운전이 여전하는 등 기대 이하"라며 "그럼에도 노조는 이러한 시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은 채, 급증하는 시민부담을 줄이기 위한 원가절감 방안에는 반대를 하며 자신들의 이익만 주장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들은 또 "시내버스는 사회ㆍ경제적 약자인 학생, 주부, 노인분들이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이라며 "이들의 교통복지 증진차원에서 준공영제를 도입한 마당에, 오히려 그들의 발을 담보로 한 파업은 결국 시민 모두로부터 지탄의 대상이 될 뿐만 아니라, 그 어떠한 명분으로도 정당화 될 수 없다"고 비난했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등 1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경전철반대BRT전면도입시민대책위원회'도 이날 성명을 내고 "이번 파업에 따른 시민불편에 대한 직접적 책임은 시내버스 노조에 있다"고 비난했다.
이들은 "최근 시내버스 준공영제에 대해 박성효 대전시장은 전면개선 의지를 밝히고 있고, 많은 시민들로부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이라는 비난에 직면하고 있는 가운데, 시내버스 노조의 전면파업은 '가는 방망이 오는 홍두깨' 격이 될 것이 자명하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이번 전면파업에 대해 대전시의 책임 또한 적지 않다"며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정책실패 책임을 준공영제 추진과정에서의 준비부족 및 사후관리 부재라는 무능행정에서 찾지 않고, 업계의 도덕적 해이와 기사 인건비의 과도한 인상 때문인 양 '여론몰이'하는 것 또한 대전시의 책임 있는 자세는 아니"라고 덧붙였다.
불편을 겪고 있는 일반 시민들의 분노는 대전시 홈페이지를 통해 분출되고 있다. 파업이 시작된 이날 오전부터 대전시 홈페이지 '시민의 소리'에는 시내버스 파업을 비난하는 글이 쏟아지고 있다.
누리꾼 김모씨는 "난 버스기사가 받는다는 월급의 3분에 1정도 버는데, 택시타고 출퇴근하려면 2만원 가까운 돈이 깨진다"며 "당신들의 이기적인 행동에 수많은 시민들은 얼마나 많은 시간낭비 돈 낭비 하면서 참아줘야 하는 건지"라며 개탄했다.
반면, 버스노조를 두둔하는 글도 게재되어 있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한 누리꾼은 "제가 알기로는 대전의 버스요금은 타도시에 비해 같으면 같았지 적지 않은 요금"이라며 "하지만 타도시는 임금인상이 5%이상으로 협상이 되었는데, 타도시와 같은 요금을 받고 있으면서도 타도시 만큼의 임금인상을 약속 받지 못하고 있는 버스기사분들의 사정은 알고 말하라"고 밝혔다.
이처럼 시내버스 노조의 파업을 계기로 대전시의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개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는 가운데, 대전시의회가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김영관 대전시의회 의장은 이날 오후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이 기회에 시내버스 준공영제는 원점에서 재검토해서 반드시 바로잡아야 된다"며 "의회도 준공영제 운영실태조사 '특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다각적으로 대응노력을 기울여 이 제도를 바로잡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