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와 인터뷰 하는 권순표 MBC 앵커
<오마이뉴스>와 인터뷰 하는 권순표 MBC 앵커 ⓒ MBC

MBC 라디오 <권순표의 뉴스하이킥>(평일 저녁 6시 5분~8시)이 한국리서치 2024년 4분기 라디오 청취율 조사에서 11.3%로 전체 1위를 차지했다. 2023년 2분기 조사부터 연속으로 전체 1위를 기록한 것이다.

연속 청취율 1위에 대한 소감이 궁금해 지난 19일 서울 상암 MBC 사옥에서 권순표 앵커를 만났다. 다음은 권 앵커와 나눈 일문일답.

"좋은 질문하겠다는 다짐 늘 한다"

- MBC 라디오의 저녁 시사 프로그램인 <권순표의 뉴스하이킥>이 2024년 4분기 라디오 청취율 조사에서 11.3%를 기록해 청취율 1위를 했어요. 2023년 2분기부터 연속 1위인데 소감은?

"개인적으로는 너무 기쁘고, 영광이죠. 그런데 시사 프로가 전체 청취율 1등을 한다는 게 과연 바람직한 현상인가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저도 비슷한 생각인데 시사 프로가 라디오 전체 청취율 1위라는 건 그만큼 사회에 여유가 없어진 것 같아서 안 좋은 것 같거든요.

"이게 동시간대 1위가 아니고 전체 1위를 한다는 건 청취자 또는 국민이 이 사회 현상에 대해서 듣고 싶고 하고 싶은 말이 많은 거라고 해석합니다. 그리고 청취율 1위라는 게 청취자들의 사회에 대한 갈증을 표출하는 것 같아서 무거운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물론 개인적으로 청취율 1등은 굉장히 자랑스럽고, 영광이죠."

- 2월부터 <뉴스하이킥> 진행하시잖아요. TV는 <뉴스외전> 등을 진행하셨지만 라디오는 처음인데 어떠세요?

"제가 TV 할 때 보셨겠지만 <뉴스외전>할 때 '외전의 외전'이라고 유튜브 방송을 했습니다. 근데 요새는 라디오를 유튜브로 중계하니까 라디오 자체가 TV 매체의 성격을 많이 띠게 된 것 같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디오 특유의 감성과 귀로 듣는 집중도가 TV와 유튜브의 중간쯤에 있는 듯해 대단히 즐겁습니다."

- 처음에 <뉴스하이킥> 제안이 왔을 때 어땠나요?

"이게 많은 분이 듣는 프로그램이라 부담스럽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동시에 즐거웠습니다. 기자나 앵커는 자기 목소리를 전달할 기회가 생겼을 때 당연히 즐겁습니다. 반면에 (많은 분이 들어서) 부담스럽고요. 그게 공존하는 감정입니다."

- 고민은 없었나요?

"큰 고민은 하지 않았어요. 부담스럽긴 한데 요청이 들어왔을 때 하겠다고 했습니다. 말씀드렸지만 저녁 프라임 시간대에 굉장히 많은 청취자들이 듣고 있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에 기자나 앵커로서 굉장히 보람 있는 일이죠. 그래서 큰 고민 없이 해보겠다고 했습니다."

- 혹시 이전에 라디오 프로그램을 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나요?

"라디오 프로그램 해보고 싶은 마음은 분명히 있었습니다. TV보다 자유롭다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TV도 사실 <뉴스외전> 같은 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데 제가 2009년 <뉴스데스크> 진행할 때는 꽉 짜인 포맷 때문에 앵커로서 답답함을 많이 느꼈습니다. 근데 <뉴스외전>에 오니까 상대적으로 자유롭고요. <뉴스데스크>는 앵커가 자기 할 말 적어놓고 프롬프터를 읽거든요. 근데 <뉴스외전>은 적어놓지 않고 생각을 말하니까 자유로웠어요. 라디오는 더 자유로울 것 같아서 언젠가는 해보고 싶었습니다."

- 첫 방송에서 청취자들을 대신해 좋은 질문을 하겠다고 약속하셨잖아요. 10개월이 지났는데 그 약속을 잘 지키고 있다고 생각하세요?

"TV나 라디오 앵커를 하면서 좋은 질문하겠다는 다짐을 항상 합니다. 청취자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은 반드시 묻겠다, 인터뷰이가 불편해도 물을 건 묻겠다, 청취자들이 분명히 알 수 있을 때까지 집요하게 질문하겠다, 해야 할 질문을 빼먹지 않겠다고 늘 다짐했습니다. 어느 정도는 성실했다고 자부합니다. 제가 맡은 이후에 조금씩 청취율이 올라갔는데 제가 어느 정도 약속을 지키지 않았나 자평합니다."

-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는 질문을 하기 위해 준비하는 게 있다면?

"청취자의 눈높이에 반드시 맞는 질문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굉장히 중요한 부분인데요. 저는 매일 방송을 준비할 때 너무 세세한 부분을 자세히 알려고 하지 않습니다. 무슨 얘기냐 하면 이건 스타일의 문제인데 어떤 주제나 어떤 사람에 대해 어떤 앵커들은 모든 걸 파악하고 들어가는데 그럼 두 가지 문제가 생기더라고요. 뭐냐 하면 하나는 모든 걸 꼼꼼하게 하고 들어가면 일단 제가 재미가 없어요. 나올 얘기가 뭔지 다 알고 있기 때문이에요. 저는 확신하는 게, 인터뷰를 하면서 제가 궁금하고 재미가 있어야지 청취자들도 재밌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질문할 내용의 세부적인 거에 대해서는 일부러 안 보기도 합니다. 다만 배경을 열심히 파악합니다. 예를 들면, 선박 엔지니어라는 사람을 인터뷰 하면 선박 엔지니어에 대한 책은 거의 안 봅니다. 왜냐하면 제가 그걸 다 읽고 나면 궁금한 게 없어지거든요. 대신 파도나 기상학 이런 책을 봅니다. 그러면 그분하고 인터뷰할 때 그 사람은 자기가 아는 부분을 흥미롭게 얘기할 수 있고 저는 기상 등 주변 지식으로 그 엔지니어에 대한 궁금한 대답을 끌어낼 수 있는 거죠. 그러니까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기 위해서는 제가 세부적인 걸 너무 알고 들어가면 안 된다는 생각을 합니다."

- 기자가 질문을 날카롭게 해야지 사납게 하면 안 된다는 말을 들었는데요. 날카로운 것과 사나운 것의 차이는 뭘까요?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날카로움은 호기심과 궁금함에서 온다고 봅니다. 무슨 얘기냐 하면 말이 안 되는 말을 하는 인터뷰이가 있을 때 제 호기심은 그겁니다. 저 사람은 말이 안 되는 얘기를 자기 확신을 가지고 말하는 걸까? 아니면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저런 말을 만들어 내는 걸까? 그러면 그 사람의 논리적 하자를 찾게 되죠. 그렇게 되면 날카로운 질문이 가능해진다고 봅니다. 반면 사나운 질문은 호불호를 앞세워 불호하는 사람에겐 불친절하게 질문을 던지고 좋아하는 사람에겐 좋은 얘기를 하려는 것이죠. 이게 사나운 질문이냐 날카로운 질문이냐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 방송 준비는 어떻게 하세요?

"아까 제가 말씀드린 대로 그날 사건의 주요 흐름에 있는 주변 상황을 많이 보려고 해요. 그 사건의 구체적인 걸 다 준비하지 않습니다. 방송 들어가서 출연한 패널이나 게스트한테 물어보는 게 훨씬 더 정확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제가 (아이템에 대해) 궁금해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세부적인 걸 보는 게 아니고 방송 들어가기 전에 그날의 흐름, 정치면 정치의 흐름, 구체적인 한 사안에 대한 기사보다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기사들을 많이 봅니다. 그리고 주변에 있는 동료들한테 '오늘은 뭐가 궁금해?' '오늘은 무슨 얘기를 많이 해'라고 물어요."

"기계적 중립은 옳지 않은 쪽에 손 들어주는 것"

 <오마이뉴스>와 인터뷰 하는 권순표 MBC 앵커
<오마이뉴스>와 인터뷰 하는 권순표 MBC 앵커 ⓒ MBC

- 공정과 중립이 언론인에겐 늘 고민일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지금 말씀하신 그 질문이 우리가 가장 신경을 많이 쓰는 중요한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공정이라는 부분에 대해서 평생을 고민해 왔고요. 무엇이 공정인가에 대해 제가 가진 분명한 확신은 하나 있습니다. 기계적 중립은 공정한 것이 아니라는 거죠. 옳은 것이 있고 옳지 않은 게 있을 때, 기계적 중립은 옳지 않은 쪽에 손을 들어주는 것이고 저는 여기에 대한 확신이 있습니다. 이건 제가 평생을 고민해 온 부분인데요, 공정이라는 걸 물리적 현상으로 비유해 보면 저는 무게 중심이 공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기계적 중립은 대략 눈대중으로 여기쯤이 중간쯤일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고, 무게 중심은 비판에 있어서 가치의 가중치를 줘야 한다는 얘깁니다. 유튜브 같은데 검색해 보면 '균형 예술'이라는 동영상들이 있습니다. 언뜻 보기에는 균형이 전혀 맞지 않는 것 같은데, 그 조합이 놀라운 균형을 이루며 넘어지지 않습니다. 반면 대충 여기가 중간쯤이겠지하고 물건을 세우면 반드시 넘어집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언론에의 공정함이란 옳은 쪽, 정의로운 쪽, 약자 쪽으로 균형점을 옮기고, 옳지 않은 쪽, 강자의 쪽으로 비판의 균형점을 옮겨야 전체적으로 무게 중심이 맞게 되고 그 사회가 균형을 이루고 제대로 서 있을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 근데 그걸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게 예를 들어 개헌 문제가 있으면 기자가 개헌에 대해 결론을 내는 게 아니라 개헌의 좋은 점과 나쁜 점을 서술하고 독자나 시청자가 판단해야지 않을까요?

"물론입니다. 지금 말씀하신 그런 사례 같은 경우 공정은 양쪽의 장단을 반드시 알려야 되는 것입니다. 즉, 정보의 문제에 있어서는 양쪽의 정보를 균형 있게 전달해야 하는 것이 공정입니다. 근데 제가 아까 말씀드린 그 무게 중심의 공정이라는 것은 옳은 일과 옳지 않은 일이 있을 때 옳은 일에 대해서는 거기에 비중을 훨씬 더 두고 틀린 부분에 대해서는 더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게 공정하다고 봅니다."

- <뉴스하이킥>의 편향성 문제가 나오잖아요. 그건 어떻게 생각하세요?

"비슷한 맥락인데요, 공정이랄까요. 이 주제에 대해서는 보는 사람에 따라 언제나 편향성 논란은 나올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기계적 중립을 기계처럼 지키면서 진행하지 않는 한에서는요. 그렇다면 뉴스 프로를 기계처럼 진행해야 하느냐, 거기에 대해서는 절대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편향성 문제는 그걸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편향된다고 보는 사람도 있고 그렇지 않다고 보는 사람도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뉴스 진행자가 무게 중심을 둔 옳다고 생각하는 방향에 다수의 청취자가 공감할 수 있는가? 또 사회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인가? 같은 평가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모든 사람이 공정하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은 있을 수도 없고 바람직하지도 않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저는 <하이킥>에 대해서 공정하다고 느끼는 청취자가 다수이고, 편향됐다고 생각하는 청취자가 소수일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 청취율이 잘 나오는 게 한쪽 편을 들었기 때문이란 주장도 있어요. 무슨 말이냐면 한 쪽 편 들면 편 든 진영에서는 좋아하잖아요. '모두 까기'로 하면 양쪽에서 다 싫어하니까요.

"청취율이 좋은 게 한쪽 편을 들어서 좋다기보다는 저는 거꾸로 해석합니다. 국민들이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옳지 않다고 지적하고 다수 국민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응원하기 때문에 많은 청취자들이 동감하고 동의하는 것이라고 해석합니다."

- 시사 프로그램 진행자가 어떤 사안에 대해 논평하는 걸 어떻게 생각하세요? 이재석 전 KBS 기자는 '진행자가 논평하면 안 된다는 전통적인 입장도 일리는 있지만, 합리적인 비평이라면 자유롭게 열어둬도 된다'라고 하던데.

"저는 가능하다고 봅니다. 직접 논평하는 것도 앵커는 할 수 있다고 봅니다. 앵커의 어떤 영역 중 하나라고 분명히 보는데 제 생각을 드러내는 방식을 직접적인 말보다는 질문을 통해서, 그러니까 패널의 대답을 통해서 견해가 자연스럽게 드러나게 하는 방법을 선호합니다."

- 패널들과의 호흡은 어떤가요?

"저희 프로그램 나오는 패널들과의 호흡이 굉장히 좋다고 생각하는데요. 저는 앵커는 어떤 패널이 와도 호흡이 좋아야 하고 좋게 하려고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생각하기에 지금 틀린 말을 하는 패널이 와도 그걸 비판하면서도 호흡이라는 건 그 둘 사이에 대화가 되고 티키타카가 되고 이러면 그건 좋은 호흡이라고 보거든요. 프로그램을 하면서 그러려고 노력합니다."

- 청취자들에게 어떤 앵커로 기억되고 싶나요?

"할 질문을 끝까지 피하지 않고 그 궁금증이 해소될 때까지 했던 앵커 그래서 듣고 싶은 걸 다 들을 수 있어서 속 시원했던 앵커로 기억되고 싶습니다."

#권순표#뉴스하이킥#청취율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들의 궁금증을 속시원하게 풀어주는 이영광의 거침없이 묻는 인터뷰와 이영광의 '온에어'를 연재히고 있는 이영광 시민기자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