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려쓰니 아름다운 '우리 말' (47) 땅임자

[우리 말에 마음쓰기 358] '자름선-뜯는곳'과 '절단선-'개봉선'

등록 2008.07.02 10:23수정 2008.07.02 10:23
0
원고료로 응원

 

ㄱ. ‘땅임자’와 ‘지주’

 

.. 한숙이네는 땅이 없었기 때문에 남의 땅을 빌려서 농사를 지으며 살았습니다. 농사를 지어 땅주인에게 얼마를 주고 남은 것으로 먹고살자니 늘 가난을 면할 수가 없었습니다 ..  《박상규-사장이 된 풀빵장수》(산하,1993) 107쪽

 

 낱말책에서 ‘땅주인’을 찾아보면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땅임자’라는 말은 나옵니다. 토박이말 ‘땅’이라서, 이 말 뒤에 붙이는 낱말로는 ‘主人’이라는 한자말보다 ‘임자’라는 토박이말이 어울리다고 생각했기 때문일까요.

 

 그런데, ‘집임자’와 ‘집주인’은 낱말책에 함께 실려 있습니다. 다만, ‘집임자’ 풀이는 “집임자 = 집주인”으로 되어 있고, ‘집주인’ 풀이도 “집주인 = 집임자”로 되어 있습니다.

 

 ┌ 땅임자 : 땅을 가지고 있는 사람

 │     <돈이 없는 농사꾼은 땅임자가 되기 어렵다>

 ├ 임자

 │  (1) 물건을 가진 사람

 │     <이 자리는 임자가 없나 / 이 책은 아직 임자가 없다>

 │  (2) 사람,물건,짐승을 잘 다스리거나 다루는 사람

 │     <자전거가 임자를 만났구나 / 이 일에는 임자가 따로 있어>

 │  (3) 부부를 이루는 짝이 되는 사람

 │     <이제 임자도 마음 놓으시게>

 │

 ├ 주인(主人)

 │  (1) 대상이나 물건을 소유한 사람. ‘임자’로 순화

 │   - 책방 주인 / 주인 없는 땅 / 이 우산 주인 없습니까?

 └ 지주(地主)

     (1) 토지를 지니고 있는 사람

     (2) 자신이 가진 토지를 남에게 빌려 주고 지대를 받는 사람

     (3) 그 토지에서 사는 사람

 

 ‘주인’이라는 한자말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모두 다섯 가지 뜻이 달려 있습니다. 이 가운데 가장 널리 쓰는 첫째 뜻을 보면, ‘임자’로 고쳐서 쓰라고 풀이가 달립니다. 이 풀이말에 따른다면, “책방 주인”은 “책방 임자”로 고치고, “주인 없는 땅”은 “임자 없는 땅”으로 고치며, “이 우산 주인 없습니까?”는 “이 우산 임자 없습니까?”로 고쳐야 알맞습니다.

 

 국어사전 뜻풀이로 살피면, “땅임자 = 지주”로 되어 있고, 다른 뜻풀이가 달려 있지 않습니다. ‘지주’를 찾아보면 모두 세 가지 뜻이 달립니다. 국어사전에 “땅임자 = 지주”로 되어 있다고 한다면, ‘땅임자’는 ‘지주’ 쓰임새 세 가지가 모두 있다는 소리가 될까요, 아니면 ‘지주 (1)’하고만 같은 뜻이나, ‘땅임자’보다는 ‘지주’라는 말을 써야 올바르다는 소리가 될까요.

 

 ┌ 땅 + 임자 = 땅임자 : 땅을 가지고 있는 사람

 └ 地 + 主 = 地主 : 土地를 所有한 主人

 

 우리가 ‘땅임자’라고 할 때에는, “땅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가리킵니다. 우리가 ‘地主’라고 할 때에는, “土地 所有 主人”을 가리킵니다.

 

 저마다 자기 마음에 와닿는 말을 골라서 쓸 일이며, 자기한테 뜻이 또렷하게 느껴지는 말을 가려서 쓸 일입니다. 어릴 적부터 듣던 말이 익숙할 테고, 둘레에서 흔히 듣던 말을 스스럼없이 쓰게 됩니다.

 

 생각해 보면, 펄벅 님이 쓴 문학은 ‘땅’도 ‘너른 땅’도 ‘어머니 땅’도 아닌 ‘大地’로 옮겨졌습니다. 우리 나라 소설꾼 박경리 님이 쓴 문학은 ‘땅’이 아닌 ‘土地’였습니다. 글꾼 이광수 님은 ‘흙’을 썼고, 소설꾼 윤정모 님은 ‘들’을 썼는데, 앞으로 우리 나라 글꾼 가운데 ‘땅’을 글감 삼아서 이야기를 줄줄줄 펼쳐 나갈 분이 나올 수 있을는지, 못 나올는지.

 

 

ㄴ. ‘자름선’과 ‘절단선’

 

 집살림을 갈무리하다가, ‘체력검사 수검표’라는 종이 한 장을 봅니다. 사진은 다른 데에 쓴다고 떼어냈고, 꼬깃꼬깃 꼬겨진 채로 종이 한 장 남아 있습니다.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가기 앞서 ‘체력검사’를 했습니다. 그때 쓰던 녀석이었을 테고, 이 수검표를 왼쪽 가슴에 옷핀으로 꽂아서 이것저것 체력검사를 했던 일이 어렴풋하게 떠오릅니다. 그때 일을 지나가는 말로 묻는다면 떠올리지 못할 터이나, 종이쪽지 하나가 남아서 가만히 만지작거리다 보니 아련하게 이 모습 저 모습 떠오릅니다.

 

 용케 이런 종이쪽지를 안 버리고 간수하고 있었다며 재미있어 하면서 요모조모 살펴봅니다. 종이쪽지는 둘로 나누도록 되어 있고, 오돌토돌 돌기가 솟고 금이 그어진 자리에 자그마한 글씨로 ‘자름선’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 자름선

 

 응? 자름선? 자르는 금이니 ‘자름선(-線)’인가?

 

 ┌ 절단선(切斷線) / 개봉선(開封線)

 └ 뜯는곳

 

 종이쪽지는 상자에 다시 집어넣고 끈으로 고이 묶습니다. 곰곰이 헤아려 봅니다. 라면 스프를 뜯을 때, 과자봉지를 뜯을 때, 밥집에서 주는 물수건 봉지를 뜯을 때, 금이 그어진 자리가 있고 그 옆으로 여러 가지 말이 적혀 있습니다. ‘절단선’이라고 적히기도 하고, ‘개봉선’이라고 적히기도 하며 ‘뜯는곳’이라고 적히기도 합니다.

 

 ┌ 자름줄 / 자름금 / 자를곳

 └ 뜯는줄 / 뜯는금 / 뜯는곳

 

 1990년 가을 어느 날, 중학교 3학년 아이들이 가슴에 달고 체력검사를 보도록 한 종이쪽지에 ‘자름선’이라는 말을 넣은 분은 어떤 마음이었을까요. 그분은 자기 나름대로 우리 말을 살려 보려는 마음이었을까요. 학생들이 쓰는 종이쪽지이니, 좀더 쉬운 말로 적어야 한다는 마음이었을까요. 이도 저도 아니고, 말 그대로 “자르는 금”이니까 ‘자름선’이라고 적었을 뿐일까요.

덧붙이는 글 |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http://hbooks.cyworld.com (우리 말과 헌책방)
http://cafe.naver.com/ingol (인천 골목길 사진)

2008.07.02 10:23 ⓒ 2008 OhmyNews
덧붙이는 글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http://hbooks.cyworld.com (우리 말과 헌책방)
http://cafe.naver.com/ingol (인천 골목길 사진)
#살려쓰기 #우리말 #우리 말 #토박이말 #한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종영 '수사반장 1958'... 청년층이 호평한 이유
  2. 2 '초보 노인'이 실버아파트에서 경험한 신세계
  3. 3 '동원된' 아이들 데리고 5.18기념식 참가... 인솔 교사의 분노
  4. 4 "개도 만 원짜리 물고 다닌다"던 동네... 충격적인 현재
  5. 5 "4월부터 압록강을 타고 흐르는 것... 장관이에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