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의 기를 마시고 세속의 찌든 때를 씻다

산청 남사 예담촌을 찾아서

등록 2006.06.09 11:53수정 2006.06.09 14:57
0
원고료로 응원
채우지 않고 비워 두는 남사 예담촌

불혹을 넘겼건만 무엇을 버려야하고 무엇을 채워가야 할지 모르겠다. 온고지신(溫故知新)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옛 사람의 삶을 쫓아가보면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으려나?


a 평온한 남사 예담촌의 돌담

평온한 남사 예담촌의 돌담 ⓒ 정호갑

지리산 초입에 자리 잡은 남사 마을. 2003년에 남사 마을이 농촌전통 테마마을로 지정되면서 남사 예담촌으로 불리게 되었다. 예담촌이라는 이름은 오랜 세월을 묵묵히 지내온 옛 담의 신비로움, 전통과 예를 중요시 하는 옛 사람들의 마음가짐을 닮아가자는 의미에서 그렇게 지었다고 한다.

마을은 당산이 수룡의 머리이고 니구산이 암룡의 머리가 되어 서로 머리와 꼬리를 무는 형상으로 쌍룡 교구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반달 모양의 마을 터를 배 모양으로 생각하여 마을의 중심부에는 그 무엇도 채우지 않고 우물을 파는 것도 금하여 왔다고 한다. 차면 기울기 마련이므로 늘 조금 비워두는 옛사람들이 지혜가 아직까지 그대로 이어져 오고 있다.

a 평온한 남사 예담촌 : 멀리 보이는 봉우리가 수룡의 머리이다

평온한 남사 예담촌 : 멀리 보이는 봉우리가 수룡의 머리이다 ⓒ 정호갑

예부터 이 마을은 많은 선비들이 과거에 급제하여 가문을 빛냈던 학문의 고장이므로, 마치 공자가 태어난 중국 산동성의 곡부 마을과 거의 비슷하다고 하여 산도 니구산이고, 마을을 안아 흐르는 강의 이름도 사수이고, 서당도 이동서당으로 이름 지어 부르고 있다.

a 남사 예담촌 입구에 있는 300년 된 회화나무

남사 예담촌 입구에 있는 300년 된 회화나무 ⓒ 정호갑

마을 입구로 들어서면 서로 몸을 포개고 있는 300년 된 회화나무가 이 마을의 역사를 말해 준다. 회화나무는 우리 선조들이 최고의 길상목(吉祥木)으로 손꼽아 온 나무로 이 나무를 집안에 심으면 가문이 번창하고 큰 학자나 큰 인물이 난다고 하였다. 그래서 그런지 이 마을 곳곳에서 회화나무를 흔히 볼 수 있다.

이 말을 증명이라도 하듯 이 작은 마을(현재 340여 명이 살고 있음)에서 나라를 이끌고 학문을 빛낸 많은 인재가 났다. 조선 개국 1등 공신인 이제를 비롯하여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벼슬이 영의정까지 오른 하연, 아버지를 해치려는 화적의 칼을 자신의 몸으로 막아내고 줄곧 병석을 지키고 있다가 숨을 거둔 효자 이윤현, 조선 숙종 때 덕행과 문장이 으뜸으로 명망이 높은 이계 박래오, 그리고 나라 잃은 시대에 나라를 찾기 위해 온몸을 바친 곽종석 등등. 이 마을 출신 현역 국회의원이 6명이나 된다고 한다.


옛 담을 따라 고가와 유적지를 둘러보면서 이영복(49·문화관광 해설사)씨의 설명을 들으면서 그동안 묵은 때를 씻고 좀 더 여유롭게 그리고 올곧은 선비의 삶에 다가서고자 한다.

마을을 둘러보고 난 뒤 바로 이웃한 목면시배유지를 찾았다. 이곳은 고려 말 공민왕 때 문익점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면화를 재배한 곳이다. 이미 알고 있기에 별 기대 없이 찾은 전시장인데 이영복씨는 목화의 재배에서부터 옷으로 이어지는 과정과 그에 필요한 기구들을 빠짐없이 정성스레 설명해 준다.


그리고 문익점의 삶에 대해 말한다. 나라를 생각하는 올곧은 마음, 어버이를 생각하는 효성스러운 마음 그리고 관리로서 백성들을 생각하는 따뜻한 마음을 놓치지 않고 전해 준다. 정성과 자부심이 묻어나는 그의 해설로 문익점이 붓통에 가져온 목화씨가 3알이 아니라 10알이었다는 것을 비롯하여 새로운 사실을 많이 알게 되었다.

a 솜과 씨를 분리해내는 씨앗

솜과 씨를 분리해내는 씨앗 ⓒ 정호갑

여기서 자동차로 40여 분만 가면 가야의 마지막 왕인 구형왕의 능으로 추정되는 구형왕릉이 있다기에 그 곳으로 함께 자리를 옮겼다.

구형왕릉의 신비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인 구형왕의 능으로 전해지는 왕릉이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에 있다. 가야 왕의 무덤이 왜 이 곳에 있는 것일까? 이 의문에 대해 해설사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설을 들려준다.

6세기에 가야는 신라와 맞서 싸우게 되는데, 그 때 전쟁에 참가한 구형왕은 신라에 밀리면서 화살을 맞았다고 한다. 화살을 맞고 피신해 들어온 골짜기가 바로 이곳인데 나라를 지키지 못한 왕이 흙 속에 묻힐 수 없어 돌을 덮으라고 유언을 해 이곳에 묻히게 되었다고 한다.

또 하나의 설은 가야가 신라에 대항한다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치기이므로 구형왕은 신라에 가야를 양위하고 만다. 하지만 나라를 지키지 못한 왕이기에 밖으로 나가지 않고 식읍을 받은 이곳에서 5년간 칩거하다 생을 여기에서 마치게 된다.

a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에 있는 구형왕릉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에 있는 구형왕릉 ⓒ 정호갑

이 두 가지 설 가운데 어떤 것이 맞는지는 아직 알 수가 없다. 그런데도 이 무덤을 구형왕릉으로 추정하는 것은 1789년 유생 민경은이 왕산을 등산하다 갑자기 비를 만나 피하기 위해 왕산사를 찾았는데 대들보 위에 나무 궤짝이 있기에 스님에게 그 궤짝이 무엇인지 물어보았다. 스님은 "알려고 하지마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 궁금증을 이기지 못한 민경은은 계속 스님을 졸라 마침내 궤짝을 열어 보게 되었는데 그 안에 구형왕과 왕비의 유품 그리고 <왕산사기>가 있어 이 능이 구형왕릉으로 인정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 구형왕릉의 정식 명칭은 전구형왕릉이다. 구형왕릉 앞에 전(傳)자가 붙은 이유는 구형왕의 능이라는 확증이 없고, 단지 그럴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왕릉으로 그대로 인정하고 싶은 마음들이 안내판의 구형왕릉 글자 앞에 써 있는 '전(傳)'자를 긁어서 훼손하여 놓았다. 전이라는 것이 몹시 못마땅한 모양이다.

a 전구형왕릉의 안내판 : ‘전’자가 긁어져 훼손되어 있다

전구형왕릉의 안내판 : ‘전’자가 긁어져 훼손되어 있다 ⓒ 정호갑

왕릉은 가로 22m, 세로 7.15m, 일곱 단으로 이루어진 석총이다. 4번째 단에는 높이 40cm, 깊이 68cm, 너비 40cm의 감실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이 무엇을 위한 시설인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둘레에는 돌담이 둘러쳐져 있으며 능 앞에는 '가락국양왕릉'이라 새겨진 비석과 장명등, 문인석, 무인석 등이 능을 지키고 있으나 이것은 후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해설사는 이 왕릉에 전해 오는 신비로움을 우리에게 구수하게 전해 준다. 왕릉 위로는 새도 날지 않고, 칡덩굴도 왕릉으로 뻗지 않으며, 낙엽도 능 안으로 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만약 낙엽이 떨어지면 곧 회오리바람이 일어나 그 낙엽을 다른 곳으로 날려 보낸다고 한다.

또 인근 마을의 한 부자가 명당자리를 찾아 이곳에 아버지 무덤을 썼는데, 그 아들의 꿈 속에 아버지가 나타나 제발 나를 다른 곳으로 옮겨 달라고 하였단다. 하지만 대수롭지 않게 여기며 그냥 넘어가려고 하였다. 그런데 다음날 또 다시 나타나 갈비뼈가 짓눌러 너무 답답하니 제발 다른 곳으로 옮겨 달라기에 할 수 없이 이장을 하기 위해 무덤을 파니 시신의 갈비뼈가 부러져 있더라는 것이다.

전해 오는 이야기도 이야기이거니와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눈앞의 펼쳐진 석총의 신비로움, 이 산 이름도 왕산(王山)이고 절 이름도 왕산사(王山寺)이니 왕이 이곳에 살았고 묻혔기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진 것은 아닐까?

버리고 비워야 맑고 깨끗해짐을

남사 예담촌으로 돌아와 정몽주의 후손인 정구화씨의 사양정사에서 묵었다. 옛날 고가의 기품이 그대로 묻어나는 대가이다. 갑자기 돌쇠에서 대감의 삶으로 올라선 기분이다. 마당을 한 바퀴 돌면서 "이리 오너라"를 외치는 벗이 정겹다. 평상에 모여 모처럼 맞이한 한가로움에 벗들과 한 잔의 술로 시골의 깊어가는 밤을 보낸다.

a 고가의 품위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사양정사

고가의 품위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사양정사 ⓒ 정호갑

고가에서 나오는 맑은 기운은 지난밤의 취기를 말끔하게 씻어준다. 여기까지 왔는데 바로 돌아가기 아쉬워 다시 대원사로 발길을 옮긴다. 언제보아도 맑고 깨끗한 대원사 계곡과 지리산의 하늘. 비워야 깨끗해짐을 배운다. 버려야 맑아짐을 깨닫는다.

a 대원사의 맑은 계곡

대원사의 맑은 계곡 ⓒ 정호갑

불혹이 넘어선 오늘에서야 버리고 비워야 맑은 계곡과 깨끗한 하늘을 닮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으니 어리석기가 그지없다. 하지만 선비의 맑은 기운도 채워 왔으니 그 어리석음에서 조금은 벗어날 수 있지 않을까.

덧붙이는 글 | 정성이 가득 담긴 그리고 고향에 대한 자부심이 깃든 이영복(목면시배유지의 관리소장이며 산청군 문화관광 해설사)씨의 친절한 해설로 많은 것을 배웠고 새로운 것을 많이 알게 되었다. 그때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고마움을 여기서 밝힌다. 이영복 해설사님 너무 고마웠습니다.

덧붙이는 글 정성이 가득 담긴 그리고 고향에 대한 자부심이 깃든 이영복(목면시배유지의 관리소장이며 산청군 문화관광 해설사)씨의 친절한 해설로 많은 것을 배웠고 새로운 것을 많이 알게 되었다. 그때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고마움을 여기서 밝힌다. 이영복 해설사님 너무 고마웠습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아이들과 함께 배우고 가르치는 행복에서 물러나 시골 살이하면서 자연에서 느끼고 배우며 그리고 깨닫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아버지 금목걸이 실수로 버렸는데..." 청소업체 직원들이 한 일 "아버지 금목걸이 실수로 버렸는데..." 청소업체 직원들이 한 일
  2. 2 "부영, 통 큰 기부로 이미지 마케팅... 뒤에선 서민 등쳐먹나" "부영, 통 큰 기부로 이미지 마케팅... 뒤에선 서민 등쳐먹나"
  3. 3 깜짝 등장한 김성태 측근, '대북송금' 위증 논란 깜짝 등장한 김성태 측근, '대북송금' 위증 논란
  4. 4 김건희·채상병특검법 부결, 여당 4표 이탈 '균열' 김건희·채상병특검법 부결,  여당 4표 이탈 '균열'
  5. 5 이런 대통령은 없었다...윤 대통령, 24번째 거부권 이런 대통령은 없었다...윤 대통령, 24번째 거부권
연도별 콘텐츠 보기