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 19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열린 4차 촛불집회에 참석한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최순실 게이트' 진상규명과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며 가두행진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공동취재단
헌정사상 처음으로 대통령 탄핵이 이뤄진 2017년엔 찬성 여론이 80% 안팎이었다. 이날 토론회에서 안 소장은 2016~17년의 '촛불시민혁명 시국'과 현 탄핵 국면이 여러 면에서 닮았다면서도 몇 가지 차이점을 거론했다. 무엇보다도 당시는 정권 말기였고 지금은 초중반이라는 점이 다르다. 아무리 형편없는 정권이라도 탄핵은 좀 이르지 않느냐는 분위기가 있다.
당시에는 전국 2300개 시민사회단체가 '박근혜 퇴진 비상국민행동'이라는 범국민운동본부를 결성해 단일대오를 형성했다. 하지만 지금은 시민사회단체들의 투쟁 방식이 탄핵, 퇴진, 규탄, 비판 등으로 제각각이고, 다수의 시민사회단체가 탄핵 또는 퇴진 투쟁에 동참하지 않는다. 또한 모든 야당이 탄핵에 동참했던 그때와 달리 진보당과 사민당 외에는 탄핵을 당론으로 정한 정당이 없다(토론회 이후인 7월 25일 조국혁신당은 탄핵추진위원회를 결성했다).
언론지형도 다르다. 그때는 보수·진보라는 정치적 성향을 떠나 대다수 언론이 박근혜·최순실의 국정농단을 비판하고 탄핵 분위기를 고조했지만, 지금은 진보 성향 소수 언론만이 나서고 보수 및 중도 성향 언론이 소극적이어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에 역부족이다. 아직 정권의 힘이 건재한 탓에 대통령이 특검법을 계속 부결해도 뾰족한 대응 수단이 없다는 점도 고민거리다.
안 소장은 "국민의 시간과 국회의 시간은 차이가 있다"면서 "대규모 국민 저항을 위력적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의 진단에는 과거 박근혜 탄핵을 주도했던 경험과 교훈, 현재 매 주말 촛불집회를 주도하면서 느끼는 문제점과 고심이 담겨 있다.
나는 안 소장의 분석에 대체로 공감하지만, 조금 다른 각도의 의견을 덧붙이고 싶다. 바로 탄핵 학습효과다. 뭐든지 한번 해보면 두 번째는 쉽게 하게 마련이다. 그런데 대통령 탄핵 문제는 이런 관행에 맞지 않는 듯싶다. 적어도 지금까지 나타난 집회 현장 분위기와 탄핵 여론조사 결과는 인식과 실천의 틈새를 보여준다. 한마디로, 생각은 있지만 행동은 망설이는 것이다.
탄핵의 부정적 학습효과
7년 전 달콤했던 탄핵의 열매는 문재인 정부의 '실패'와 함께 쓴맛으로 바뀌었다. 기대가 컸던 만큼 실망도 컸다. 게다가 탄핵의 궁극적인 귀결이 검찰정권 출범이라니. 당시 탄핵대열에 앞장섰던 사람들은 허탈함과 더불어 탄핵의 실효성에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윤석열 정권의 무능과 폭정을 견디기 힘들지만, 끌어내린다고 해서 더 좋은 세상이 온다는 확신이 없는 것이다.
이런 부정적 학습효과의 밑바탕에는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도사린다. 대놓고 말하자면, 거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신뢰 문제다. 굳이 여론조사 결과를 언급하지 않더라도, 민주당에 대한 신뢰도나 지지도는 높지 않다. 흔히 하는 말로, 윤석열 정권이 싫지만, 그렇다고 민주당을 좋아하는 것도 아니라는 얘기다. 정권 심판론에 힘입어 압승한 22대 총선 결과를 두고 21대 대선을 낙관하는 건 아전인수다.
역사가 진보하는 과정에 좀비처럼 튀어나오는 반동은 고통스럽다. 상실감을 안기고 냉소주의나 패배주의에 젖게 한다. 탄핵은 개혁이 아니라 혁명이다. 혁명은 진보적 열망에서 비롯되지만, 때로 끔찍한 반동을 불러와 진보를 짓누르거나 후퇴시킨다. 1642년의 청교도 혁명이 그랬고, 1789년의 프랑스 대혁명이 그랬다. 그래도 두 혁명은 길게 봐서 역사의 진보에 이바지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1917년의 러시아혁명은 무슨 진보를 이뤘는지 알 수 없다. 적어도 민주주의적 관점에서는 그렇다.
탄핵의 필요조건은 갖췄지만, 충분조건은 갖춰지지 않았다. 충분조건의 핵심은 정치에 대한 국민의 믿음이다. 일찍이 공자는 정치의 본질을 경제(식량)와 안보(군사), 신뢰(백성의 믿음)라고 규정했는데, 그중 신뢰를 으뜸으로 꼽았다. 한국의 정치권이 마땅히 새겨들어야 할 금언이다.
탄핵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