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광주 충장로에 선 문재인  18일 오후 광주 충장로 거리유세에 나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환호하는 시민들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광주 충장로에 선 문재인 18일 오후 광주 충장로 거리유세에 나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환호하는 시민들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 남소연

하나, 유동인구 많은 좁은 길목. 둘, 인파 속 단상.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유세 현장 공식이다. 선거운동이 시작된 지난 17일부터 24일까지 문 후보의 유세 현장 대부분을 취재해보니, 문 후보는 이 두 가지 공식으로 최대 효율을 내기 위한 전략을 펼치고 있었다. 최대한 북적이게, 최대한 많은 사람이 카메라에 잡히도록 유세 현장을 기획하고 있는 것이다.

문 후보는 지난 17일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후 24일까지 총 15차례 유세를 진행했다. 경쟁자인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총 12차례 유세를 진행했다.

▲ 문재인 : 대구-대전-수원-서울(17일)-제주-전주-광주(18일)-춘천-원주-청주(20일)-인천(21일)-울산-창원-부산(22일)-천안(24일)
▲ 안철수 : 전주-광주(17일)-대전-대구(18일)-서울(20일)-울산-부산(21일)-창원(22일)-목포-함평-나주-광주(24일)

이 중 대표적으로 광주 유세를 비교해보면, 문 후보의 전략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일단 야권의 심장부인 광주를 먼저 찾은 건 안 후보였다. 안 후보는 선거운동 첫날인 17일 광주를 찾아 의미를 부여했다. 유세 시간도 오후 6시 30분으로 좋은 시간대를 잡았다.

하지만 장소가 아쉬웠다. 안 후보는 이날 유세 장소로 5.18민주광장(옛 전남도청 앞)을 택했다. 사방이 탁 트인 장소인 데다, 퇴근 시간인 오후 6시 30분에도 유동인구가 거의 없는 곳이다. 장소에 5.18이라는 상징성을 담았지만, 단절된 공간을 선택하고 만 것이다. 때문에 역동적 유세 현장이라기보다, 당 조직 행사의 느낌을 강하게 풍기고 말았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17일 광주 동구 5.18 민주광장에서 열린 집중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17일 광주 동구 5.18 민주광장에서 열린 집중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인파 속 단상, 안철수도 벤치마킹

반면 다음 날인 18일 오후 6시 광주를 찾은 문 후보는 5.18민주광장에서 100m 남짓 떨어진 충장로 입구를 유세 장소로 택했다. 이곳은 광주 원도심의 최대 번화가이자, 얽혀 있는 좁은 길들의 초입이다. 또 오후 6시쯤이면 유동인구가 절정에 달하며, 5.18 상징성을 담고 있기도 하다.

종합하면 문 후보가 선택한 충장로 입구는 '유동인구 많은 좁은 길목'이란 첫 번째 공식이 그대로 적용된 장소이다. 불과 100m를 사이에 두고 안 후보와 완전히 다른 장소에서 유세를 벌인 것이다.

당시 안 후보 측은 1만 명, 문 후보 측은 5000명으로 각각 광주 유세 참석자를 추산했다. 각 정당이 추산한 인파를 신뢰할 수 없지만, 어쨌든 추산 인파가 더 적었음에도 현장 분위기는 문 후보 측이 더 뜨거웠다는 평가다.

이 첫 번째 공식은 17일 서울 광화문을 제외하고 문 후보의 대부분 유세에서 적용됐다. 이 공식의 단적인 예로 24일 천안 유세의 장소 변경 사례를 들 수 있다. 당초 민주당은 이날 유세 장소를 아라리오광장으로 공지했다. 하지만 현장에 가보니 좁은 길목이 얽혀 있는 신부문화거리로 장소가 바뀌어 있었다. 두 장소 사이는 걸어서 5분 남짓이면 갈 수 있는 거리였다. 전날 미리 현장을 찾은 실무진이 너른 광장이 아닌 좁은 길목으로 장소를 바꿨다는 후문이다.

한편 두 번째 '인파 속 단상' 공식은 문 후보가 현장에 도착하면 적용된다. 광주 유세 장소로부터 한 블록 떨어진 곳에서 차를 세운 문 후보는 인파 사이를 뚫고 유세차 정면에서 약 20m 떨어진 작은 단상 위에 올랐다. 문 후보는 그곳에서 양 손을 들고, 지지자들과 사진을 찍고, 꽃다발을 받는 등 긴 시간을 소비한 뒤, 다시 인파 속으로 들어가 유세차까지 이동했다.

이 단상은 문 후보의 유세 현장에 항상 나타나는 필수 아이템이다. 문 후보가 유세 현장에서 찍힌 사진을 보면 매번 인파에 둘러싸여 환호를 받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는데, 그 이유가 바로 이 단상 때문이다. 안 후보도 20일 서울 남대문시장 유세부터 단상을 활용하기 시작할 만큼, 이는 유세 효과를 배가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연출로 문 후보는 다른 유세 현장에서도 안 후보를 앞선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관련기사 : 문재인과 안철수의 '부산', 이렇게 달랐다).

그런데 '유세호황=득표'일까?

문재인 등장에 뜨거워진 신부문화거리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24일 오후 충남 천안 신부문화거리 유세를 위해 연단에 오르자 지지자와 시민들이 환호하고 있다.
문재인 등장에 뜨거워진 신부문화거리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24일 오후 충남 천안 신부문화거리 유세를 위해 연단에 오르자 지지자와 시민들이 환호하고 있다. ⓒ 남소연

하지만 유세 현장의 호황이 곧 지지세나 득표를 의미한다고 볼 순 없다. 유세의 본질적 속성, 그리고 갈수록 변화되는 정치 환경을 고려할 때, 유세 호황과 지지세는 꼭 비례 관계에 있지 않다.

지난 총선 직전, 문 후보의 광주 방문이 그 단적인 예다. 문 후보는 총선을 닷새 앞둔 지난 해 4월 8일 충장로우체국 앞에서 "호남에서 지지를 거둔다면 대선에 도전하지 않겠다"라고 발표하며 '조건부 은퇴'를 선언했다.

당시 현장 분위기만 놓고 보면, 문 후보와 민주당은 고무되기에 충분했다. 발표 장소인 충장로우체국은 지난 18일 문 후보가 유세를 벌인 충장로 입구와 같은 장소라고 봐도 무방한데, 당시에도 거리는 인파로 가득 했다. 이른바 '반(비)문정서'를 부정하는 기사가 쏟아질 만큼, 당시 문 후보는 광주에서 환대를 받았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민주당은 국민의당에 '호남 참패'를 당했고, 조건부 은퇴 선언은 문 후보의 발목을 두고두고 잡았다.

박구용 전남대 철학과 교수는 25일 <오마이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예전 김대중 후보가 보라매공원에 어마어마한 사람들을 동원했을 때, 그것만 보면 다 대통령이 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선거 결과는) 유세 현장에 모인 숫자와 분위기만으로 판단할 수 없다"라며 선거에서 유세가 갖는 의미를 설명했다.

이어 박 교수는 과거와 현재를 비교했을 때 유세의 변화된 의미를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예전에는 유세가 정보를 전달하고, 지지세를 과시하는 역할을 했다. 유세 현장에 누가, 얼마나 모였느냐가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라며 "(하지만) 지금은 정보 전달과 지지세 과시 역할은 약화된 것 같다. 단지 정치적 이미지와 조직력을 보여줄 뿐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박 교수는 "이젠 후보를 만났을 때 시민들이 보이는 태도, 그걸로 (지지세를) 판단할 수 있다. 사실 그 느낌을 가장 잘 아는 건 후보자 자신이다"라며 "광장보다는 길거리다. 광장에서의 유세, 선거운동으로서의 광장의 시대는 끝났다고 봐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문재인#안철수#유세#대통령#후보
댓글2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