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
길가 잡풀 더미에
노란 민들레꽃
홀로 외롭게 피어 있었다.

마치 막내 딸
시집이라도 떠나보내면서
보이지 않을 때까지
손을 흔드는 듯...

폴폴 하얀 풀씨
멀리 멀리 아주 멀리
날려보내고 있었다.

"얘야, 혼수 중에 가장 귀한 혼수는,
비단보다 고운 며느리의 마음이란다...
부디 시부모 잘 공경하고...아들 딸 많이 낳거라..."

2.
내 어머니 13살 어린 나이로 시집 올 때
너무 찢어지게 가난해서
백설기 떡 하나 넣은
오강 단지 가슴에 품고,

십리 길 꽃가마도 없이
아홉살짜리 신랑은
조랑말에 태워서
고샅길 넘고 넘어서 
그렇게 *민며느리로 시집 가셨다지.

꽃중에 가장 키가 작은 민들레꽃!
오척 단구 내 어머니 닮은 꽃!
그래도 꽃중에 이 보다 더 강인한
꽃이 이 세상에 어디 있을까.

떡장사로 소금 장사로 고기 장수로
떠돌이 행상하면서도 
웃음이 얼굴에 떠나지 않던
내 어머니 웃음을 닮은 노란 민들레꽃이여 !

3.
평생 집 한칸 없이 살다가 돌아가셔도
머무는 집이 진짜 내 집이라고
쓸고 닦고 화분처럼 뿌리 내리시며
한 집안 같은 이웃들 속에서
정겹게 오손도손 살다 생을 마감하셨지.

늙은 내 어머니처럼
홀로 길가에 환하게 웃으며 피어있는 민들레꽃
멀리 멀리 홀씨들...

어린 딸들처럼 시집 보내는...
그 청빈한 꽃그늘 아래서,
아지랑이처럼 피어나는
어머니의 사랑이여, 그리움이여

 민들레 가족
 민들레 가족
ⓒ 송유미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옛날의 혼례는 대개 중매에 의한 전통혼례로 치러졌다. 1900년대 중반까지는 여자와 남자 모두 20세가량에 혼인을 했으며, 23세가 넘으면 노처녀, 노총각이라 했다. 남자 보다 여자가 보통 2~3살 정도 많았기에, 꼬마신랑이 흔했고, 경제적 형편이 어려우면 딸을 미리 시집보내는 ‘민며느리’제도가 있었다. 11~12세에 미리 신랑집으로 가서 4~5년 정도 생활하다가 혼인식을 올린다고 한다.



#민들레#어머니#시집살이#며느리#민며느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마음이 곧 인간이다고 한다. 지식은 곧 마음이라고 한다. 인간의 모두는 이러한 마음에 따라 그 지성이 나타난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