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取중眞담]은 <오마이뉴스> 상근기자들이 취재과정에서 겪은 후일담이나 비화, 에피소드 등을 자유로운 방식으로 돌아가면서 쓰는 코너입니다.[편집자말]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연합뉴스

"글쎄 뭐 다른 질문을 해주시죠."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출근길 문답의 첫 질문에 내놓은 답변이다.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가 이날 새벽 이준석 전 대표에게 '당원권 정지 1년' 추가 징계를 내린 것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이었다. 윤 대통령이 취임 직후인 5월 11일부터 진행해 온 '50번째' 출근길 문답의 첫 질문이 '답변 거부'로 끝난 셈. 물론, 윤 대통령은 이전에도 입장을 밝히기 곤란한 질문을 받았을 때도 이와 비슷한 답변을 내놓긴 했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아예 "제가 당무 사항에 대해선 답변한 적이 없잖습니까"라고 기자들을 향해 되물었다. 이준석 전 대표와 관련된 질문엔 답하지 않겠다는 '거부' 의사를 분명히 한 것으로 들렸다. 불편한 기색을 담은 대통령의 반문에, 기자들은 다른 질문으로 넘어갈 수밖에 없었다.

사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대통령실 청사로 들어오면서 취재진에게 "오늘 출근하면서 보니깐 날이 좀 쌀쌀해졌다. 기자 여러분들도 환절기에 건강 잘 챙기시오"라고 살가운 인사를 건네는 등 '기분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또 본격적인 문답 전 모두발언으론 우여곡절 끝에 전날(6일) 성사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전화통화 내용을 전했다. "(기시다 총리와) 같은 내용의 생각을 서로 공유를 하고 한일관계가 빠른 시일 내 과거와 같이 좋았던 시절로 되돌아가서 기업과 국민들의 교류가 원활해지면 양국 경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데 생각을 같이했다"는 내용이 주된 골자였다. 뉴욕 순방 중 '약식회담'으로 야당으로부터 '굴욕외교'란 비판을 받았던 만큼, 대통령으로서 신경 써서 알리고 싶은 내용이었을 터.

그런데 모두발언 후 나온 첫 질문이 이준석 전 대표에 대한 질문이었으니 순간 분위기가 굳어버린 셈이다.

내부총질-비속어 논란, 대통령만 답할 수 있는데 패싱... 왜?

사실 윤 대통령이 출근길 문답에서 답변을 거부한 건 처음이 아니다. 용산 대통령실 이전 명분을 '소통'으로 삼은 만큼 현안에 대한 질의응답이 취임 직후부터 이어졌고, 윤 대통령은 때때로 답변을 회피하거나 버럭 하면서 불쾌감을 직접 표시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인사 실패' 지적 때였다. 윤 대통령은 당시 질문에 "전 정권에서 지명한 장관 중에 이렇게 훌륭한 사람 봤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러한 대통령의 답변 태도가 논란이 될 때마다 여야를 막론하고 출근길 문답을 중단하거나 형식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정치권 안팎에서 제기됐다. 세심히 관리돼야 할 대통령의 '메시지'가 즉발적인 상황에서 실수를 빚거나, 정책적으로 잘못된 시그널을 외부에 줄 수 있다는 지적이었다.

그런데 출근길 문답의 형식이 바뀐 계기는 이런 지적을 수용해서가 아니었다. 지난 7월 26일, 권성동 당시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국회 본회의장에서 윤 대통령과 주고 받았던 텔레그램 메시지를 언론에 노출한 데 따른 후폭풍 탓이 더 컸다. 윤 대통령이 이준석 전 대표를 '내부총질 하던 대표'라고 칭한 사실이 알려진 만큼, 대통령이 직접 설명해야 할 사안이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사흘 연속 출근길 문답을 하지 않으면서 '소통이 사라졌다'는 비판을 받았다. 윤 대통령은 첫 여름휴가 후 2주 만에 복귀하면서 재개한 출근길 문답(8.8) 때도 '내부총질' 관련 질문엔 답하지 않았다. 8월 12일 진행된 출근길 문답 땐 '모두발언'이란 형식이 추가됐다. 별다른 형식 변경 이유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대통령실이 윤 대통령 출근 전 취재진에게 "대통령께서 모두발언을 할 예정이다. 질문하기 전에 좀 기다려달라"고 공지하면서 변경된 방법이었다.

출근길 문답에서의 모두발언 추가는 결과적으로 대통령이 답할 수 있는 기자들의 질문 갯수를 줄이는 효과를 낳았다. 결과적으론 윤 대통령의 모두발언 후 질문의사를 표한 기자 중 누군가를 지목하는 방식이 됐고, 대통령이 답하는 질문 갯수도 최소 1개밖에 안 되는 경우도 생겼다.

특히 윤 대통령의 '질문 패싱' 모습도 이때부터 보다 더 두드러졌다. 9월 초 대통령실 인적쇄신 논란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윤 대통령은 손을 들어 질문을 막으면서 "그 얘기는 제가 오늘 언급하지 않겠다. 태풍과 관련된 것만 질문해주십쇼"라고 제지했다. 이밖에도 야당의 김건희 여사 의혹 관련 특별검사법 발의도, 이준석 전 대표의 '결자해지' 언급 등에 대한 질문에도 윤 대통령은 답하지 않았다.

최근 미국 뉴욕 순방 과정에서 불거진 '비속어 논란'에 대해서도 같은 모습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9월 26일 출근길 문답에서 관련 입장을 묻는 질문에 본인 발언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관련 발언 영상을 처음 보도한 MBC를 문제 삼았다. 사흘 뒤인 9월 29일 출근길 문답 땐 '비속어 논란' 장기화에 대한 유감 표명 여부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뒤도 돌아보지 않고 집무실로 향했다.

막히지 않고 잘 통함, 뜻이 서로 통하여 오해가 없음 등을 뜻하는 '소통(疏通)'이란 취지와는 좀 더 멀어진 셈이다.

'소통' 사라지는 출근길 문답... "다른 질문 해주시죠"는 그만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 취재진의 질문에 답한 뒤 집무실로 향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 취재진의 질문에 답한 뒤 집무실로 향하고 있다. ⓒ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 출범 이래 시작된 '출근길 문답'은 충분히 대통령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다. 윤 대통령도 지난 8월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출근길 문답 때문에 지지율이 떨어진다고 당장 그만두라는 분들이 많이 계셨지만, 그건(출근길 문답은) 제가 용산으로 대통령실을 옮긴 가장 중요한 이유"라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앞서 열거한 사례처럼 '불통(不通)'의 순간이 여러 번 반복되면서 '소통'을 강조했던 윤 대통령의 모습이 사라지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이후 이어질 윤 대통령의 출근길 문답이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 통로가 아니길 바란다. 무엇보다 대통령께서 "글쎄, 뭐 다른 질문을 해주시죠"라는 답변은 더 이상 하지 않기를 희망한다.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은 7일 <대통령실 이전은 새로운 대통령 문화의 시작입니다>란 제목의 보도자료를 냈다. 대통령실 이전 비용 등을 둘러싼 야당의 비판에 반박하는 내용이었다. 윤 의원은 이 자료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대통령실 이전을 통해) 폐쇄와 단절의 대통령에서, 열림과 소통의 대통령으로 '대통령 문화'를 바꾸는 것입니다. 이미 새로운 '대통령 문화'가 시작됐습니다. 국민과의 대화 2회, 국내 기자회견 7회로 '쇼통'만 있고, 소통은 없던 청와대에서 '출근길 문답'이 일상이 된 대통령실로 바뀐 것입니다."

[관련 기사]
- 기다린 기자들, 침묵한 대통령, 방어 나선 참모들 http://omn.kr/200ji
- 윤 대통령의 '소통' 자취 감추다... 29일 출근길 문답 '없음' http://omn.kr/201cr
- 비속어 논란에 윤 대통령 "사실과 다른 보도로 동맹 훼손, 굉장히 위험" http://omn.kr/20v5w
- 3분 넘게 발언 쏟아낸 윤 대통령, 비속어 논란 질문은 '패싱' http://omn.kr/20xas

#윤석열#출근길 문답#취중진담
댓글39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