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신간회 창립행사 장면. 신간회 창립행사 장면.
신간회 창립행사 장면.신간회 창립행사 장면. ⓒ 민족문제연구소
 
1927년 2월 15일 민족주의계열과 사회주의세력이 연합하여 〈민족단일당 민족협동전선〉이라는 표어 아래 합법적인 항일운동 단체로 신간회를 창립했다.

처음에는 신한회(新韓會)라는 명칭을 썼으나 등록과정에서 총독부가 한(韓) 자 표기를 거부하여 같은 뜻의 간(幹) 자를 쓰게 되었다. 박동완은 여기에 참여하여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1920년대 후반기 국내의 민족해방운동은 민족주의계열과 사회주의계열의 두 갈래로 전개되었다. 이에 연합 또는 통합하라는 국민의 여론이 빗발치는 가운데 민족협동전선으로 신간회가 창립되었다. 존속기간은 4년여에 불과했으나 전국적으로 120~150여 개의 지회와 해외지회를 두었으며, 회원수만 2만~4만여 명에 이르렀다. 

민족운동 대표기관의 설립이라는 연례의 염원과 모색은 드디어 결실할 날이 왔다.

1927년 1월 돌연히 민족단일당 민족협동전선이라는 표어 아래 '신간회' 조직계획이 발표되고, 동년 2월 15일 그 창립을 보게 된 것이다. 그것은 민족주의를 표방하고, 민족ㆍ사회 양주의자가 제휴한 공동전선이었고, 합법적인 결사운동으로 비타협적 투쟁을 감행하는 민족운동의 대표적 단체였다.(조지훈, <한국민족운동사>)

신간회 발기인은 34명이었다. 홍명희ㆍ안재홍ㆍ신석우 등이 주도하고 기독교의 박동완, 불교의 한용운, 유교의 최익환, 천도교의 권동진, 여기에 중국 베이징에 있던 신채호도 홍명희의 서신 연락으로 참여하고, 초대 회장에는 이상재가 선임되었다.

다음은 신간회 발기인 명단이다. 

신간회 발기인

권동진ㆍ김명동ㆍ김준연ㆍ김탁ㆍ문일평ㆍ박동완ㆍ박내홍ㆍ백관수ㆍ신석우ㆍ신채호ㆍ안재홍ㆍ유억겸ㆍ이갑성ㆍ이관용ㆍ이상재ㆍ이순탁ㆍ이승복ㆍ이승훈ㆍ이정ㆍ이정섭ㆍ이종린ㆍ이종목ㆍ장길상ㆍ장지영ㆍ정재룡ㆍ정태석ㆍ조만식ㆍ최신익ㆍ최원순ㆍ한기악ㆍ한용운ㆍ한원건ㆍ홍명희(가나다순)

신간회는 1927년 1월 19일 발기인 대회에서 3대 강령을 채택했다.

신간회 강령

1. 우리는 정치적, 경제적 각성을 촉진한다.
2. 우리는 단결을 공고히 한다.
3. 우리는 기회주의를 일체 부인한다.

신간회는 서울에 중앙본부를 두고 전국 각지와 일본 도쿄 등에 지회를 설치한데 이어 여러 가지 민족운동을 전개했다. 중앙본부의 주요 민족운동을 살펴본다.

1. 민족협동조직의 확대운동
2. 국외 '한국독립유일당촉성회'에 대표 파견 시도
3. 실제 운동 당면과제 6항목의 발표
4. 전국순회 강연운동
5. 수재민 구호운동
6. 재만동포 옹호운동
7. 어부들의 권익보호 활동
8. 원산 총파업과 노동운동 지원
9. 함남 수력발전소 매립지구 토지보상운동
10. 단천 산림조합사건 지원운동 
11. 갑산 화전민 방축사건 규탄운동
12. 태평양문제연구회의 참가반대운동
13. 언론ㆍ출판ㆍ집회ㆍ결사의 탄압규탄운동
14. 밀러박사(세계기독교지도자) 연설회 개최
15. 재일본 한국인노동자 송환항의운동
16. 광주학생독립운동 옹호ㆍ지원활동
17. 민중대회운동
18. 장풍 탄광노동자의 노동운동 지원
19. 사회 각 부문 민족운동의 정신적 지주
20. 학생부의 민족교육운동

신간회가 창립되면서 한국과 일본에 산재한 크고 작은 사회단체와 사상단체들이 자진 해체하고 유사단체들끼리 통합하거나 신간회를 지지하고 산하 지회로 편입되었다. 신간회는 일종의 정당구실을 하였다. 1928년 12월 18일 도쿄지회에서 채택한 강령과 정책에서 신간회의 목표를 살필 수 있다.

강령

1. 우리는 조선민족의 정치적, 경제적 해방의 실현을 기한다.
2. 우리는 전민족의 총력을 집중하여 민족적 대표기관이 되기를 기한다.
3. 우리는 모든 개량주의 운동을 배격하며 전민족적 현실적 공동이익을 위하여 투쟁하기를 기한다. 

정책

1. 언론ㆍ집회ㆍ출판ㆍ결사의 자유 
2. 조선민족을 억압하는 모든 법령의 철폐
3. 고문제 폐지 및 재판의 절대 공개
4. 일본인 이민 반대
5. 부당납세 반대
6. 산업정책의 조선인 본위
7. 동척(東拓) 폐지
8. 단결권ㆍ파업권ㆍ단체계약권의 확립
9. 경작권의 확립
10. 소작료의 공정(公定)
11. 소작인의 노예적 부역 폐지
12. 소년 및 부인의 야간노동, 갱내노동 및 위험작업의 금지
13. 8시간 노동제 실시
14. 최저임금ㆍ최저봉급제의 실시
15. 공장법ㆍ광업법ㆍ해운법의 개정
16. 민간교육기관에 대한 허가제 폐지
17. 일체 학교교육의 조선인 본위
18. 일체 학교 교육용어의 조선어 사용
19. 학생ㆍ생도의 연구자유 및 자치권의 확립
20. 여자의 법률상 및 사회상의 차별 철폐
21. 여자의 인신매매 금지
22. 여자의 교육 및 직업에 대한 모든 제한 철폐
23. 형평사원(衡平社員) 및 노복(奴僕)에 대한 모든 차별 반대
24. 형무소의 대우 개선, 독서ㆍ통신의 자유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인물열전 / 민족대표 33인 박동완 평전]는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박동완#민족대표_33인#박동완평전#근곡_박동완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이 기자의 최신기사68세 서거... 사회장으로 장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