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폐비닐 수거장 위치를 의논할 즈음 마을에 핀 벚꽃
폐비닐 수거장 위치를 의논할 즈음 마을에 핀 벚꽃 ⓒ 노일영
 
숙취로 머리가 지끈거려서 느릿느릿 간신히 잠에서 벗어났다. 부재중 전화는 무더기로 쌓여 있었고, 문자와 카톡도 떼를 지어 자리를 잡은 터라 핸드폰이 묵직하게 느껴졌다. 오전 7시도 안 됐는데 무슨 일인가 싶었다.

그 순간 전날 밤에 마을의 전체 주민을 대상으로 문자를 보낸 기억이 불쑥 떠올랐다. 아뿔싸! 핸드폰이 이리도 무거워진 건 이장질을 그따위로 한다고 천산댁에게 쌍욕을 얻어먹고, 깡소주 2병을 최단 시간에 드링킹 하고, 이장을 그만두겠다는 문자를 날리고 잠들어 버렸기 때문이다.

어떤 내용의 글을 썼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문자와 카톡을 열어 보기가 두려웠다. 일단은 내가 주민들에게 보낸 문자를 먼저 확인해 봐야 했다. 맙소사, 너무나 유치찬란해서 초등학생이라도 마음에만 담고 있지 일기장에도 내색하지 않을 스토리였다.

불똥은 엉뚱하게 다락방에 있던 남편에게 튀었다.

"어제 이 문자 이거 내가 보여 줬지? 근데 왜 안 말렸어?"
"내 속이 다 시원하더구만, 뭐."


그래, 우리 남편 정도라면 그렇게 생각하는 게 당연하지. 남편에게 화풀이하려고 마음먹었는데, 전의를 곧바로 상실했다. 그때 전화벨이 울렸고 화면에는 천산댁의 이름이 찍혀 있었다. 한참을 망설이다 결국 전화를 받았다.

미안해하며 욕하는 스타일

"씨X, 노 이장! 동네에 왼갓(온갖) 잡꺼뜰(잡것들)이 새벽 오줌 싸기도 전에 내한테로 전화를 해가꼬 마을에서 당장에 나가뿌라 카네, 썩을거뜰. 요게 다 밴댕이 소갈딱지인 니 덕분인 기라. 이장질을 하다 보믄 욕묵는 기 당연한 거 아이가? 씨X, 그라고 내 욕은 욕이 아이라 대화의 뽀나스라꼬."

천산댁의 말은 20분이 넘게 이어졌다. 나는 네, 네, 하고 긍정의 추임새만 넣었다. 따지고 보면 천산댁이 하는 말도 틀리진 않았다. 그녀의 욕설은 거친 세상에 내던져져 천신만고 끝에 기어코 세월을 돌파했다고 받은 트로피 혹은 기념패가 아닐까 싶다.

사람들은 미안하면 대개 머리를 긁적이거나 사과의 말을 건네는데, 천산댁은 미안해도 그냥 시원하게 욕지거리를 내뿜는 스타일이다. 아마도 그녀는 타인에게 주어진 세상보다 훨씬 더 가혹하고 불평등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욕설로 자신을 무장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천산댁이 버텨 온 세계에서 겸연쩍은 표정에 머리를 긁적이는 행위는 포식자에게 나약한 먹잇감이라고 신호를 보내는 거나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찢어지게 가난한 농민의 장녀로 태어난 천산댁은 어렸을 때부터 동네의 온갖 허드렛일을 하며 먹을거리를 얻었다. 초등학교 2학년 때 중퇴를 하고 도시로 식모살이를 떠난 천산댁은 세 명의 동생이 결혼할 때까지 뒷바라지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자신의 과거에 대해서는 늘 어금니를 악물고 함구하는 터라 천산댁이 그린 삶의 궤적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래서 가끔 내뱉는 단서들을 통해 천산댁이 만들어 온 삶의 모양새를 대강 추론할 뿐이다.

아무튼 천산댁은 온갖 직업을 전전했고, 환갑을 한참 지나 다시 시골로 돌아왔다. 서울 어딘가에 자신의 이름으로 된 건물 한 채가 있다는 말은 했지만, 남편과 자식에 관한 얘기는 좀처럼 꺼내지 않았다. 다만 아들에게 돈을 송금해야 한다며 농협까지 차를 좀 태워달라고 내게 몇 번 말한 적은 있다.

천산댁이 일방적인 대화를 이어가는 동안 그녀에 관한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가 나도 모르게 한마디를 던지고 말았다.

"그래요, 아줌마. 내가 미안하다고, 시X!"

천산댁은 오랫동안 미친 듯이 깔깔거렸다. 그리고 그걸로 버스 승강장과 관련된 사건은 천산댁과 내 머릿속에서 완전히 지워졌다. 동네 주민들에게는 따로 뭔가를 설명하지 않았다. 나도 한 성깔 한다는 걸 보여 주고 싶기도 했고, 사실 이런 사건은 구구절절이 해명해서 이해를 시키는 것보다 그냥 시간이 삼켜버리도록 놔두는 게 오히려 더 나을 때도 있으니까···.

우리 동네에만 없는 폐비닐 수거장

농번기가 다가오고 있었다. 밭에 작물을 심으려면 전해에 멀칭(농작물을 재배할 때 경지토양의 표면을 덮어주는 일)한 비닐을 걷어 내야 한다. 이제 곧 밭을 떠난 검은 비닐들이 마을과 하천 주변을 떠돌아다닐 것이다. 이게 다 마을에 영농 폐비닐 수거장이 없기 때문이다.

마을 주민들을 상대로 숙원 사업을 조사한 결과, 많은 이들이 영농 폐비닐 수거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내 판단으론 다른 어떤 것보다 이 시설물이 가장 시급했다. 강풍이 휘몰아치면 마을을 떠돌던 이 비닐들이 순식간에 사라지지만, 어딘가에서 썩지도 않고 버티고 있을 것이 뻔하다.
  
  하늘을 날아다니다 걸린 멀칭 비닐
하늘을 날아다니다 걸린 멀칭 비닐 ⓒ 노일영

백전면의 16개 마을 중에 폐비닐 수거장이 없는 곳은 우리 동네뿐이었다. 이 시설물을 마을에 설치하겠다고 하자 면사무소의 담당 공무원도 쌍수를 들고 환영했다. 문제는 이런 종류의 시설은 마을 소유의 땅이나 군유지에만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아무리 눈을 씻고 찾아봐도 마을에 폐비닐 수거장을 설치할 만한 곳이 없었다. 얼마 되지도 않는 마을 소유의 땅이나 군유지에는 이미 마을회관이나 체육시설 등이 자리를 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혹시나 해서 마을 모든 토지의 등기 사항을 확인해 봤는데, 다행히 군유지가 딱 한 조각 남아 있었다. 그런데 마을의 입구 중앙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서 폐비닐 수거장이 들어서기에 적절하지 않아 보였다. 하지만 이 수거장은 입지 조건이 문제가 아니라 기능적인 측면에서 꼭 필요했기 때문에 일단은 마을 회의를 소집했다.

"이봐라, 노 이장. 서울에 딱 들어갈라 카믄 고 삽짝(입구)에 '만남의 광장'이라 카는 삐까뻔쩍한 건물이 하나 있어! 머 너거는 잘 모를 끼라. 우쨌든 내가 서울에 살 쩍에, 캬아! 그라이까네 내가 영등포에서 홍 사장 소리를 들으믄서 살 쩍에, 아이엠에픈지 뭔지 그 지랄만 없었으믄 내가 지금은 홍 회장님 소리를···."
"형님, 요점이 뭐요?"


홍 영감 아저씨의 뛰어난 골계미를 지닌 '홍사장 타령'이 시작되자 반장이 대번에 말을 잘랐다.

"쯧쯧, 동상은 풍류가 많이 부족해, 풍류가. 그라이까네 내 말은 서울 삽짝에 만남의 광장이 있는 거매로 우리 마을 입구에도 그런 게 있어뿌야지, 폐비닐을 가다 놓는(가둬 두는) 폐비닐 감옥이 있으믄 안 된다, 요 말인 기라."

홍 영감의 말에 많은 주민이 웅성거리며 공감을 표했다.

"형님 말씀도 일리가 있긴 하지만, 현실적으로 폐비닐 수거장을 설치할 곳이 그 땅밖에 없으니까, 좀 보기 싫더라도 그곳에다 만들어야지 어떡하겠소."

반장의 말에도 많은 주민이 웅성대며 찬성했다. 그대로 뒀다가는 폐비닐 수거장 설치 문제로 또다시 마을이 두 편으로 나눠질 것 같았다. 그래서 홍 영감에게 물었다.

"아저씨, 그러면 거기 말고 어디에다 이 시설물을 설치할까요? 무슨 다른 대안이라도 있으신가요?"
"주민들한테 땅을 기부를 받아뿌야지. 희사를 받은 땅에다가 요거를 맨들어뿌믄 안 되것나."


기부와 희사라는 단어가 나오자 마을회관은 견고하고 절대적인 침묵 모드로 접어들었다. 토지가 밥벌이의 전부인 시골에서 다른 건 몰라도 땅을 기부의 대상으로 삼는 건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다들 생각하고 있을 터였다. 얼어붙은 숨소리와 시간에 균열을 낸 사람은 반장이었다.

"일단은 우리 홍 회장님 땅부터 좀 검토를 해봅시다, 회장님?"
"와 이카노! 내가 홍 회장? 아이다 내사마(나야 뭐) 홍 영감 아이가. 다들 아는 거매로, 내사마 땅 한 쪼까리도 없는 놈이라꼬. 내가 농사 짓는 데는 다 우리 형님 꺼 아이가. 내 말은 여 우리 동네에 땅을 마이(많이) 가꼬 있는 양반이 땅을 쪼매 내놔뿌믄 좋것다, 요말인 기라."


늘 회장님처럼 행동하던 홍 영감은 반장의 한마디에 갑자기 겸양지덕(謙讓之德)을 발휘했다. 사실 홍 영감이 농사 짓는 땅이 홍 영감 소유의 논밭이란 걸 모르는 주민은 없었지만, 다들 모른 체했다. 홍 영감의 말에 비위가 상한 듯 반장이 다시 말했다.

"제 땅은 마을에서 너무 멀리 떨어진 산모퉁이 밭이라서 폐비닐 수거장을 만들기에는 그다지···. 누구 기부하실 분 없습니까?"
  
  내가 폐비닐 수거장으로 점찍어 놓은 곳
내가 폐비닐 수거장으로 점찍어 놓은 곳 ⓒ 노일영
 
선캄브리아기 후반에 발생한 빙하기의 기온이 이렇지 않았을까? 바다가 엄청난 두께로 얼어 버렸다는 전설의 그 빙하기. 마을회관은 급격한 기온 저하로 생명이 사라진 얼음 행성 같았다. 빙하기를 깨트릴 화산 폭발은 아직 1억 5천만 년이나 더 기다려야 한다. 그래서 내가 먼저 입을 열었다.

"내일 한 번 더 이 문제로 마을 회의를 열겠습니다. 그때까지 다들 수거장을 설치할 곳에 대해 생각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협동조합#마을기업#이장#지리산의식주연구협동조합#함양군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함양에서 태어나 도시에서 살다가 함양으로 귀농함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