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금강산 일만이천봉을 이루는 산세는 기암괴석의 매혹적인 아름다움으로 눈길을 끈다.
ⓒ 안경숙
떠난다는 것, 좋지 아니한가. 지긋지긋한 일상을 뒤로 하고 떠난다는 것은 상황여부를 떠나 어찌됐든 기분 들뜨고 설레는 일일 거라 믿었다간 그러나 낭패를 볼 수 있다. 지난 7월30일 구포역에서 금강산 행 19시25분발 무궁화호에 몸을 실은 나는 밀려드는 후회와 짜증에 고개를 절레절레 저어야 했다.

무박삼일, 소요날짜를 최대한 줄이면서 저렴한 경비로 금강산 유람을 할 수 있다는 광고에 혹한 사람들은 50, 60대가 대부분이었다. 그들 연령층에 무슨 편견을 가져서가 아니라(나 역시 40대, 편견 가질 처지가 아니다) 타자마자 작정한 듯 왁자지껄한 태도는 몇 시간을 싫은 내색 않고 가기에는 고문에 가까운 횡포였다.

부산을 출발하면서부터 한쪽에선 화투판을 펼치고 또 다른 쪽에선 술판이 벌어지는가 싶더니 아니나 다를까 새벽까지 고성방가가 이어지고 잠이라도 들라치면 통 큰 웃음소리가 기차간을 흔들었다.

난장판 그 자체인 이런 여행을, 짧은 휴가날짜를 쪼개가면서 왜 나는 기어이 떠나려 했던 것인지, 떠나갔던 그곳이 불과 며칠 새 비일상적으로 느껴질 만큼 멀어진 지금 한번쯤은 자문자답 해봄직도 하겠다.

우선은 호기심이랄까, 미디어를 통해 접한 북녘 땅을 내 눈으로 직접 보고 싶었다는 게 닷새의 휴가 가운데 사흘을 뚝 떼어낸 첫 번째 이유였다. 또한 수차례 이산가족들의 재회현장을 지켜보면서 코끝이 시큰해졌던 경험만으로 피의 끌림을 내세우긴 염치없지만 통일 염원의 정당성 같은 걸 북녘 땅에서 확인하고 싶은 마음도 없잖아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분명한 이유는 현대 아산에서 관광용으로 개발한 루트를 시멘트로 아주 도배를 해놓았더라는 소문에 더 미루다간 '원래의 금강산 유람은 물 건너가겠구나' 마음이 조급해진 탓이었다.

결국 이런저런 이유로 떠난 이번 여행에서 그렇다면 내가 만난 건 무엇이었는지 말 나온 김에 답해 버리는 게 좋겠다. 오고가는 데 걸린 시간을 빼면 실로 딸랑 만 하루에 불과한 북한여행에서 내가 만난 건 결국 나라는 인간의 정체성, 밑천 드러난 나 자신의 모습이었다.

생활 속의 진보를 표방하며 누구에게나 마음을 여는 척 폼을 잡지만 속내 들여다보면 단단한 경계의 끈을 풀지 않는 소심하고 겁 많은 나 자신이었다. 그리고 또한 내가 만난 건 근거 없는 미움과 경멸, 값싼 동정과 같잖은 우월감으로 무장한 중장년층의 자화상들이었고, 자본의 자장 안에서 하루하루 달라져 갈 것이 뻔히 내다보이는 남과 북 청년들의 미래상이었다.

여행사 패키지 상품명은 '그리운 금강산'이지만 강릉에서 갈아탄 버스로 세 시간가량 달려 북녘 땅에 내리면 그리운 금강산을 만나기 전 일단 북한 요원들을 먼저 만나야 한다.

검역을 담당하던 40세가량의 남자요원은 앞에 선 내 얼굴과 신분증 사진을 날카로운 눈길로 견줘보고는 뒤에 서있는 사람 쪽으로 고개를 홱 돌린다. 남북 CIQ 수속을 거치는 동안 '버스 이동 중에는 사진을 찍지 말라', '안내원들과 정치적 이야기를 나누지 말라' 등 간단명료하고 엄중한 경고사항들을 반복해서 들으니 북한 땅에 와있다는 게 실감됐다.

이번 여행에서 만난 북측 사람 가운데 몇몇의 인상이 또렷한 게 오래 기억에 남을 듯한 데 그중 한 명이 세관원인지 군인인지 알 수 없지만 신분증을 검사했던 불우한 예술가처럼 생긴 그 요원이고 또 한명은 구룡연 오르는 길에 만난 여자 안내원이다.

▲ 비봉폭포 전경.
ⓒ 안경숙
구룡연 코스는 카메라를 꺼내들고 경치를 담을 욕심을 부리느라 지체하지 않으면 3시간30분 남짓밖에 걸리지 않는 비교적 수월한 길인데 워낙 더운 날씨 탓인지 겨우 1km쯤 걸었나 싶은데 목이 바짝바짝 말랐다. 가지고 간 물병도 비어 허덕거리며 오르는데 계곡 바위위에 서있던 안내원이 산삼녹용이 녹아있는 삼록수 물이라며 와서 마시라고 손짓한다. 땡볕에 데워져서인지 그리 차갑지는 않은데 맛이 달았다.

한 모금 물에 힘을 내어 자연석으로 이뤄진 금강문을 지나 오르는데 대뜸 '올라오시느라 수고 많으십네다'며 밝게 튀는 목소리로 인사말을 건네는 여자안내원이 있었다.

스물두어 살 정도 됐을까, 잠시 숨을 돌릴 겸해서 멈춰 서자 어디서 왔느냐 묻는다. 바다가 가까이 있는 부산에서 왔다고 하니 목줄을 늘어뜨려 걸고 있던 내 신분증(직업란에 '국제신문 교열부 사원'이라 적혀있었다)을 낚아채듯 잡고서 꼼꼼히 들여다보았다.

"국제신문이면 국제적인 뉴스를 하는 뎁니까?"
"국제적인 뉴스를 다루기도 하지만, 신문사 이름이 국제신문이지요."

친절한 대답에 고무된 듯 안내원은 눈을 반짝이며 요새는 무슨 뉴스를 실어대는지 재차 묻는다. 남북 CIQ에서 반복해서 들었던 경고를 떠올리며 나는 "탈레반 피랍 관련 기사지요 머"라고 얼버무렸고 안내원은 당돌한 어투로 "탈레반이 머입네까", "피랍이 뭔 뜻입네까?", "남조선 대통령은 가만히 있단 말입네까?" 말꼬리를 잡으며 물어왔다.

급기야 미국개입 문제까지 들먹이며 이어진 대화를 구룡연 꼭대기까지 갈 시간이 촉박하다는 핑계를 대며 피한 쪽은 나였다. 어린 안내원의 '수작'에 말려들어 행여 골치 아픈 일을 당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따라붙는 안내원을 밀어내며 나는 오르막길로 도망치듯 발걸음을 내디뎠던 것이다.

중간 중간 서있는 안내원에게 다시 말붙일 엄두를 못 내고 내처 구룡연 정상에 오르자 조선 3대 폭포 가운데 하나라는 구룡폭포가 82m 길이로 서있다. 몸을 사리며 올라온 나 자신의 행태가 꼴사납고 창피해 자칫 우울해지려는 마음을 다독이며 나는 애써 구룡폭포에 마음을 쏟았다.

▲ 전라를 드러낸 구룡폭포. 82미터 수직으로 내리꽂는 물줄기의 장관이 아름답다.
ⓒ 안경숙
실은 따로 애쓸 것도 없이 눈앞에 전라를 드러낸 구룡연 정상의 모습은 마음을 뺏기기에 족했다. 하늘과 땅을 수직으로 내리꽂는 물줄기로 이으며 서있는 저 구룡폭포 하나를 본 것만으로도 밤새워 달려올 만하다 싶은 장관이었다.

기차로 8시간, 현대 아산에서 준비한 버스로 3시간을 달려 여기까지 온 거, 구룡연 정상 풍경을 느긋하게 감상하며 쉬다오고 싶었지만 여행사에 의해 주도되는 패키지여행이었다. 나도 그렇고 거기 올라와 있던 다른 사람들도 그렇고 안타까운 한숨을 내쉬며 오후 일정에 맞춰 발길을 돌려 내려와야 했다.

연담교로 내려서자 구룡폭포 대신 상팔담으로 갔던 사람들이 하나둘 돌아오는 게 보였다. 다음에 한 번 더 오게 되면 그땐 선녀와 나무꾼 전설의 원지인 상팔담(담소가 8개) 쪽으로 가봐야지 싶었다.

말은 안했지만 새벽에 구룡연을 택하느라 만물상을 포기해야만 한 것도 어찌 아쉬운지 속이 쓰릴 지경이었다. 관광일정에 묶인 채로 찾아올 땅이 아니었다는 후회를 안은 채 나는 구룡연을 등 뒤로 하고 냉면이 준비된 목란관으로 향했다.

▲ 구룡연 정상을 오르는 길에 만난 옥류동. 선녀가 내려와 목욕을 함직한 청정한 물빛이 맑고 깊다.
ⓒ 안경숙

#금강산#구룡연#구룡폭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