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전 점으로 결정된 한양 천도

[태종 이방원 97] 돈을 던져라

등록 2007.06.02 13:34수정 2007.06.02 14:10
0
원고료로 응원
이양달의 얼굴이 창백해졌다. 위기를 모면하지 못하면 관직을 잃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부왕을 속였다는 이유로 참에 처해질 수도 있다.

"한양에 비록 물이 없다고 말하나 전면에 물의 흐름이 시작됩니다. 더군다나 그때에 말을 숨기지 아니하고 다 말씀드렸습니다."


"한양에 천도하고 부왕이 편찮아서 거의 위태하였으나 회복되었다. 죽고 사는 것은 대명(大命)에 관계되는 것이다. 그 후 변고가 여러 번 일어나고 하나도 좋은 일이 없었으므로 이에 송도에 환도한 것이다."

태조 이성계의 환우와 왕자의 난을 거론하며 한양이 길지가 아니라는 것이다.

"다만 신(臣)이 전단(專斷)할 바가 못 되었을 뿐입니다."

최종 결정권자가 아니었으므로 책임을 묻는다면 억울하다는 것이다.

"너희가 내 앞에 있으면서 변명하는 것이 이와 같으니 어찌 다른 곳에서 자복(自服)하겠는가?"


불호령이다. 학자면 학자답게 양심에 어긋나는 말은 하지 말라는 뜻이다. 질책의 화살이 조준에게 향했다.

"도읍을 세울 때 경(卿)은 재상이었다. 어찌하여 한양에 도읍을 세웠는가?"


"신은 지리를 알지 못합니다."

모르쇠의 변종이다. 모른다는데 임금도 더 이상 할 말이 없었다.

"좋다. 더 내려가서 명당을 찾도록 하라."

태종 이방원 일행은 하산하기 시작했다. 임금 곁에 바짝 붙은 하륜이 낮은 목소리로 소곤거렸다.

"좋은 명당은 송도의 강안전(康安殿) 같은 곳이나 무악은 송도의 수창궁과 같습니다."

강안전 터처럼 빼어난 길지는 아니나 버금가는 명당이라는 뜻이다. 산을 내려온 임금 일행은 사천(沙川)가에 자리를 마련하고 또다시 토론이 벌어졌다. 의견을 개진하라는 왕명에 따라 소신을 말하였으나 불 같은 질책이 떨어지니 모두가 하나같이 입이 얼어붙었다.

"왜 말들이 없는가? 무악과 한양 어느 곳이 좋은가? 어서들 말하라."

호종한 신하들을 다그쳤지만 어느 누구 하나 입을 떼지 않았다.

"내가 송도에 있을 때 여러 번 가뭄과 수재의 이변이 있었으므로 하교하여 구언(求言)하였더니 정승 조준 이하 대신들이 한양으로 환도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말한 자가 많았다. 그러나 한양 또한 변고가 많았으므로 마음의 결정을 하지 못하였다.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다. 무악과 한양 어느 곳이 좋은가?"

군주란 신하들의 얘기를 들으려 할 때는 귀를 열어놓고 들어야 하는데 과거의 일을 들춰내며 질책하니 아무도 입을 열지 못했다.

a 종묘

종묘 ⓒ 이정근

"경들이 아무 소리 안 하니 방법은 하나밖에 없다. 이제 종묘에 들어가 송도와 한양과 무악을 고(告)하고 그 길흉을 점쳐 길한 데 따라 도읍을 정하겠다. 도읍을 정한 뒤에는 비록 재변(災變)이 있더라도 이의가 있을 수 없다."

점으로 결판 짓겠다는 말이다. 종묘로 이동한 태종 이방원이 제학(提學) 김첨에게 물었다.

"무슨 물건으로 점을 칠 것인가?

"종묘 안에서 척전(擲錢)할 수 없으니 시초(蓍草)로 점치는 것이 좋겠습니다."

척전이란 동전을 던져서 점을 치는 것으로서 일명 척괘(擲卦)라 하는 돈점이다. 조상을 모시는 신성한 종묘에서 시정잡배들이나 하는 돈점을 칠 수 없다는 얘기다.

돈점은 한꺼번에 동전 셋을 던져 1개가 뒷면이 나오고 2개가 앞면이 나오면 단(單)이라 하여 작대기 하나 모양으로 표시하고 2개가 뒷면이 나오고 1개가 앞면이 나오면 탁(拆)이라 하여 작대기 두 개를 나란히 놓은 모양으로 표시하고 3개가 모두 뒷면이 나오면 중(重)이라 하여 ○로 표시하고 3개가 모두 앞면이 나오면 순(純)이라 하여 ×로 표시하는데 세 번 던져서 하나의 괘(卦)를 만들어 길흉(吉凶)을 판단하였다.

"시초(蓍草)가 있으면 좋으련만 척전은 요사이 세상에서 하지 않는 것이므로 길흉을 정하는 것이 어렵지 않겠느냐?"

개경을 떠나올 때 시초점을 칠 것이라 예상했으면 점 도구를 준비해 왔겠지만 전혀 뜻밖이라 제학 김첨도 난감했다.

시초점이란 중국 주나라 때부터 전래되어 내려온 점술로서 빳빳한 톱풀나무 가지 50개를 준비하여 죽통에 넣고 흔들어서 그 중 하나를 제외하고 남은 49개를 두 손으로 모아 잡고 오른손과 왼손 양쪽으로 나눈다. 여기에서 오른쪽에 남은 숫자를 헤아려 음양으로 점괘를 본다. 톱풀나무 가지 구하기가 어려우면 댓가지를 대체 이용하다 현재는 쌀알을 사용한다.

"점괘(占卦)의 글은 의심나는 것이 많으므로 정하기가 어렵겠습니다."

"여러 사람이 함께 알 수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낫겠다. 척전이 속된 일이라 하나 중대사를 결정할 때 중국에서도 사용했었다. 고려 태조가 도읍을 정할 때 무슨 물건으로 하였는가?"

뒷말을 없애기 위하여 공개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는 뜻이다.

"역시 척전을 썼습니다."

정승 조준이 답했다.

"그랬다면 지금도 척전이 좋겠다."

조금 격에 떨어지기는 하지만 돈점으로 결정이 났다. 태종 이방원은 여러 신하를 거느리고 종묘에 예를 올렸다. 조상께 예를 올린 태종 이방원은 완산군 이천우, 좌정승 조준, 대사헌 김희선, 지신사 박석명, 사간 조휴를 거느리고 묘당(廟堂)으로 들어갔다.

이천우의 손끝에서 결정된 한양

묘당에 향을 올리고 꿇어 앉아 이천우에게 돈을 던지라 명했다. 이천우의 손끝에서 모든 것이 결정나는 순간이었다. 좌우를 살피며 호흡을 가다듬은 이천우가 돈을 집어들었다. 국가의 중대사가 자신의 손끝에서 결정난다 하니 이천우 역시 긴장된 모습이었다. 모두의 시선이 이천우의 손끝에 모아졌다. 이천우의 손을 떠난 동전이 허공을 가르며 날았다.

임금을 비롯한 모두의 시선이 동전의 궤적을 따라 움직였다. 착지한 동전이 떼구르르 구르다 멈췄다. 한숨과 환호가 엇갈렸다. 이천우의 동전 던지기는 한 번으로 끝나지 않았고 아홉 번 계속되었다. 그럴 때마다 한숨과 환호가 이어졌다. 결과는 한양이 2길(吉) 1흉(凶)이었고 송도와 무악은 각각 2흉(凶) 1길(吉)이었다. 한양으로 결판이 난 것이다.

"한양으로 결정이 났다. 누구라도 이의를 제기하는 자는 종묘를 능멸하는 것이다."

태종 이방원의 한양 선언이다. 새로운 도읍지로 한양을 선택한 임금은 환도를 차질 없이 수행하라 명하고 종묘를 빠져나와 어가를 돌렸다. 광나루에 휴식을 취하던 태종 이방원이 혼잣말처럼 중얼거렸다.

"나는 무악에 도읍하지 아니하였지만 후세에 반드시 도읍하는 자가 있을 것이다."

빼어난 명당 무악에 대한 아쉬움이 컸던 것이다.
#척전 #시초점 #종묘 #무악 #한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실(事實)과 사실(史實)의 행간에서 진실(眞實)을 캐는 광원. 그동안 <이방원전> <수양대군>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 <소현세자> <조선 건국지> <뜻밖의 조선역사> <간신의 민낯> <진령군> <하루> 대하역사소설<압록강>을 펴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아버지 금목걸이 실수로 버렸는데..." 청소업체 직원들이 한 일 "아버지 금목걸이 실수로 버렸는데..." 청소업체 직원들이 한 일
  2. 2 "부영, 통 큰 기부로 이미지 마케팅... 뒤에선 서민 등쳐먹나" "부영, 통 큰 기부로 이미지 마케팅... 뒤에선 서민 등쳐먹나"
  3. 3 깜짝 등장한 김성태 측근, '대북송금' 위증 논란 깜짝 등장한 김성태 측근, '대북송금' 위증 논란
  4. 4 김건희·채상병특검법 부결, 여당 4표 이탈 '균열' 김건희·채상병특검법 부결,  여당 4표 이탈 '균열'
  5. 5 이런 대통령은 없었다...윤 대통령, 24번째 거부권 이런 대통령은 없었다...윤 대통령, 24번째 거부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