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어린이, 거대한 대륙의 작은 황제들

6월 1일은 중국의 어린이 날, 4.2.1시스템 하에서 샤오황띠 신드롬

등록 2004.06.01 18:52수정 2004.06.02 23:24
0
원고료로 응원
a

중국은 1949년 12월 이후 4월 4일이던 어린이 날을 6월 1일로 변경하였다. ⓒ 김대오

6월 1일은 중국의 어린이날. 중국의 어린이들이 성인이 되는 20년 후의 중국은 어떤 모습일까? 과연 세계 최강으로서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세계를 주도해 나갈까, 아니면 일각의 주장처럼 몰락의 길을 걷게 될까? 지금 중국 어린이들은 어떤 모습으로 그들의 미래를 준비하고 있을까?

1949년 11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국제여성연합회에서 아동의 생존권, 교육권, 보건권 등을 보호하고 어린이들의 생활 여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6월 1일을 국제 어린이날로 지정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도 1949년 12월, 기존의 4월 4일 어린이날을 폐기하고 6월 1일을 어린이날로 공식 지정했다. 미국은 5월 1일, 영국은 7월 14일, 일본은 남자아이는 5월 5일, 여자아이는 3월 3일을 어린이날로 삼아 왔으나 점차 6월 1일을 국제 어린이날로 통일해 가는 추세이다.

중국 어린이들도 돈이 최고!

a

어린이 날을 맞이하여 베이징청년보 6월 1일자 일면에 실린 후진타오주석과 중국 어린이들 ⓒ 김대오

중국의 어린이날을 맞이하여 중신왕(中新網)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중국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장래 희망은 교사, 의사, 변호사, 경찰, 기업가, 과학자, 연예인, 정부관료의 순으로 나타났다. ‘돈, 권력, 재능, 명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라는 설문에는 89%가 돈을 선택했다.

21%의 어린이는 대학을 가기 위해 공부한다고 응답했고 부모들의 71%는 자녀들의 장래 희망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돈이 있다면 외국 유학을 희망하는 학생이 34%나 되고 10%는 유학 후 외국에서 살고 싶다고 응답해 외국에 대한 막연한 호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은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어린이들과 대화를 나누며 어린이날을 맞이하는 아동들을 격려했다. 이 자리에서 후진타오는 어린이들이 건강하게 자라면서 기본적인 도덕과 사상적 품격을 갖춘 토대 위에서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수 있는 재능을 함양하도록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는 뒤집어 보면 개혁 개방 이후 배금주의와 물질만능 풍조가 만연하고 '한 자녀 낳기' 정책 이후 어른들의 과잉 보호 아래에서 중국 어린이들의 품성에 그만큼 많은 문제가 생겨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해주는 대목이다.

샤오황띠(小皇帝)신드롬

a

어린이 날을 맞이하여 개최된 그림그리기 대회에 참석한 어린이들이 열심히 그림을 그리고 있다. ⓒ 김대오

겉으로 드러나는 중국 어린이들에 대한 각종 지표는 꾸준히 향상되어 왔다. 2002년도 발표된 국정정보에 따르면 초등학교 진학률이 95%, 중고등학교 진학률이 80%, 고등직업학교 및 대학 진학률이 6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교육비가 전체 GDP의 2%에 달하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그 내면을 가만히 들여다 보면 심각한 구조적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다. 1973년부터 계획 출산이 본격화 되면서 한 쌍의 부부가 1명의 아이만을 낳는 '한 자녀 낳기' 정책이 시행되었다. 2010년까지 14억 이내로 인구를 억제한다는 국가 목표에서 출발한 것이었다.

'늦게 결혼하기(晩), 간격을 둔 출산(稀), 적게 낳기(少)'의 표어가 마을 벽 곳곳에 나붙으면서 대대적인 국민 홍보와 교육이 실시되었다. 그러던 것이 1979년부터 완전히 한 자녀로 확정되었으며 20여 년이 지나며 이렇게 태어난 아이들이 7천만명을 넘어서고 있다. 이런 아이들은 이른바 4.2.1(4명의 조부모, 2명의 부모, 1명의 아이) 시스템 속에서 과잉 보호를 받으며 자라나 미증유의 사회 문제를 양산해 되니 이른바 샤오황띠(小皇帝)신드롬이다.

'한 자녀 낳기'로 각종 사회 문제 발생

a

그림그리기 대회에 참석한 두 어린 아이의 모습 ⓒ 김대오

6개의 용돈 지갑을 가진 대도시의 아이들은 도시 노동자의 월급과 맞먹는 700위엔(우리 돈 10만원 상당) 정도의 용돈을 써대며 부족한 것 없는 생활을 즐긴다. 자연히 이기적이고 제멋대로 행동할 뿐만 아니라 자립심, 협동심, 인내력이 부족하다. 한편으로 이들은 고독하고 단조로운 가정 환경 속에서 자라나 원만한 문제 해결력이 결핍되어 있다는 지적도 있다.

부모들이 이들에 쏟는 열정과 비용 그리고 기대는 높아만 가고 있으며 이같은 상황에서 중국의 어린이들 또한 그 나름대로의 많은 정신적 부담과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중고생의 35%, 초등생의 30%가 조부모와 부모의 과잉보호와 편중된 지식 교육 등으로 이상심리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런 것도 열악하기 그지 없는 농촌 어린이들의 실정에 견주어보면 그야말로 사치스러운 고민에 지나지 않는다. 많은 농촌의 아이들은 부모가 도시로 돈을 벌기 위해 떠나 있는 상황에서 아무런 교육적 뒷바라지나 지원이 없는 상황에서 홀로 성장하고 열악한 교육 환경 하에서 신분 상승을 위한 유일한 출로인 교육의 기회마저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 사회의 극심한 빈부 격차가 어린이들에게도 그대로 유전되며 사회 계층을 고정시키고 있는 셈이다. 즐거운 어린이날, 그러나 어린이들의 선물 보따리에도 악착같이 달라붙는 '부익부 빈익빈'의 성어가 목하 중국의 현실이다.

a

베이징 나푸후통(納福胡同)에서 만난 한 여자아이, 그녀의 꿈은 부자가 되는 것이었다. ⓒ 김대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중국 베이징에서 3년, 산둥성 린이(臨沂)에서 1년 살면서 보고 들은 것들을 학생들에게 들려줍니다. 거대한 중국바닷가를 향해 끊임없이 낚시대를 드리우며 심연의 중국어와 중국문화를 건져올리려 노력합니다. 저서로 <중국에는 왜 갔어>, <무늬가 있는 중국어>가 있고, 최근에는 책을 읽고 밑줄 긋는 일에 빠져 삽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게 뭔 일이래유"... 온 동네 주민들 깜짝 놀란 이유
  2. 2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3. 3 팔봉산 안전데크에 텐트 친 관광객... "제발 이러지 말자"
  4. 4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5. 5 공영주차장 캠핑 금지... 캠핑족, "단순 차박금지는 지나쳐" 반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