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철 옹을 생각하며

등록 2001.10.13 12:11수정 2001.10.13 13:36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지난 9월 25일 김학철(金學鐵, 1916-2001) 옹이 85세를 일기로 세상을 뜨셨다. 내 비록 그 분에 대해 아는 것 없으나 반드시 한 편의 작가론을 남기겠노라고 생각한다.


보성학교를 다녔다니 반도에서 인텔리축에 끼어 살아갈 수 있었을텐데 조선의용대에 입대하여 항일 무장투쟁을 하다 한쪽 다리를 잃었다. 가족에 피해가 갈까 경계하여 본명인 홍성걸을 김학철로 바꾸어 평생의 이름으로 삼았다.

해방이 되어 북한에서 노동일보 기자로 잠시 일했으나 곧 중국으로 망명했다 하니 이는 위세를 넓혀가던 김일성 체제 아래 살 수 없었음이다. 피비린내 나는 숙청으로 점철될 체제의 앞날을 미리 내다본 형안이었다.

광풍같은 문화혁명의 와중에 마오쩌뚱을 향한 우상숭배를 비판한 일로 10년 동안 감옥살이를 했다. 무한권력의 횡포 앞에서도 불의에 눈감지 않은 삶이었다.

세상을 뜨면서 외아들에게 일절 부고를 내지 말라 하고 화장하여 뼛가루를 두만강 하류에 뿌려달라 했으니 마지막 순간까지 이승의 번거로운 잡사에 미련 두지 않은 삶이다. 덩샤오핑처럼 이것이야말로 '열반'이다.

21세기, 외줄기 개벽같은 삶을 찾아보기 힘들다. 허명과 물질을 좇아 자기를 버리는 일이 즐비하기만 하다. 신문으로 뒤늦은 소식을 접한 나는 발을 헛디뎌 허방 짚은 사람처럼 망연자실했다.


삶은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 말은 거짓을 꾸밀 수 있으되 살아낸 삶은 달리 꾸며 남 속일 도리가 없다. 그럼에도 내가 옹의 삶을 배울 수 있는 길은 한 편의 작가론을 말로 지어내는 일뿐, 그는 작가였으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일타 강사처럼 학교 수업 했더니... 뜻밖의 결과 일타 강사처럼 학교 수업 했더니... 뜻밖의 결과
  2. 2 유럽인들의 인증샷 "한국의 '금지된 라면' 우리가 먹어봤다" 유럽인들의 인증샷 "한국의 '금지된 라면' 우리가 먹어봤다"
  3. 3 얼굴 창백한 계산원을 보고 손님이 한 행동 얼굴 창백한 계산원을 보고 손님이 한 행동
  4. 4 꼭 이렇게 주차해야겠어요? 꼭 이렇게 주차해야겠어요?
  5. 5 쿠데타 막다 옥살이, 63년 만에 무죄 받아든 아들의 한탄 쿠데타 막다 옥살이, 63년 만에 무죄 받아든 아들의 한탄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